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우리 연구실은 선천 면역 반응과 후천 면역 반응이 어떻게 기능하고 조절 받으며,
나아가 세포 내 어떤 경로와 상호 작용 하는지에 대한 기전을 연구합니다.
우리 연구실은 선천 면역 반응과 후천 면역 반응이 어떻게 기능하고 조절 받으며,
나아가 세포 내 어떤 경로와 상호 작용 하는지에 대한 기전을 연구합니다.
A. cGAS-STING 매개 선천 면역 경로의 다양한 기능 및 기전 연구
cGAS-STING 경로는 세포 내의 DNA를 인식해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선천 면역 경로로 알려져 있으며, 감염 및 손상을 받은 세포에 대한 대응 및 항암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등 우리 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이러한 cGAS-STING 경로의 자세한 기전과 여러가지 세포 내 대사 경로와의 연관성을 규명해 cGAS-STING 경로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이해와 이를 이용한 임상 연구 분야에 새로운 표적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STING의 활성화를 조절하는 PTM과 기작 연구
세포 내 소기관과 STING 경로와의 상호 조절
세포 내 대사 경로와의 상호 작용 및 기전 규명
B. 종양 미세 환경의 면역 세포 연구
종양 미세 환경은 종양의 촉진과 전이에 관여하고 있으며 면역 세포, 혈관 세포, 기질 세포 등 다양한 세포들이 끊임없이 상호 작용하여 이루어진 복잡한 환경입니다. 그 중에서도 대식 세포와 T 세포는 종양 미세 환경에 높은 비중으로 침투해 있으며 환경 내 다양한 자극에 따라 종양의 성장을 증진 시키기도 하고 저해 시키기도 합니다. 우리 연구실 에서는 종양 미세 환경 내에서 면역 세포와 종양 간의 상호 작용 및 종양 미세 환경에서 세포 외 기질이 어떻게 조절되며 이러한 상호 작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관한 연구를 통해 종양 억제 기작을 밝히고자 합니다.
대식 세포와 종양 세포의 상호 작용 기작 및 세포 외 기질 조절 규명
저산소증과 수지상 세포 그리고 종양과의 관계를 규명
항암 면역 반응에서 수지상 세포 및 T 세포의 역할 규명
C. 호염구 전구 세포의 발달 과정과 기능 연구
호염구는 과립구의 일종으로, 선천 면역 반응과 제 2 면역 반응에 관여하고 있음이 알려져 왔습니다. 호염구의 발달 과정은 골수와 비장에서 진행되며, 특히 골수에서 해당 세포의 발달 과정이 완료되는 것으로 알려져 왔습니다. 우리 연구실에서는 호염구 발달 과정 도중에 존재하는 새로운 세포를 규명하였으며, 이러한 새로운 발달 단계에서 달라지는 유전체 분석을 통해 해당 세포군이 실제 제 2 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기능들을 규명하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