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출판

2021. 11. 1 ~ 현재.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과학·보건·사회의 초국적 공진화로 본 한국현대사>

[연구진] 

책임연구원: 신동원(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소장)

공동연구원: 김태호, 문만용(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부소장), 전종욱(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전임교수)

전임연구원: 박진영, 이영주, 정준호(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전임연구원)

연구보조원: 이찬호, 천경서(전북대학교 과학학과 석사과정)

[연구 계획

제1국면: '근대인'의 형성; 근대적 신체-정치관의 체화

제2국면: '현대인'의 형성; 한국적 주체성의 확립과 세계적 발신

[기대 효과

1) 한국인에 대한 새로운 자기 인식; 현대 한국/한국인의 시간적, 공간적 좌표 제시

2) 한국 문명의 '패턴' 제시; 한국 현대사를 과학, 보건, 사회를 아우르는 assemblage로    설명

3) 국제적 수준의 연구소로서 학술연구 선도; 국제적 수월성을 갖춘 학술대회와 연구서    출판

4) 역사에서 미래를 위한 통찰을 수출; 현재와 미래의 보건사업과 정책수립을 위한 교훈   모색

과학기술과 배달 서비스의 성장(양규현, 천경서).pdf

2021. 12. 2 ~ 2022. 2. 10 (완료)

대학원생-대학생 멘토링 지원사업 참여: 자연과학대학장상(장려상) 수상작

[주제]

"과학기술과 배달 서비스의 성장"

[참여]

양규현(전북대학교 과학학과 대학원생), 천경서(전북대학교 과학학과 학부생), 이은경(전북대학교 과학학과 교수)

2023. 2. 8 (완료)

전북대학교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내부세미나 발표

[주제]

"피임 기술의 재생산: 1960년대 한국 플라스틱 자궁내장치 제조의 국산화"

[일시]

2023년 2월 8일() 오후 1시~3

[장소]

전북대학교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407호 자료정보실

[발표]

천경서(전북대학교 과학학과 석사과정, 전북대학교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2023. 2. 24 (완료)

제5회 한국근현대과학사 워크샵 발표

[주제]

"과학기술사로 본 한국인의 건강과 몸"

[일시]

2023년 2월 24일(금) 오후 1시~6시

[장소]

국립중앙과학관 세미나실

[주최/주관/후원]

전북대학교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한국과학사학회/국립중앙과학관

[발표 요약]

1960년대 초기 가족계획사업을 이끈 플라스틱 자궁내장치의 대량생산 과정에 대해서 발표했다. 한국 가족계획사업이 국내에서 급속히 확산되는 데 있어 기술의 특성 등을 고려한 기술적 영향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즉 자궁내장치 대량생산을 위한 물적 기반이 형성되는 과정은 가족계획사업이 급속히 추진될 수 있었던 배경이 되었다. 이를 통해 가족계획사업을 바라보는 관점을 젠더적, 사회/정치적인 관점뿐만 아니라 ‘물적 기반’으로도 확대해볼 수 있었다.

피임 기술의 재생산(천경서, 정준호) 논문.pdf

2023. 6. 30 (완료)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연세의사학』 26권 1호 논문 게재

"피임 기술의 재생산: 1960년대 한국 플라스틱 자궁내장치 제조의 국산화"

[저자

제1저자: 천경서(전북대학교 과학학과 대학원 석사과정, 한국과학기술사 전공)

교신저자: 정준호(전북대학교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전임연구원, 한국의학사 전공)

[핵심어

자궁내장치, 리페스 루프, 미국인구협회, 가족계획, 피임기구

[목차

1) 서론

2) 플라스틱 자궁내장치의 개발

3) 플라스틱 자궁내장치의 한국 도입

4) 리페스 루프의 국산화

5) 결론 

논문 투고일: 2023.4.8

심사 완료일: 2023.5.23

게재 확정일: 2023.5.23

[타 논문 인용(2024.5.22 기준)]

1) 이영주, "한국 피임 기술의 풍경과 여성 사용자들, 1950-1990", 『과학기술학연구』 24:1 (2024), 1-34쪽.

2)

3)

...

