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Biography), 역사, 과학, 철학 등등
- Berlin (2013) The Crooked Timber of Humanity. 벌린의 기고문들을 묶은 책, 제목이 된 첫번째 글은 "이상주의"가 가져올 필연적이고 비극적인 결말을 서양 지성사를 통해 살펴본다.
- Borradori (1994) The American Philosopher. "미국" 철학자들의 인터뷰. Quine, Davidson, Putnam, Nozick, Danto, Rorty, Cavell, McIntyre, Kuhn. # 분석철학만 미국 철학인 것은 아니다. # 철학
- Cassidy (2010) Beyond Uncertainty: Heisenberg, Quantum Physics, and The Bomb. 행렬을 사용한 양자역학의 기초를 놓고, 불확정성 원리를 설파한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하이젠베르크의 전기. 이 책의 초판을 대학원생 시절에 읽었을 때는, 젊은 나이에 양자 세계의 원리를 깨우친 재기발랄한 천재로만 기억되었는데 20년 후 다시 읽어보니 나치 치하에서 자존심과 독일 물리학을 지키고자 현실과 타협했던 고통이 느껴진다. 나치가 원자폭탄을 먼저 개발할까 두려워 서둘러 개발하고 일본에 떨어뜨린 연합군 과학자들과, 나치 독재 정권에 굴복해서 원자폭탄 연구를 열악한 환경에서 마지못해 진행했으나 실패해서 결국은 도덕적(?) 책임은 회피한 독일의 과학자들...역사의 아이러니. # 현대물리학 # 나치
- Halmos (1985) I Want to Be a Mathematician: An Automathography. 이 책은 도대체 몇번 읽은 걸까... # 20세기 수학의 별의별 뒷이야기
- Katzner (2011) At the Edge of Camelot: Debating Economics in Turbulent Times. 미국에 거의 유일하게 남아있는 '비주류' 경제학과(UMass Amherst)의 역사를 그 학과에서 활동해온 '주류'경제학자가 설명 # 경제학에 대한 다양한 접근
- McCloskey (2000) How to Be Human, Though an Economist. 맥클로스키는 설명하려면 너무 길다. 아저씨(Donald)셨다가 할머니(Deirdre)가 되신 경제학자, 계량역사학자, 인문학자, 시카고학파인 동시에 종교인. 나는 미시를 이 사람의 책으로 처음 공부했다 (Applied Theory of Price). # 20세기 경제학의 별의별 뒷이야기(?)
- Segerstrale (2013) Nature's Oracle: The life and work of W. D. Hamilton. 이타성의 진화, 사회생물학, 진화게임이론의 단초를 제공한 해밀턴의 전기. 대학원생 시절 John Maynard Smith에게 냉대를 당하고 Maynard Smith에게 친족선택이론의 명명과 주도권을 빼앗긴 것에 거의 평생 서운해했다는 점은 놀라웠음. 아마도 Maynard Smith가 학문적 친족이 될 수 있었던 기회를 스스로 버렸기 때문인걸까. # 사회생물학
- Shanahan (2015) The Technological Singularity. 인공지능은 과연 기술적 특이점을 가져올 것인가. 인공지능이 도대체 뭔가. #일반 지능 = 상식과 창의성
- Rorty (1989) Contingency, Irony and Solidarity. 로티에 대한 언급을 처음 본 것은 내 지도교수가 쓴 글(일반균형이론, 대형게임이론과 함수해석학 및 인류학에 대한)에서였다. 얼마전 그 이야기를 했더니 "I used to admire Rorty those days (90년대초)"란다. 로티의 이 책을 읽어야겠다고 생각했던 것은 90년대말 서강대 강영안 선생님의 이야기를 듣고서였던 것 같다. 내용은 헤매더라도 제목은 여운이 남는... # 아이러니 # 철학
- Voorhoeve (2009) Conversations on Ethics. 현대 윤리학자들과의 대담 시리즈. Frances Kamm의 생명윤리, Peter Singer의 공리주의 및 동물윤리,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심리학자 Daniel Kahneman이 말하는 도덕적 직관, Philippa Foot과 Alaisdair McIntyer의 virtue, 게임이론가인 Ken Binmore와 법학자이면서 제도설계 경제학의 기초를 놓은 Allan Gibbard가 말하는 도덕의 진화, Scanlon, Williams, Frankfurt, Velleman... # 윤리학 #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