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2023

[논문 게재] August, 2023 이승연 학생, 조수연 교수가 공동 연구로 참여한 Phase-Engineering of 2D MaterialsChemical Reviews에 표지논문으로 게재되었습니다. 축하합니다. 

[논문 게재] June, 2023 조수연 교수가 공동 연구로 참여한 Memory and Synaptic Devices Based on Emerging 2D FerroelectricityAdvanced Electronic Materials에 게재 승인되었습니다. 축하합니다. 

[논문 게재] May, 2023 김정효, 이다연 학생의 Engineering active sites of two-dimensional materials for active hydrogen evolution reactionAdvanced Physics Research에 게재  승인 났습니다. 축하합니다. 

[학생 소식] May, 2023 허소영 학생의 석사 디펜스가 무사히 끝났습니다. 축하합니다. 

[논문 게재] May, 2023 허소영, 이승연 학생의 Thermal-protective and Oxygen-resistant Nanocoating using Silica-Nanocomposites for Laser Thinning of Polymorphic Molybdenum Ditellurides 연구가 Applied Surface Science에 게재 승인 났습니다. 축하합니다. 

[논문 게재] May, 2023 허소영 학생, 조수연 교수가 공동연구로 참여한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strength of fire-damaged concrete depending on admixture contents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에 게재 승인 났습니다. 축하합니다. 

[학생 소식] April, 2023 남연우 학생이 한국 세라믹 학회에서 KCerS 우수 포스터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학생 소식] March, 2023 이승연, 남연우, 임은지 학생 포항 가속기 출장을 무사히 마쳤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논문 게재] January, 2023 조수연 교수가 공동 연구로 참여한 Polymorphic memtransistor with tunable metallic and semiconducting channel연구가 Advanced Materials에 게재 승인 났습니다. 축하합니다. 

2022

[학생 소식] December, 2022 김정효, 이하흔, 조유진 학생의 석사 디펜스가 무사히 끝났습니다. 축하합니다. 

[학생 소식] November, 2022 임은지 학생이 한국화학공학회와 KISM 2022에서 우수 포스터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학생 소식] November, 2022 남연우 학생이 한국세라믹학회에서 KCerS 우수 포스터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학생 소식] August, 2022 이승연, 남연우, 임은지 학생 싱가포르 해외 출장을 무사히 마쳤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학생 소식] August, 2022 임은지 학생이 실험실 멤버가 되었습니다. 환영합니다.

[학생 소식] August, 2022 이하흔 학생이 일반대학원 우수학술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논문 게재] June, 2022 조수연 교수가 공동 연구로 참여한 Atomic and electronic manipulation of robust ferroelectric polymorphs 연구가 Advanced Materials에 게재 승인 났습니다. 

[논문 게재] June, 2022 조유진, 강서희, 남연우 학생의 Structural, Optical and Magnetic Properties of Erbium-Substituted Yttrium Iron Garnet  연구가 ACS Omega에 게재 승인 났습니다. 축하합니다. 

[논문 게재] May, 2022 김정효, 이다연 학생의 Efficient hdrogen evolution reaction at the phase transition boundary of polymorphic Mo1-xWxTe2 연구가 APL Materials에 게재 승인 났습니다. 축하합니다. 

[논문 게재] April, 2022 이하흔, 임은지, 강서희 학생의 Local phase transition at crack edges of Mo1-xWxTe2 polymorphs 연구가 Applied Surface Science에 게재 승인 났습니다. 축하합니다.

[논문 게재] January, 2022 조수연 교수가 공동 연구로 참여한 Reshaped Weyl fermionic dispersions driven by Coulomb interactions in MoTe2 연구가 Physical Review B에 게재 승인 났습니다. 

[학생 소식] January, 2022 조유진, 허소영, 이하흔, 남연우 학생 프랑스 Paris Saclay University 해외 단기 연수를 무사히 마쳤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학생 소식] December, 2021  이승연, 남연우 학생이 실험실 멤버가 되었습니다.  환영합니다.

