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는 말처럼, 감염병은 인류 역사에서 끊임없이 등장
절대적인 수로나 인구 대비 비율로나 큰 희생을 낳은 감염병의 확산이 있었으며, 그 결과 경제 구조의 큰 변화가 나타나기도 함
여기서는 14세기 흑사병, 16세기 콜럼비안 교환, 17세기 이탈리아 페스트, 20세기 스페인 독감의 경과와 장단기 영향을 살펴보고자 함
단, 이후에 제시되는 수치를 절대적으로 받아들이면 안됨
현대적 인구 통계가 부족, 그리고 감염병의 특성(모든 인구의 감염 여부와 경과를 확인할 수 없음)으로 매우 대략적인 규모만 파악할 수 밖에 없음
유스티니아누스 역병 (Justinian's plague)
541년 동로마(비잔티움) 제국의 서로마 제국 회복 전쟁 기간 중 시작 → 750년까지 이어진 일련의 감염병 확산
기록과 고고-생물학적 증거로 최초의 페스트 확산으로 추정
약 2,500만--5,000만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
흑사병
페스트(Yerisinia Pestis)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 직접 전염되지 않음
보통, 쥐 → 쥐벼룩 → 사람의 단계를 거쳐 전염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하지만, 쥐와 쥐벼룩만 매개체가 아니었을 수 있음
다람쥐, 양, 낙타 등도 페스트에 걸릴 수 있기 때문
페스트는 폐렴을 유발하고 비말에 의해 매개체가 없이 사람 사이에 전염될 수도 있음 → 폐 페스트
하지만, 특정(보통 춥고 습한) 환경에서만 발생
서유럽에서의 확산: 1347-1352년 (McNeil 1976)
1331년 흑사병으로 추측할 수 있는, 중국의 감염병 기록이 있음
1346년 흑해(Black Sea) 카파(Caffa)까지 확산
1347년 프랑스 마르세이유 상륙
유럽의 사망자 수, 최대 5,000만명
인구 비율로는 최대, 유럽 인구의 1/3 - 2/3 감소한 것으로 추정
북아프리카, 아시아에도 영향을 주었지만, 그 규모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
이후 17세기, 17-18세기, 19세기에도 창궐
WHO, 2010-2015, 감염 3,248건, 사망 584건 보고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
콜럼비안 교환 (Columbian Exchange)
1492년,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발견 후,
구세계와 신세계 사이, 경제적 교역뿐만 아니라, 감염병의 교환
50-100년의 기간 동안 발생 (Nunn and Qian 2010)
구세계에서 신세계로
홍역(measles), 천연두(smallpox), 티푸스(typhus)
자료 부족으로 정확한 피해 규모를 측정하기 어려움
특정 지역의 경우 85-90%의 인구 감소,
카리브해의 타이노 인디언 (Taino Indians)은 사실상 절멸 (Livi-Bacci 2017, 2장)
신세계에서 구세계로
매독(syphilis)
유럽 인구의 5% 정도 감염된 것으로 추정
17세기 중엽의 확산
1623-1632년, 프랑스 북부, 네덜란드, 라인란트 등
1625년, 잉글랜드, 독일 북중부
1628-1629년, 피레네 산맥부터 바바리아, 스위스까지
1629년, 이탈리아 북부
1631년, 이탈리아 중부 (토스카나)
1629-1630년, 스페인 카탈루냐
1647-1657년, 스페인 동부
1652년, 지중해 사르데냐 섬
1656년, 나폴리 왕국
1656-1657년, (시실리 섬 제외) 이탈리아 남부
주요 상업 도시의 타격이 컸음
암스테르담, 런던, 베니스
도시 내에서도 거주 구역 별로 영향이 다름
거주 환경 열악, 밀집 지역의 피해가 큼
전쟁을 통한 전파
감염을 막기 위한 조직적 활동
격리
산, 강, 항구 등 봉쇄
이동 제한
감염 지역 또는 집에 대해서는 격리 구조물 설치
방문 의사 (a plague doctor)
소독
폐기물 처리, 우물 소독
세 차례 확산
1918년 3월 - 여름
1918년 가을
1919년 봄
2차가 1차보다 더 심각
전 세계적으로 약 4,000만명-1억명 사망
미국 약 67만 5,000명 사망 (1910년 인구의 0.8퍼센트)
흑사병 → 중세 봉건제의 약화
봉건제
농노는 영주의 영지를 벗어나서 거주할 수 없고,
영지의 토지를 분할 받아 경작을 하고 그 대가로 노동, 현물(특산품) 등을 제공
토지에 예속되어 있던 농노의 지위 향상
심각한 인구 감소 → 노동력 부족
노동, 현물이 아니라, 현금 지대를 납부
임금 노동으로의 전환을 촉진, 노동 임금의 상승
당시 임금 노동자의 수가 많지 않았다는 반론도 있음
콜럼비안 교환으로 인한 역사적 분기 (Acemoglu and Robinson 2012, Diamond 1999)
남아메리카
백인 지배 vs. 수입된 흑인 노예 + 원주민
→ 강압적(coercive) 지배 체제
북아메리카
이민자 vs. 원주민 그리고 이민자 vs. 식민 모국
→ 포용적(inclusive) 지배 체제
17세기 페스트로 인한 작은 분기(Little Divergence, Alfani and Peroco 2019)
이탈리아를 비롯 남유럽의 쇠퇴 ↔︎ 영국을 비롯 북유럽의 성장
하지만, 대서양 무역의 활성화와 겹치므로, 페스트가 유일한 요인이라고 단언하기 어려움
인구 밀집 지역의 피해가 큼
저소득 층의 피해가 큼
개인 위생은 보건 인프라와 결합될 때 의미가 있음
경제적 여파를 고려해야 함
Acemoglu, Daron and James Robinson (2012), Why Nations Fail: The Origins of Power, Prosperity, and Poverty. Crown Business, New York. (최완규 옮김, 2012,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시공사.)
Alfani, Guido and Tommy E. Murphy (2017), “Plague and lethal epidemics in the pre-industrial world.” The Journal of Economic History, 77, 314–343.
Alfani, Guido and March Percoco (2019), “Plague and long-term development: the lasting effects of the 1629–30 epidemic on the Italian cities.” The Economic History Review, 72, 1175–1201.
Diamond, Jared M. (1999), Guns, Germs, and Steel: The Fates of Human Societies. W. W. Norton & Company. (김진준 옮김, 2005, 총, 균, 쇠, 문학사상사.)
Livi-Bacci, Massimo (2017), A concise history of world population, 6th edition. Wiley Black-well. (송병건 옮김, 2009, 세계 인구의 역사, 해남.)
Nunn, Nathan and Nancy Qian (2010), “The columbian exchange: A history of disease, food, and ideas.”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24, 163–188.
McNeil, William H. (1976), Plagues and Peoples, Anchor Books. (김우영 옮김, 2005, 전염병의 세계사, 이산.)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 “Plague.” https://www.who.int/news-room/ fact-sheets/detail/plague.
동영상은 다른 교수님들과 만들고 있는 포드캐스트의 일부분입니다.
지금까지 코로나19의 특징, 보건과 방역, 경제 전망과 정책 방향,
그리고,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자기 돌봄 등 폭 넓은 분야의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에스프레소 포드캐스트도 봐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