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3월 1일
최소영이 박사 연구를, 박경아, 박채연이 석사 연구를 시작합니다.
2025년 2월 5일
이승철 박사가 제 1 저자로, 항만 퇴적물에 포함된 유기물의 방사성탄소동위원소비를 측정하고 유기물 기원을 추적한 논문이 Marine Pollution Bulletin에 게재(online)되었습니다.
https://doi.org/10.15681/KSWE.2025.41.1.54
2025년 1월 30일
이규연 박사과정생이 제 1 저자로, 점봉산 국가장기생태연구지 시냇물의 용존유기물질에 대한 여러 생지화학적 특성을 측정하고 보고한 논문이 한국물환경학회지에 게재되었습니다.
2024년 8월 29일
이승철 박사의 학위 취득을 축하합니다.
2024년 8월 29일 ~ 30일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열린 2024 안정동위원소 연구역량 향상 심포지엄에서 오능환 교수가 우리나라 생태계 이중탄소동위원소 측정 결과를 소개했습니다.
2024년 8월 5일 ~ 9일
미국 California주 Long Beach에서 열린 2024 Ecological Society of America Annual Meeting에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실 연구진과 함께 참가하여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이승철 박사과정생이 발표했습니다.
2024년 7월 31일 ~ 8월 2일
제주도에서 열린 한국생물과학협회 정기학술대회에서 이기환 석사과정생이 기온 상승과 강우 차단이 토양호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2024년 7월 17일 ~ 20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Asia Pacific Network conference에서 이승철 박사과정생과 오능환 교수가 각각 항만 저토 유기물과 우리나라 주요 하천의 방사성탄소동위원소비 측정 결과를 발표하고, 유기물 기원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2024년 6월 23일 ~ 28일
강원도 평창에서 열린 Asia Oceania Geosciences Society Annual Meeting에서 이승철 박사과정생이 2012년부터 2022년까지 서울대학교 남부학술림 하천의 용존유기탄소 농도와 특성 변화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2024년 7월 1일
임은혜 선생님이 연구를 돕습니다.
2024년 5월 1일
한준호 박사(한국연구재단 세종과학펠로우)가 함께 연구합니다.
연구과제
2024년 5월 1일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를 시작합니다.
제목: 유기물 성분별 방사성탄소동위원소비 측정을 활용한 생태계 유기물 분해 과정 탐구
기간: 2024.05.01. ~ 2027.04.30.
생태계 유기물의 성분별 탄소동위원소비 측정 등 실험을 통해 유기물 분해 과정을 알아내고, 생태계 탄소순환을 이해하려는 연구입니다.
2024년 3월 1일
이정인, 이지은, Amanda가 석사 연구를 시작합니다.
2024년 2월 26일
배영의 석사학위 취득을 축하합니다.
2024년 2월 14일
한국과학기술회관(서울)에서 열린 2024년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에서 김선현 석사과정생이 강우차단과 기온 상승이 토양 용존유기탄소 유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2024년 2월 5일 ~ 6일
서울대 융복합과제("탄소중립 시대를 위한 백운산, 태화산 학술림의 탄소∙수분 수지 정량화 및 경제적 가치 평가") 연구진 워크샵에서 서울대학교 남부학술림 연구시설을 답사하였습니다.
2023년 12월 31일
오능환 교수와 차지연 박사가, 우리나라 하천생태계와 유역 내 탄소화합물의 방사성탄소동위원소비를 측정한 여러 연구 결과를 종합한 총설이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에 게재되었습니다.
2023년 11월 23일
이은주 박사가 제 1 저자로, 토양으로부터 얼마나 오래된 용존유기탄소가 하천으로 흘러나갈 수 있는지 방사성탄소동위원소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정리한 논문이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에 게재(online)되었습니다.
2023년 11월 27일 ~ 12월 1일
제주도에서 열린 2023 AsiaFlux Conference에서 차지연 박사와 고현신 박사과정생이 각각 산림 수관통과우의 탄소동위원소비 측정 결과와 지리산 구상나무 고사지 토양탄소 특성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2023년 11월 22일 ~ 24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서울)에서 열린 제 9회 동아시아 AMS학회에서 차지연 박사가 방사성탄소동위원소의 환경분야 활용을 주제로 발표했습니다.