[이화뉴스] 조수연 교수 연구성과 세계적 저널 <Advanced Materials>에 게재

www.ewha.ac.kr/ewha/research/results.do?mode=view&articleNo=336421 

Atomic and electronic manipulation of robust ferroelectric polymorphs, Advanced Materials, 34 (31), 2202633 (2022), published in 22 June 2022, DOI: https://doi.org/10.1002/adma.202202633 


화공신소재공학과의 조수연 교수가 한국과학기술원, 부산대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빅데이터 처리를 위한 초소형, 고성능 시스템 반도체 저차원 재료 연구 수행한 논문 「Atomic and electronic manipulation of robust ferroelectric polymorphs」이 재료 분야 최고의 권위 저널인 <Advanced Materials (IF 32.089)>지 2022년도 6월호에 게재됐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활용한 원격의료와 환자들의 의료 데이터 공유는 헬스케어 산업에 필수 요소가 되고 있지만,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서버 및 데이터 센터에서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넘어서기 시작했고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고 송신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지연 현상 및 통신 과정에서 보안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에 최근 데이터 처리 속도, 용량 및 보안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앙이 아닌 말단 기기에서 컴퓨팅을 수행하여 데이터 처리를 개인용 휴대 장비로 분산 처리하는 엣지 컴퓨팅 개념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헬스 케어에 필요한 인공지능(AI), 5세대(5G) 이동통신서비스 더 나아가자 자율주행 자동차, 로봇으로 대표되는 4차 산업혁명은 각 산업 분야를 구성하는 핵심 제품들이 초소형, 고성능 시스템반도체로 구현이 되는데, 현재 실리콘 반도체 기반의 에지 컴퓨팅은 높은 에너지 소모 및 긴 대기 시간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어 차세대 시스템 반도체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뇌의 시냅스의 동작을 모사한 뉴로모픽 소자의 빠른 통신 및 정보 처리 속도가 보고됨에 따라, 에지 컴퓨팅에서의 통신 및 계산 부하를 줄이는 획기적인 방법으로 제안되었다. 조수연 교수팀은 2차원 물질 Mo1-xWxTe2의 상전이 현상을 이용한 나노 소자를 제작, 전자 도핑에 따른 강유전성 제어를 통해 뉴로모픽 소자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한국연구재단 중견 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은 본 연구는 저차원 소재를 이용한 새로운 뉴로모픽 소자를 제안해 차세대 시스템 반도체로서 엣지 컴퓨팅 분야 발전에 새로운 전기를 펼칠 것으로 기대된다. 


조수연 교수는 2004년 본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물리학과 석사, 프랑스 파리제11대학(현 파리-싸클레 대학) 화학전공과 서울대 물리천문학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프랑스 생오뱅에 위치한 국립가속기센터와 성균관대 수원캠퍼스 나노구조물리연구단(CINAP)에서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2017년부터 본교 화학신소재공학부 동문교수 1호로 부임, 재직 중이다.

[신문기사] 이화여자대학교 학부·대학원생 연구팀, 나노 방사광빔 이용한 2차원 물질 상전이 현상 규명

https://www.lecturer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8156

Local phase transition at crack edges of Mo1-xWxTe2 polymorphs, Applied Surface Science, 596, 153503 (2022) published in 15 September 2022, DOI: https://doi.org/10.1016/j.apsusc.2022.153503 


[한국강사신문 정헌희 기자] 이화여자대학교(총장 김은미)는 엘텍공과대학 화공신소재공학전공 학부생과 대학원생 공동연구팀이 나노 방사광빔을 이용한 2차원 물질의 상전이 현상을 최초로 규명했다고 30일 밝혔다.


