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성원 (Kim, Sung Won)
연락처: 👉 교수소개 >교수진 > 화공생물공학과
소속 및 직위:
한국교통대학교, 화공생물공학과, 교수
한국화학공학회 제9대 유동층 부문위원회 위원장
학 력 및 경력
2002 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과 공학박사
2002 - 2003 Post-Doctoral Fellow, 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Canada
2004 - 2006 LG화학 기술연구원
2007 – 2015 SK이노베이션 기술원
2015 – 현재 한국교통대학교 공과대학 화공생물공학과 교수
주요 연구 경력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Vancouver, Canada
고밀도 순환유동층에서 기체-고체 흐름 거동에 관한 연구
LG화학 기술연구원
(1) EDC 열분해 반응기 내 Coke 형성 방지 기술 개발
(2) Vinyl chloride 공정 Oxy-chlorination 유동층 반응기 독자 설계/개발
(3) Vinyl chloride 공정 순환유동층 EDC열분해 반응기 개발,
SK 이노베이션 기술원
(1) Fluid Catalytic Cracking 반응기 유동층 이론 분석/Troubleshooting, 신규 Startup 절차 개발, 공정문제 원인분석, FCC촉매 평가법 정립
(2) 중질유분의 방향족 및 올레핀화 기술(공정/반응기) 개발
(3) 순환유동층 나프타 접촉분해 올레핀 반응기 개발: Scale-up 및 상업화 연구
(4) 바이오매스 폐기물을 이용한 유동층 열분해 기술(공정/반응기) 개발
(5) 석탄 가스화 가압 순환유동층 반응기 및 저급석탄 건조기 개발
(6) Platform Technology 구축 (반응기 Scale-up/촉매 Kinetics 이론 정립)
(7) 중질유 탈황(Heavy Oil Desulfurization) 및 잔사유 접촉분해 (RFCC) 반응/공정 특성화
2015. 9 – 현재: 한국 교통대학교
(1) 유동층 Cold Model에서의 CNT 촉매 및 입자의 수력학적 특성 연구 (SK이노베이션: 2016-2017)
(2) 석유정제업에서 환경 최적가용기법 기준서 마련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2016)
(3) 통합법 대상 업종별 시설 설치․관리기준 및 오염물질의 측정․조사 기준 마련 (환경부: 2017)
(4) 통합환경관리를 위한 환경관리 기술현황 조사- 플라스틱제품 및 자동차부품 제조업 (국립환경과학원: 2017)
(5) 나노튜브 형상에 기반한 CNT 입자의 유동성 및 열전달 특성화 (한국연구재단: 2017-2019)
(6) FPDH 촉매의 성능구현을 위한 유동층 반응기 설계 기술 개발 (융합연구단: 2018-2019)
(7) 태양광을 이용한 공정 공급용 유동층 Air Heater 개발 (한국교통대학교 공학센터: 2018)
(8) CNT 유동층을 이용한 집광형 태양열 기체 예열 기술 개발 (한국연구재단: 2019-2021)
자문 용역 (2015 이후)
SK이노베이션: FCC process 운전 절차 개선 및 촉매 유동성 개선안
환경부 대기환경: Cement, Refinery, Iron/Steel making processes
C1 refinery: 10개 공정 후보안에 대한Economic feasibility
환경오염시설의 통합관리에 관한 법률 관련 실무 (E사)
LG화학, 금호석유화학 유동층 반응기 관련 자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