2023년 9월 1일
서울대학교 융복합 연구지원사업 과제 공동연구를 시작합니다.
제목: 탄소중립 시대를 위한 백운산, 태화산 학술림의 탄소∙수분 수지 정량화 및 경제적 가치 평가
기간: 2023.09.01. ~ 2025.08.31.
서울대학교 학술림의 탄소순환과 물순환을 서울대학교 산림과학부, 건설환경공학부, 한양대학교 경제금융학부 연구진과 함께 정량적으로 이해하려는 연구입니다.
2023년 8월 30일
차지연 박사가 제 1 저자로, 숲에 비가 내릴 때 식생을 통과하며 아래로 떨어지는 물(즉, 수관통과우(throughfall))의 탄소 기원을 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정량한 논문이 Geophysical Research Letters에 게재(online)되었습니다.
2023년 8월 6일 ~ 11일
미국 Oregon주 Portland에서 열린 2023 Ecological Society of America Annual Meeting에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실 연구진과 함께 참가하여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차지연 박사가 발표했습니다.
2023년 7월 1일
김관우가 여름방학 동안 학부생 인턴으로 실험에 참여합니다.
2023년 7월 17일 ~ 20일
제주도에서 열린 제 10회 동아시아생태학회에서 고현신 박사과정생이 지리산 아고산생태계 토양특성과 구상나무 고사의 연관성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2023년 6월 26일 ~ 27일
관측기반 온실가스 공간정보지도 구축 플랫폼 기술개발 연구진 워크샵에 참석하여 오능환 교수가 연구 진행 상황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2023년 4월 4일
차지연 박사가 제 1저자로, 도시와 산림 지역 초미세먼지에 포함된 탄소가 어디에서 유래했는지 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비교한 논문이 Scientific Reports에 게재(online)되었습니다.
2023년 4월 1일
Korea Carbon Project (KCP) 공동연구를 시작합니다.
제목: 관측기반 온실가스 공간정보지도 구축기술개발사업
기간: 2023.04.01. ~ 2027.12.31.
언제, 어디에서 온실기체가 얼마나 흡수되고, 또한 배출되는지를 정량적으로 알아내기 위해 현장실측팀, 위성관측팀, 모형개발팀 등 다양한 전공의 연구진이 협력하는 환경부 대형 과제에 우리는 현장실측팀으로 참여합니다.
2023년 3월 1일
이기환이 석사 연구를 시작합니다.
2023년 2월 24일
차지연 박사의 학위 취득을 축하합니다.
한예나의 석사학위 취득을 축하합니다.
2023년 2월 23일
해양유해물질 오염원 추적기법 개발 연구진 워크샵에서 이승철 박사과정생이 전처리 방식에 따른 방사성탄소동위원소비 측정 결과 차이에 대해 발표하였습니다.
2023년 2월 1일
이은주 박사가 제 1 저자로, 금호강 유역 내 자연하천과 폐수처리장 유출수 특성을 비교하고, 하천 유기탄소의 기원을 추적한 논문이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에 게재되었습니다.
2023년 1월 11일 ~ 17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Asia Pacific Network (APN) conference에서 이승철 박사과정생과 오능환 교수가 우리나라 하천의 탄소동위원소비 측정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2022년 9월 1일
고현신이 박사 연구를 시작합니다.
2022년 7월 1일
지젤(Gissele Chicas)이 학부생 인턴으로 여름방학 동안 실험에 참여합니다.
2022년 4월 1일
해양수산부 과제 공동연구를 시작합니다.
제목: 해양유해물질 오염원 추적기법 개발
기간: 2022.04.01. ~ 2026.12.31.
항구에 퇴적되는 유기오염물은 어디로부터 오는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항구 주변 하천을 포함한 여러 곳으로부터 시료를 채취하고 가속기질량분석 등 첨단 분석방법을 동원해 유기물 기원을 추적하는 연구입니다.
2022년 3월 1일
고현신 석사후연구원이 실험에 참여합니다.
2021년 11월 1일
배영이 석사 연구를 시작합니다.
