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HOME > Research
HOME > Research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medical devices, the medical devices must be analyzed and evaluated in accordance with the medical device usability engineering procedure within IEC 62366:2022 standard. Also, as the software medical devices market expands, we develop a usability assessment methodology for software medical devices and composite medical devices using eye-tracking technology.
IEC 62366:2022 규격에 의거하여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엔지니어링 절차를 따라 의료기기의 사용적합성을 분석 및 평가합니다. 또한,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시장이 확장됨에 따라 시선을 추적하는 아이트래커를 활용하여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혹은 복합형 의료기기의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론을 개발합니다.
2022.05~ 2022.11 코로나19 키트 사용적합성 평가
For SaMD user interface usability tests, interviews and surveys are usually used to collect data. Only qualitative data collected from interviews, surveys, and questionnaires that relys on how people think and respond. Through eye tracking technology, quantitative data can be collected and be used for usability tests. IEC 62366:2020 standard requires how users perceive, understand information for safety as it relates to usability. Quantitative data on this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with eye tracking technology.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UI 사용적합성 평가 설문 및 인터뷰를 통해 얻은 정성적 데이터로 평가를 진행하는데 아이트래킹로 통해 설문과 인터뷰로는 얻지 못하는 객관적이며 사용자가 인식할 수 없는 데이터 수집이 가능합니다. IEC62366:2020 규격에서 요구하는 사용적합성과 관련된 안전에 있어 사용자가 정보를 어떻게 감지하고 이해하며 사용하는지를 eye tracking을 통해 정량적 데이터를 얻을 수 있습니다.
To be updated...
To assess the usability of medical devices in hospital environments, we developed indicators that can identify and evaluate patient safety factors by analyzing medical devices, users, and usage environment. Based on the developed indicators, we intend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medical devices' patient safety factors and contribute to improving patient safety and medical quality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의료환경, 특히 병원 환경에서 의료기기의 사용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해 의료기기와 사용자, 사용환경을 분석하여 환자안전 요소를 발굴하고 평가하기 위한 지표를 연구 개발합니다. 개발한 지표를 바탕으로 의료기기의 환자안전 요소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환자안전과 의료질 향상에 이바지하고자 합니다.
2022.03~ 2022.10
SNUH-SPIRIT 의료기기 사용환경 사용적합성 연구 - 의약품주입펌프
Using a customized dataset based on the NHIS's neonatal-maternity DB, we evaluate disease risk factors and analyze medical use to provide clinical evidence for Health Policy. Specifically, we compare the differences in medical service use and medical expenses due to acute LRTI such as infant pneumonia and bronchiolitis in premature and full-term infants and check the effectiveness of Synagis in high-risk groups and premature infants. In addition, the economic evaluation of the Syangis is performed by estimating both direct and indirect medical costs of infection prevention measures.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신생아-산모 연계 DB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Data set를 활용하여, 질병의 위험요인을 평가하고 의료 이용을 분석해 의료 정책의 임상적 근거자료를 제공합니다. 구체적으로, 미숙아와 만삭아에서의 영아기 폐렴, 모식기관지염등의 급성 하기도 감염으로 인한 의료서비스 이용 및 의료비 지출 차이를 비교하고 급성 하기도 감염에 대한 고위험군 및 미숙아에서의 시나지스 접종의 효용성을 확인합니다. 덧붙여 감염 예방책의 직·간접 의료 비용을 추계하여 시나지스 접종의 경제성을 평가합니다.
In need of a high degree in severity and for specialized treatment in tertiary children’s hospitals in Korea, our study is with respect to research on the role of appropriate pediatric hospitalists.
We examine the impact of the system on the changes in the medical environment by analyzing medical-related indicators and surveys of patients, caregivers, and medical staff conducted before and after hospitalist placement in the Department of Pediatric Hematology/On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Also, we continue discussions on how to improve the hospitalist operating system.
중증도와 전문적 진료의 필요성이 높은 국내 3차 어린이병원의 상황에서 적절한 소아형 hospitalist의 역할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합니다.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 혈액 종양 분야의 지도자형 hospitalist 배치 전후로 의료 관련 지표 분석 및 환자 보호자, 의료진에 대한 설문 조사를 수행하여 제도의 도입이 의료 환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hospitalist 운영 시스템의 개선을 위한 논의를 지속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