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B 심사 서류의 내용 및 작성법
(2023년 1월 19일 최종 수정)
기관생명연구윤리심사위원회 (IRB; Institutional Review Board )
‘생명윤리’란 무엇일까요?
- 1971년 생물학자 Potter 『Bioethics, Bridge to the future』 라는 책에서 처음으로 사용
- 인구 증가와 자원 낭비 등으로 인해 지구의 환경과 생태계가 위험에 처하게 되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전 지구적으로 생명윤리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음을 촉구
- 생명윤리를 인간의 활동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했다는 점에서 현대의 환경 윤리의 논의와 비슷
이후 "생명"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서 비롯하여 생명윤리에 대한 다양한 시각들이 존재
1. 생명의료윤리에 대한 고전적 관점
: 인간의 생명 (인간의 삶과 죽음) . 의료행위나 의학에서 파생된 문제들
예1) 고대 그리스 히포크라테스 선서 - ‘환자에게 해를 끼치지 않아야 한다’
의료 기기가 발달하지 않고 의사의 능력이 절대적이었던 시기였으므로 생명의료윤리는 주로 의사와 환자 사이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있음
예2) 1947년의 Nurenberg 회담 - 의료활동과 관련한 법
현대적인 의미의 생명윤리의 시작 (피험자의 알 권리에 대해 논의하기 시작)
- 인간 중심의 '인간에게서의 유용성'의 판단 기준은 인간에 의한 자연 환경 파괴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하지 못함. 인간 중심적인 생명의 도구화는 궁극적으로 인간의 생명도 도구화하여 비인간화에 기여할 수 있음
2. 생명의료 윤리에 대한 현대적 관점: 인간의 질병에 대한 이해
발달하고 복잡한 의료 행위에 있어서 질병에 대한 이해가 복잡해지고 어려워짐에 따라서 환자의 알 권리 부각됨.
치료 과정과 그 결과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환자의 소외 문제가 부각됨.
의료 수혜자의 선택, 수혜자에 대한 지원의 범위 등에 대한 문제 (사회적 분배의 문제)
의술의 발달은 인간의 출생, 죽음의 문제 등 보다 근원적이고 철학적인 생명 존재에 대한 물음에도 영향
의학적 행위에 있어서의 종교, 철학, 인간의 가치 체계에 대한 연구 (Selvakumar & Joseph, 2004)
3. 생명공학윤리 : ‘유전자 조작’ 기술을 위시한 생명공학기술은 ‘생명’의 범위를 좀 더 구체적이고 분자적인 수준으로까지 세분화
생명공학기술의 적용 결과에 대한 정확한 예측? 오류가능성에 대한 과학자들의 합의 도출 어려움.
생명공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야기될 학문의 발전, 경제적 이득, 국가 경쟁력 등 무시할 수 없음
첨단 생명공학기술에 대한 연구 성과가 가져올 결과를 예상하고, 사회적 영향을 살펴보는 등의 과학자의 연구 윤리가 중요
생명 현상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전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들에 대한 검토
(박지영, 김희백, 조은희 and 소경희. (2005). 교과서에 제시된 생명윤리교육 실태 - ‘국어’, ‘도덕’, ‘사회’, ‘과학’, ‘기술·가정’ 교과를 중심으로 -. 교육과정평가연구, 8(2), 151-174. )
연구자들은 연구가 연구참여자들의 교육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으면서 연구를 수행합니다.
그렇지만 제 3자는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하는 이 연구가
어떤 방법으로 진행되며,
어떻게 연구참여자의 동의에 기초하며,
연구 결과를 편견없이 제시할 수 있을지를 판단할 근거가 없습니다.
그래서 (번거로울 수 있고,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IRB 승인을 위한 자료를 준비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