2021년 9월 1일
박현숙 선생님이 연구를 돕습니다.
2021년 6월 1일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실 사업 연구를 시작합니다.
제목: 기후변화에 따른 고산생태계의 시공간적 변화 연구
기간: 2021.06.01. ~ 2024.02.29.
총연구비: 13억 7,500만원
기후변화에 취약한 고산생태계 식생, 토양, 미생물 군집 특성을 분석하고, 실측치와 산림생태모형을 결합하여 고산생태계 물질순환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미래 변화를 예측하는 연구입니다.
2021년 4월 22일
이은주 박사가 제 1 저자로, 우리나라 5대강을 통해 흘러나오는 탄소량과 두가지 탄소동위원소비(δ13C, Δ14C)를 측정하고 세계 다른 강들과 비교한 논문이 Journal of Hydrology에 게재(online)되었습니다.
2021년 3월 1일
이승철 박사과정생이 제 1 저자로, 여름철 강우 시 산림유역과 농지유역에서 흘러나오는 하천유기탄소 특성을 비교한 논문이 Environmental Pollution에 게재되었습니다.
2021년 3월 1일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를 시작합니다.
제목: 생태계 유기물의 안정성 탐구
기간: 2021.03.01. ~ 2024.02.29.
총연구비: 4억 4,600만원
생태계 유기물이 어떤 조건에서 천년이 넘도록 이산화탄소로 분해되지 않는지 탄소동위원소비 측정 등 실측과 실험을 통해 답을 찾아나가는 연구입니다.
2021년 3월 1일
한예나가 석사 연구를 시작합니다.
2020년 6월 27일
차지연 박사과정생이 제 1 저자로, 겨울철 눈과 비에 매우 높은 수준의 방사성탄소동위원소가 포함되어 있음을 보여준 논문이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에 게재되었습니다(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048969720337670).
2019년 8월 29일
이은주 박사의 학위 취득을 축하합니다.
신유승, 지아시춘의 석사학위 취득을 축하합니다.
2019년 4월 12일
차지연 박사과정생이 제 1 저자로, 수종별 토양유기탄소 저장량을 비교한 논문이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Biogeosciences에 게재되었습니다(https://agupubs.onlinelibrary.wiley.com/doi/10.1029/2018JG004808).
2019년 3월 1일
차지연이 박사 연구를, 김선현이 석사 연구를 시작합니다.
2018년 3월 1일
이규연이 박사 연구를 시작합니다.
2018년 2월 26일
고민정의 석사학위 취득을 축하합니다.
2018년 2월 23일
고민정(석사과정)이 2018년 한국생태학회 정기학술발표대회에서 구두발표 우수논문상을 받았습니다.
2017년 9월 1일
이승철이 박사 연구를, 신유승이 석사 연구를 시작합니다.
2017년 8월 29일
이승철, 차지연의 석사학위 취득을 축하합니다.
차지연의 석사논문이 환경대학원 우수 논문으로 선정되었습니다.
2017년 2월 23일
이승철(석사과정)이 2017년 한국생태환경과학협의회 정기학술발표대회에서 포스터 발표 우수논문상을 받았습니다.
2016년 8월 29일
정현영의 석사학위 취득을 축하합니다.
이은주(박사과정)와 차지연(석사과정)이 연구 성과와 학업 성취를 인정받아 각각 환경관리 동문 장학생과 환경대학원 동창회 장학생으로 선정되었습니다.
2016년 6월 1일
신예라(석사 졸업)가 제 1 저자로, 우리나라 5대강 용존유기물(dissolved organic matter)의 특성에 대해 조사한 논문이 Journal of Hydrology에 게재 확정(accepted) 되었습니다.
2016년 4월 6일
전영준(석사 졸업)이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서 전문연구요원으로 군 대체 복무를 시작했습니다.
2016년 3월 1일
(1) 고민정, 이승철, 지아시춘, 차지연이 석사 연구를 시작합니다.
(2) 환경대학원 e-환경논총 56호 "Research brief"에 이은주(박사과정)이 주저자로 연구 결과를 소개했습니다.
(3) 홈페이지를 구글 사이트로 옮기고 새롭게 시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