이화여대 화공신소재공학전공 4학년 임은지씨와 BK21 4단계 시스템헬스융합전공(단장 권오란) 대학원생 이하흔, 강서희(지도교수 조수연) 씨는 대만 국립 가속기 연구소(National synchrotron radiation research center, NSRRC)의 치앙(Chiang) 박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나노 방사광빔을 이용한 2차원 물질의 상전이 현상을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 결과는 ‘다형성을 가지는 저차원 물질 Mo1-xWxTe2의 가장자리에서 관측되는 국소 상전이 현상 연구(Local phase transition at crack edges of Mo1-xWxTe2 polymorphs)’라는 제목으로 SCIE급 국제학술지 <응용표면과학(Applied Surface Science, IF=6.707, JCR 상위 4.76%)>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2차원 물질에서 일어나는 구조 상전이 현상은 외부 환경으로 인한 반도체와 도체 간의 가역적인 전환을 가능하게 하여 학계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반도체와 도체 간의 가역적 전환이 가능한 경우 여러 물질 조합으로 탄생하는 반도체 소자를 한 물질로도 만들 수 있어 응용 가능성이 주목을 받고 있다. 그렇지만 원자 몇 층 두께밖에 안 되는 아주 얇은 물질에서의 상전이 현상을 실험을 통해 파악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화여대 연구팀은 수 나노두께의 얇은 Mo1-xWxTe2 합금 시료에서의 반도체 구조와 금속 구조상 사이의 상전이를 방사광을 이용한 나노 엑스선 회절 및 현광 분광법(nano X-ray diffraction, nano X-ray fluorescence)을 이용해 나노 단위의 물성 분석을 수행했다. 이를 통해 합금 형태로 시료를 합성할 경우 상전이 임계점에서 텅스텐(W)의 분포가 불균일해지는 것을 확인했고 텅스텐의 함량이 많을수록 상전이시 필요한 에너지가 작아질 수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2차원 물질에서의 치환 원소가 구조 상전이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했으며, 이는 에너지 변환 및 광전자 장치 등 넓은 범위에 사용되는 2차원 물질의 응용 가능성을 보다 확장시켜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이 연구는 화공신소재공학전공에서 개설되는 계절학기 수업인 <화학신소재공학 고급 실험> 교과목에서 임은지 씨가 주도적으로 참여해 대학원생 멘토 이하흔, 강서희 씨와 함께 논문으로 발전시킨 사례이다. <화학신소재공학 고급 실험>은 전임 교원의 연구실에서 방학동안 교수 지도하에 주도적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실습형 교과목으로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자기주도적 연구를 수행하고 국제 학회 발표 및 학사 졸업 논문 발표를 하는 등 훌륭한 성과가 이어지고 있다.


학부생으로 연구에 참여한 임은지 씨는 “대학원생 선배와 교수님의 지도 덕분에 ‘고급 실험’ 교과목에서 시작한 연구를 논문으로 발전시키게 되어 매우 뜻깊고 뿌듯한 생각이 들고 앞으로도 더 많은 연구를 해보고 싶다”고 말했다. 대학원생 멘토인 이하흔 씨는 “함께 팀을 이뤄 해외 연구 기관과 공동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좋은 기회를 통해 의미 있는 결과를 얻어 뿌듯했다”고 말했다.


현재 졸업해 ASML Korea에 재직 중인 강서희 씨는 “계절학기 수업인 ‘고급 실험’에서 시작된 이 연구는 학부생과 대학원생, 그리고 대만 연구팀이 함께 노력하여 얻은 결과이며 해외 연구시설을 경험하면서 다양한 연구진들을 만나 생각을 나눌 수 있었고, 학부생과 대학원생이 팀을 이뤄 좋은 성과까지 얻게 되어 잊을 수 없는 경험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해외대형연구시설활용 연구지원사업을 통해 수행됐다.


출처 : 한국강사신문(https://www.lecturernews.com) 

이화여대 이하흔, 임은지 씨 

2021

[학생 소식]  December, 2021  강서희 학생의 졸업과 ASML Korea 취업을 축하합니다. 

[학생 소식]  December, 2021  이승연, 남연우 학생이 실험실 멤버가 되었습니다.  환영합니다.

[학생 소식]  November, 2021 강서희 학생 석사 디펜스가 무사히 끝났습니다. 축하합니다. 


