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실한 연구대상자의 답변은 양질의 연구자료가 됨. 연구대상자의 성실한 답변을 얻기 위한 연구자의 노력.
연구대상자의 알 권리를 만족시키는 일. 동시에 연구자도 제시된 범위내에서 연구자료로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음.
연구설명서: 연구대상자들에게 친절하고 자세하게 연구의 내용에 대해서 안내하고 동의를 얻는 서류.
딱딱하고 학문적인 서술은 지양! 연구대상자의 수준에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서술 (연구계획서와 계획서요약을 그대로 복사해서 제시하지 않을 것)
연구대상자에게 연구자가 연구자료로 얻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예, 설문에 대한 응답, 활동모습을 촬영한 비디오 파일, 활동을 녹음한 파일 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형태/횟수/수집 시기 등을 알리기
연구 참여에 대한 보상은 연구자의 의무가 아님.
하지만 보상을 제공하기로 한 경우 구체적인 형태(예, 온라인 상품권, 커피 쿠폰)와 금액을 제시를 권장함.
제시하는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교육적 이점 즉, 내적인 보상 서술.
예 - 중학생들의 소비행동에 대한 연구
동의서에 연구대상자(혹은 보호자)의 사인을 받은 다음에는 다시 연구책임자가 사인한 문서를 연구대상자에게 보냅니다.
질적 연구인 경우에는 논문을 최종적으로 작성한 후에 다시 연구참여자에게 보내서, 연구대상자 본인이 논문중에 제시된 가명 누구이며, 본인이 연구자에게 제시한 내용과 의도가 왜곡되지 않고 반영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치기도 합니다.
이러한 member checking은 논문이 연구자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진술된 것이 아니며 신뢰롭고 타당한 방법에 의해 수집된 자료입을 보여주는 하나의 과정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