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천조씨(白川趙氏)의 시조(始組)인 조지린(趙之遴)은 중국(中國) 송(宋)나라 태조(太組 : 조광윤)의 맏아들인 덕소(德昭)의 아들로 979년(고려 경종 4, 송나라 태평흥국 4년) 난을 피하여 바다를 건너 은천현(銀川縣) 도태리(都台里 : 황해도 배천)에 정착 세거(定着世居)하면서 시원(始原)을 이루게 되었다. 그는 고려 현종조(顯宗朝)에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로 좌복야·참지정사(參知政事)에 이르렀고, 그의 아들 양유(良裕)가 덕종(德宗)과 정종조(靖宗朝)에 걸쳐 판위시승(判衛寺承)을 지내고 추의찬화익조공신(推義贊化翊祚功臣)으로 문하시중(門下寺中)에 오르고 배천군(白川郡)에 봉해졌다. 그리하여 후손들은 배천(白川)을 관향(貫鄕)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그 후 양유(良裕)의 아들 선정(先正)이 1047년(고려 문종 원년)에 과거에 올라 벼슬이 은청광록 대부(銀靑光祿大夫)로 문하시중(門下寺中)·태자태사(太子太師)에 이르렀다.
대제학(大提學)을 역임한 옥(玉)의 아들 문주(文胄)는 병부상서(兵部尙書)를 지내고 고종(高宗) 때 위사공신(衛社功臣)으로 은천군(銀川君)에 봉해져서 아들 오(傲)·진(珍) 형제와 함께 가문을 중흥시켰다. 후손들이 본관을 白川 (땅이름은 백천이 아닌 배천으로 발음한다)으로 하고 있으며 묘소는 황해도 연백군 운산면 도태리 고정산에 있고, 향사일은 10월 1일이다.
조선조(朝鮮朝)에 와서는 「임란사충신(壬亂四忠臣)」의 한 사람인 헌(憲)이 이름을 날렸는데, 그는 응지(應祉)의 아들로 태어나 일찍이 율곡(栗谷) 이 이(李 珥)와 우계(牛溪) 성 혼(成 渾)의 문하에서 글을 배워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하여 홍문관정자(弘文館正字)·호조 좌랑(戶曹佐郞) 등을 거치고 통진 현감(通津縣監)에 올라, 누차에 걸친 상소(上疎)와 직간(直諫)으로 인해 왕의 노여움을 받아 한때 유배(流配)·파직 또는 벼슬이 깎이는 등 많은 파란을 겪었으나 선조(宣組) 때 이조 판서(吏曹判書), 영조(英組) 때는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되었다. 특히 그는 문장(文章)과 덕행(德行)이 뛰어났고, 이 이(李 珥)의 학문(學問)을 계승시킨 학자(學者)로 「중봉집(重峰集)」·「중봉동환봉사(重峰東還封事)」 등을 집필하였다. 부호군(副護軍) 충(庶)의 아들 정호(政虎)는 광해군(光海君)때 문과(文科)에 급제하고 전적(典籍) 등을 지내다가 인조반정(仁組反正) 후 지평(持平)을 거쳐 대사간(大司諫)에 올라 인조(仁組)가 부친(父親) 정원군(定遠君)을 원종(元宗)으로 추존하려 하자 이를 반대하다가 한때 파직되었으나 다시 기용되어 병조 판서(兵曹判書)와 강원도 관찰사 등을 지냈다.
정호(政虎)의 아들 석윤(錫胤)은 인조(仁組) 때 별시문과(別試文科)에 올라 호당(湖堂)에 뽑혀 사가독서(賜暇讀書)로 학문을 연마하고 수찬(修撰)·승지(承旨) 등을 거쳐 대사간(大司諫)을 역임 한 후 효종(孝宗) 즉위년에 양관 대제학(兩館大提學)으로 「인조실록(仁組實錄)」 편찬에 참여했다. 겸행(謙行)의 아들인 석주(錫周)는 숙종(肅宗) 때 정시문과(庭試文科)에 급제하여 장령(掌令)을 역임했으나 만년에는 시주(詩酒)를 즐기며 학문에만 진력했고, 죽은 후 효행(孝行)과 청백(淸白)으로 도승지(都承旨)에 추증되었다. 이밖에 석록(錫祿)·상한(相漢)이 군수(郡守)를 역임했고, 수달(壽達)이 현감(縣監)을 역임하여 가문을 빛냈다.
문정공파(文貞公派)
복흥부원군파(復興府院君派): 숙위공파ㆍ경은공파ㆍ평숙공파ㆍ유후공파
은천군파(銀川君派): 강소공파ㆍ판서공파ㆍ충위공파ㆍ참의공파ㆍ문정공파
숙위공파 : 승지공파ㆍ경은당파ㆍ평숙공파로 분파되어
연백, 개풍, 김포, 강화, 청원, 북청, 정주, 논산, 선천, 해주, 파주, 정산 등지에 살았다.