[논문 게재]  November, 2021 조수연 교수가 공동 연구로 참여한 Quantum sensing of thermoelectric power in low-dimensional materials 연구가 Advanced Materials에 게재 승인 났습니다. 축하합니다.


[논문 게재]  November, 2021 강서희 학생의 Bandgap modulation in the two-dimensional core-shell structured monolayers of WS2 연구가 iScience에 게재 승인이 났습니다. 축하합니다. 


[논문 게재]  November, 2021 조수연 교수가 공동 연구로 참여한 Heterophase Boundaries for Active Hydrogen Evolution in MoTe2 연구가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에 게재 승인이 났습니다. 축하합니다. 

[학생소식]  August, 2021  강서희 학생 일반대학원 우수학술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논문 게재]  July, 2021 조유진, 배동연 학생의Ferroelectric transition in Sr- and W-doped BaTiO3 solid solution  연구가 Applied Science에  게재 승인이 났습니다. 축하합니다. 

[논문 게재]  June, 2021 조수연 교수가 공동 연구로 참여한 Active Hydrogen Evolution on the Plasma-treated Edges of WTe2 연구가 APL Materials에  게재 승인이 났습니다. 축하합니다. 

[논문 게재]  May, 2021 강서희 학생의 Phase-controllable laser thinning in MoTe2 연구가 Applied Surface Science에  게재 승인이 났습니다. 축하합니다. 

[학생 소식]  May, 2021 김정효 학생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 기술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우수발표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논문 게재]  April, 2021 배동연, 김정효, 권하경 학생의 Hydrogen bubble-assisted growth of Pt3Te4 for electrochemical catalysts Current Applied Physics에 게재 승인이 났습니다. 축하합니다. 

[논문 게재] March, 2021  권하경, 배동연 학생의 Nanoporous silver telluride for active hydrogen evolutionACS Nano에 게재 승인이 났습니다. 축하합니다. 

[학생 소식]  February, 2021  배동연, 권하경 학생 석사 졸업 축하합니다. 

[학생소식]  February, 2021  권하경 학생 석사학위 우수학위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논문 게재] January, 2021 조수연 교수가 공동 연구로 참여한 Thermomechanical manipulation of electric transport in MoTe2 연구가 Advanced Electronic Materials 에 게재 승인이 났습니다. 축하합니다 

2020

[학생 소식]  December, 2020  김정효, 이하흔, 조유진, 허소영 학생이 실험실 멤버가 되었습니다.  환영합니다. 

[논문 게재]  November, 2020 배동연, 권하경 학생의 Mitrofanovite, Layered Platinum Telluride for Active Hydrogen Evolution가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에 게재 승인이 났습니다. 축하합니다. 

[논문 게재]  October, 2020 조수연 교수가 공동 연구로 참여한 Lifshitz transition and non-Fermi liquid behavior in highly doped semimetals 이 Advanced Materials 에 게재 승인이 났습니다. 축하합니다.

[학생 소식] September, 2020 이수진양의 삼성 전자 취직을 축하합니다. 

[논문 게재]  July, 2020 조수연 교수가 공동 연구로 참여한 Symmetry Dictated Grain Boundary State in a Two-Dimensional Topological Insulator 이 Nano Letters 에 게재 승인이 났습니다. 축하합니다.

[논문 게재] June, 2020  권하경, 배동연 학생의 Role of anionic vacancy for active hydrogen evolution in WTe2Applied Surface Science에 게재 승인이 났습니다. 축하합니다.

[논문 게재] April, 2020 권하경, 배동연, 전혜영 학생의 Basal-Plane Catalytic Activity of Layered Metallic Transition Metal Ditellurides for the Hydrogen Evolution Reaction이 Applied Science에 게재 승인이 났습니다. 축하합니다.

[논문 게재] January, 2020 조수연 교수가 공동 연구로 참여한 Polymorphic spin, charge, and lattice waves in vanadium ditelluride 이 Advanced Materials 에 게재 승인이 났습니다. 축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