[최종] 정보통신 유물의 체계적 관리 및 활용에 관한 연구_1227.pdf

2023. 7. 12 ~ 2023. 12. 31 (완료)

(사)한국정보방송통신대연합 연구용역사업 <정보통신 유물의 체계적 관리 및 활용에 관한 연구>

[연구진] 

책임연구원: 신유정(전북대학교 과학학과 조교수)

외부연구원: 강연실(국립중앙과학관 학예연구사), 최형섭(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연구보조원: 천경서(전북대학교 과학학과 석사과정), 윤자형(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박사수료)

[연구 목표

[Research Fair] 과학학과_천경서.pdf

2023. 11. 24 (완료)

2023년 <JBNU Science Research Fair 학술발표회> 포스터논문 발표 : 자연과학대학장상(은상) 수상작

[저자] 

제1저자: 천경서(전북대학교 과학학과 대학원 석사과정, 한국과학기술사 전공)

교신저자: 정준호(전북대학교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전임연구원, 한국의학사 전공)


[연구 기간

2022.11.01 ~ 2023.03.31


[기 발표내역

1) 2023년 한국과학사학회 제5회 한국근현대과학사 워크샵(2023.02.24)

2)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사연구소 『연세의사학』 제26권 제1호, 2023.06, 125-153쪽. (논문 투고일: 2023.4.8 / 심사 완료일: 2023.5.23 / 게재 확정일: 2023.5.23


[일시 및 장소

2023.11.24.(금) 14:00~16:00 / 전북대학교 진수당 1층 다목적실(163호)

[과학뒤켠 16호] 전체.pdf
[과학뒤켠 16호] 천경서 에세이.pdf

2024. 4. 30 (완료)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정기간행물 『과학뒤켠(Behind sciences)』 16호(2024년 5월호) 필진 참여

[프로필

전북대학교 과학학과 대학원 석사과정, 천경서 (kscheon@jbnu.ac.kr)

[제목

과학학과 학생의 삶: "나는 좋은 요리사가 될 수 있을까?"

(The Life as a Science Studies Student : Can I be a good chef?)

[요약문(국/영문)

‘전북대학교 과학학과’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가? 아마도 과학학 전공자가 아닌 독자라면 ‘과학학’이라는 용어조차 생소하게 느껴질 것이다. 2018년 과학학과 학부 입학 후 대학원생이 되기까지 6년간 사람들에게 가장 많이 받은 질문은 “과학학과가 무엇을 배우는 학과인가?”였다. ‘과학학과’에 대한 부연 설명을 하면 할수록 “과학이면 과학이지, 과학학은 또 뭐람?”과 같은 주변 사람들의 반응을 대수롭지 않게 웃어넘기는 일은 일상이 되었다. 사람들의 이러한 반응과 함께 나도 ‘과학학’을 어떻게 정의할 것이며, 또 연구는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 혼란을 겪은 시기가 있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내가 과학학에 매력을 느낀 이유와 연구와 요리의 비유를 통해 과학학으로 만들고 싶은 요리를 보여주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이 글을 통해 과학학의 정체성에 혼란을 느끼는 학부생뿐만 아니라 연구를 어려워하는 대학원생이 과학학에서 자신의 길을 찾는 데 유익한 참조가 되기를 기대한다.


Have you ever heard of the ‘Department of Science Studies at Jeonbuk National University?’ If you are not a science studies major, even the term “science studies” is probably unfamiliar to you. In the six years between my undergraduate studies in 2018 and my graduate studies, the most common question I received from people was, “What does the Department of Science Studies teach?” The more I explained about ‘Department of Science Studies’, the more I had to laugh off the reactions of people around me, such as “Science is just science, then what is science studies?” There was a time when I was confused about how to define ‘science studies’ and how to conduct research. Therefore, in this article, I explain why I was attracted to science studies and what I would like to make with science studies through the analogy of research and cooking. In conclusion, I hope this article can serve as a useful reference for undergraduate students who are confused about the identity of science studies as well as graduate students who are struggling with research to find their way in science studies.

[관련 링크

https://behindsciences.kaist.ac.kr/%EA%B3%BC%ED%95%99%EB%92%A4%EC%BC%A0-behind-sciences-vol-16-2024-5/

2024. 3. 2 ~ 현재.

전북대학교 과학학과 석사학위논문 연구

[기본 정보

천경서(석사과정), 신유정(지도교수)

[주제

1970-1980년대 한국 소프트웨어 산업 발전사

[내용

비공개

[종합시험 과목

1) 한국근현대과학사통론 (Pass/Fail 여부)

2) 정보통신기술사 (Pass/Fail 여부)

[일정

초고 완료: 2024년 8월 31일

석사학위논문 심사: 2024년 10월 중순

석사학위논문 Proposal 발표: 2024년 9월~11월 중

2024. 4. 13 ~ 현재.

2024 <코리안 사이언스 크루> 활동

[소속

청년교육사회적협동조합, 씨드콥(SEED CO-OP)

[지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창의재단

[활동 주제] 

"우리들의 삶을 바꾼, 우리의 과학 기술"

[활동 팀

서포터즈(팀장), 팀명: 큐리오스

[활동 내용

과학 굿즈 개발 및 홍보/보급 사업 참여

[활동 계획

1) 2024. 4. 25 ~ 2024. 4. 28 <2024년 대한민국 과학축제> 과학 굿즈 홍보 부스 운영

2)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