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site
Embedded Files
  • Home
  • Yonsei University
  • HTAN
    • HTAN 서포터즈
  • K-BioX
    • K-BioX Website Team
    • K-BioX Eagles
  • VIPs
  • About Summit 6
    • Program
    • Netbook
    • Gallery
  • Photos
  • Registration
  • Sponsorship
    • 후원사 모아보기
    • 후원 안내
  • Location
    • FAQ
 
  • Home
  • Yonsei University
  • HTAN
    • HTAN 서포터즈
  • K-BioX
    • K-BioX Website Team
    • K-BioX Eagles
  • VIPs
  • About Summit 6
    • Program
    • Netbook
    • Gallery
  • Photos
  • Registration
  • Sponsorship
    • 후원사 모아보기
    • 후원 안내
  • Location
    • FAQ
  • More
    • Home
    • Yonsei University
    • HTAN
      • HTAN 서포터즈
    • K-BioX
      • K-BioX Website Team
      • K-BioX Eagles
    • VIPs
    • About Summit 6
      • Program
      • Netbook
      • Gallery
    • Photos
    • Registration
    • Sponsorship
      • 후원사 모아보기
      • 후원 안내
    • Location
      • FAQ

Tap the link and secure your spot for Summit 6 on May 2nd! 


HTAN




HTAN

Human Tumor Atlas Network

HTAN 은 미국 국립암연구소(NCI)의 Cancer Moonshot 이니셔티브로 출범한 협력 연구 네트워크z로, 다양한 암 유형에 걸쳐 암의 발생과 진화 과정을 세포적, 형태학적, 분자적으로 3차원 아틀라스로 구축하여 전암 병변부터 치료 저항성에 이르기까지 암의 전 생애 주기를 정밀하게 규명하고자 합니다.

HTAN 웹사이트 바로가기

HTAN

Data Coordinating Center (DCC)

HTAN 데이터 조정 센터(DCC)는 HTAN 아틀라스 팀과 전체 네트워크를 지원하며, 데이터 저장·공유, 분석 도구 개발, 커뮤니티 연계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또한, 임상 데이터 및 메타데이터 표준화와 확장 가능한 데이터 모델 개발을 주도하여 HTAN 데이터의 접근성과 상호운용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DCC는 TCGA, AACR Project GENIE 등 주요 컨소시엄 참여 경험과 cBioPortal, Synapse 등의 오픈소스 개발 경험을 가진 네 개 기관의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HTAN과 암 연구 커뮤니티 전반의 협력적 연구 환경 조성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Tae Hyun Hwang, M.D., Ph.D.

황태현 교수는 Mayo Clinic에서 Florida Department of Health Cancer Chair Professorship을 보유하고 있으며, 인공지능(AI) 및 정밀의료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Mayo Clinic의 인공지능 및 정보학, 면역학, 암 생물학 부서에서 AI를 활용한 암 치료 및 환자 맞춤형 치료 연구를 이끌고 있습니다. 특히, 3D 및 4D 분자 모델링을 통해 암의 진행 및 치료 반응을 연구하며, 정밀 종양학, 면역 종양학, 세포 치료와 같은 분야에서도 중요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NASA의 NSCOR 프로그램과 여러 SPORE 프로그램에서 바이오인포매틱스 및 암 생물학 분야의 리더로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웹사이트 바로가기

Ken Lau, M.D., Ph.D.

Ken Lau 교수는 Vanderbilt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생명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단일세포 기반의 고차원 생명정보 분석을 통해 장 상피세포의 기능, 이질성, 그리고 질병 기전을 정밀하게 규명하는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Lau 교수는 단일세포 RNA 시퀀싱, CyTOF, 다중 면역형광 이미징(MxIF) 등 최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장내 미생물과 면역세포, 상피세포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특히, 염증성 장 질환 및 대장암 등에서 상피세포의 분화, 재프로그래밍, 세포 운명 변화에 주목하며, 이러한 메커니즘을 치료적 타깃으로 전환하는 연구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정밀의학과 면역미세환경 연구의 교차점에서 Lau 교수의 연구는 조직 수준의 통찰과 분자 수준의 정밀성을 결합함으로써, 차세대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웹사이트 바로가기

Rong Fan, M.D., Ph.D.

Rong Fan 교수는 Yale University 생의학공학 및 병리학과의 Harold Hodgkinson 석좌교수로, 단일세포 및 공간 오믹스 기술을 활용한 조직 생물학 및 질병 연구 분야의 선도적인 연구자입니다.


Fan 교수는 세계 최초의 42-plex 단일세포 단백질 분석법을 비롯해, 조직 내 전사체 및 단백질을 정밀하게 매핑하는 DBiT-seq, 공간 후성유전체 분석 기술인 spatial-ATAC-seq, spatial-CUT&Tag 등을 개발했습니다. 최근에는 FFPE 조직에서도 적용 가능한 Patho-DBiT를 통해 다양한 RNA 종의 공간 분석도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뇌, 종양, 심혈관 질환 연구에 활용되며, 정밀의료와 차세대 치료법 개발에 핵심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웹사이트 바로가기

Linghua Wang, M.D., Ph.D.

Dr. Wang은 MD Anderson Cancer Center 유전체의학과 부교수로, Computational Biology Laboratory를 이끌며 암 유전체학, 면역정보학, 공간 단일세포 오믹스 기반의 종양 미세환경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종양의 발생부터 전이, 치료 반응 및 내성까지 전 과정을 정밀 분석하며, 치료 반응 예측과 병용 요법 타깃 발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NIH/NCI 및 CPRIT의 주요 과제를 이끌고 있으며, Break Through Cancer 및 GI SPORE 프로그램 등에서 데이터 과학 리더로 활약하고 있습니다.


웹사이트 바로가기

Mingyao Li, M.D. Ph.D.

​Dr. Mingyao Li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페렐만 의과대학(Perelman School of Medicine) 생물통계학 및 역학과의 교수로 재직 중이며, 유전자 치료 프로그램의 생물통계학 디렉터이자 단일세포 및 공간 유전체 통계 센터의 디렉터를 맡고 있습니다.​


그녀의 연구는 단일세포 전사체학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간 질병 관련 조직의 세포 이질성과 유전자 발현 다양성을 이해하고, 세포 상태 전이 및 세포 간 상호작용 패턴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Dr. Li는 NIH의 유전학 및 계산생물학 관련 심사위원으로 활동했으며, Statistics in Biosciences 저널의 부편집장을 역임하는 등 학계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웹사이트 바로가기

E-mail: official@kbiox.net

COPYRIGHT ©2024, K-BioX All RIGHTS RESERVED.

FacebookYouTubeLinkedIn
K-BioX Website Team Presents 
박서연 | 권현서 | 김나우 | 김이현 | 김지민 | 김희준 | 서세준 | 이연희 | 정시현 | 김정인 | 조연우 | 김진우 | 김덕원
Report abuse
Page details
Page updated
Report ab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