유후공파는 연백에 살았으며
강소공파(조성주)는 연백ㆍ아산ㆍ여주에
충현공파(조천주)는 옥천ㆍ정주에
찬성공파(조인주)는 청양과 그 인접지역에
시중공파(조종주는 대동(大同)ㆍ중화ㆍ북청에 살았다.
문정공파(조용)는 천원에 살았다.
[ 대표적 인물(代表的人物) ]
조성주(成柱) : 고려 때 평장사(平章事)
조중장(仲璋) : 병부상서
조문위(趙文胃) : 찬성사
조헌(憲) : 임진왜란 때 금산(錦山)에서 일본군과 싸우다 순절한 의병장.
조반(珊)
조기(琦) :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2등으로 은천군에 봉해지고, 친군위 상진무에 이르렀다.
조정호(廷虎) : 광해군 때 문과에 급제, 인조반정 후 대사간에 올라 인조의 부친 정원군을 원종으로 추존하려는 데에 반대하다 파직되었다. 뒤에 병조판서·강원도 관찰사를 지냈다.
조석윤(錫胤) : 호종 때 대제학.
배천조씨(白川趙氏)는 조선조에서 문과 급제자68명, 대제학 1명, 호당1명, 청백리1명, 공신 2명을 배출했다.
경기도에는 여주군 가야면 금당리
김포군 고촌면 풍속리
강화군 양사면 교산리
충남 청양군 화성면 광평리
황해도 연백군 도촌면 마천리
평남 용강군 대대면 화도리
평북 정주군 덕언면 덕성동
함남 북청군 속후면 광천리, 현금리
배천(白川)은 황해도(黃海道)에 위치하는 지명(地名)으로, 본래 고구려 도랍현(刀臘縣)인데 신라 경덕왕(景德王)이 구택( 澤)으로 고쳐 해주군 영현으로 삼았고 고려초(高麗初)에 배주(白州)로 고쳤으며 현종(顯宗) 때 평주(平州)에 속했다가 의종(毅宗) 때 다시 배주(白州)로 하여 해주(海州)에 속하게 하였다.
고종(高宗) 때 복흥군(復興郡)으로 승격되었으나 공민왕(恭愍王) 때 배주(白州)라 고쳤고 1413년(태종 13)에 배천군으로 개칭되어 경기도(京機道)로 부터 황해도(黃海道)로 옮겼고, 1562년(중종 21)에는 현(縣)으로 강등시켰다. 1895년(고종 32) 군(郡)으로 승격하였고, 1914년 연안(延安)에 병합되어 연백군(延白郡)이 되었다.
병신보 : 1716년(숙종 42년)
기묘보 : 1759년(영조 35년)
병자보 : 1780년(정조 4년)
갑자보 : 1804년(순조 4년)
경술보 : 1850년(철종 1년)
경진보 : 1880년(고종 17년)
계묘보 : 1903년(광무 7년)
계해보 : 1923년
정유보 : 1957년
무오보 : 1978년
갑술보 : 1997년 12. 16. 국내최초로 족보를 CD-ROM으로 제작했다.
28세-원(源)/29 - 근(根)/30 - 증(增)/31 - 종(鍾)/32 - 준(濬)/33 - 휘(彙)/34 - 환(煥)/35 - 오(吾)/36 - 혁(赫)/37 - 건(虔)/38 - 익(翼)/39 - 구(九)/40 - 재(宰)/41 - 선(善)/42 - 연(淵)/43 - 영(榮)
숙위공파:
31 - 종鍾○. 병柄○/32 - ○준濬. ○인仁/33 - 휘彙○. 언彦○/34 - ○환煥. ○녕寧/35 - 오五○. 오晤○/36 - ○혁赫. ○경京/37 - 건虔○. 호虎○/38 - ○익翼. ○겸謙/39 - 구九○. 광光○/40 - ○재宰. ○남南/41 - 선善○. 석錫○/42 - ○연淵. ○순淳/43 - 영榮○. 정楨○/44 - ○병炳. ○희熙/45 - 규圭○. 재載○/46 - ○용鎔. ○호鎬/47 - 영永○. 락洛○/48 - ○빈彬. ○표杓
평숙공파(定州):
30 - 광光○/31 - ○균均. ○옹翁/32 - ○석錫. ○호鎬/33 - ○연淵. ○순淳/34 - 병秉○. 동東○/35 - ○희熙. ○욱煜/36 - 재在○. 시時○/37 - ○현鉉. ○용鎔/38 - 태泰○. 치治○/39 - ○주柱. ○근根/40 - 찬燦○.훈勳○/41 - ○기基. ○배培/42 - 진鎭○. 종鍾○/43 - ○하河. ○흡洽
경렬공:
28 - ○근根/29 - 火변/30 - ○증增○기基/31 - 종鍾○호鎬○/32 - ○준浚○준濬 /33 - 상相○휘彙○/34 - ○렬烈○환煥/35 - 원垣○/36 - 金변/37 - 호浩○/38 - ○삼杉/39 - 병炳○/40 - ○배培/41 - 선善○/42 - ○구求/43 - 주柱○/44 - ○현炫/45 - ○균均/46 - 金변/47 - 락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