기후변화를 포함한 여러 환경문제에 대비하고 해결책을 찾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할 일은 과학적 측정을 통해 문제의 원인을 정량적으로 이해하는 것입니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인간에 의한 생태계의 변화, 그 중 탄소순환의 변화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 무엇이 탄소화합물의 이동량과 화학적 특성을 조절하는지에 대해 탄소동위원소비(Δ14C, δ13C) 측정 등 다양한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1.1. 산림생태계 토양유기탄소의 안정성
산림토양 유기물의 탄소연대를 측정하고, 깊은 토양에서는 천 년이 넘도록 유기물이 어떻게 썩지 않는지 그 이유를 규명하며, 이를 응용하여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토양유기탄소로 변환시켜 얼마나 오래, 또한 얼마나 많이 저장할 수 있을지를 탐구.
1.2. 산림생태계 하천탄소 유출
산림생태계 하천탄소 유출량과 생지화학적 특성이 어떻게 변화하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 추적.
초미세먼지가 무엇으로부터 만들어졌는지 기원을 추적하고, 숲은 초미세먼지를 얼마나 줄일 수 있는지 정량적으로 분석.
북한에서 발원하여 우리나라로 들어오는 하천수의 생지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하천수 성분과 비교함으로써 북한 생태계 현황 유추.
우리나라 침엽수림과 활엽수림 유역 내 하천 용존유기탄소 특성을 비교하고, 하천 유기물 기원 추적. 탄소동위원소 분석, 초고분해능 질량분석, 리그닌페놀(lignin phenol) 분석을 활용.
항구 주변 하천을 포함한 여러 곳으로부터 시료를 채취하고, 가속기질량분석 등 첨단 분석방법을 동원해 항만에 퇴적된 유기물 기원을 추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