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활동 기록(2022~)

 

2022

 

2022년 1월,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대학원생-대학생 멘토링 지원사업 멘티 활동을 수료하였고, "과학기술 발전과 배달 서비스의 성장"(양규현; 과학학과 대학원 석사과정, 천경서; 과학학과 학부과정) 논문장려상을 수상하였습니다.

2022년 2월 22일, 전북대학교 2021학년도 전기 학위수여식에 자연과학대학 192명 졸업생 대표(학부 및 단과대학 수석졸업) 1인으로 참석하여 우수졸업생 총장상을 수상하였고, 이학사(과학학 전공), 문학사(철학 복수전공) 학위를 받았습니다.

2022년 3월 2일, 전북대학교 과학학과(Department of Science Studies) 대학원 석박사학위 통합과정(지도교수 신유정)에 입학하였습니다.

2022년 3월, 전북대학교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통합홈페이지 제작 및 운영을 맡았습니다. https://sck.jbnu.ac.kr/sck/index.do

2022년 6월, 전공 6학점(4.25/4.5)으로 대학원 1학기를 마쳤습니다.

2022년 8월, 전북대학교 과학학과 대학원 석박사통합과정 2학기 휴학계를 신청하였습니다.

2022년 10월 7일,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70주년 행사 4일차 때 자연과학대학 학생회 주관 "재학생 과학토크콘서트"에서 "대학원 준비 및 연구실 생활"이라는 주제로 토크콘서트를 진행하였습니다.

2022년 11월, 전북대학교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인문사회연구소지원사업 <과학·보건·사회의 초국적 공진화로 본 한국현대사> 연구과제를 일환으로 정준호 전임연구원과 함께 공동연구를 시작하였습니다.

 

2023

 

2023년 2월 8일, 전북대학교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내부세미나(천경서, 정준호)에서 "피임기술의 재생산 : 플라스틱 자궁내장치(IUD) 제조의 국산화"를 발표하였습니다.

2023년 2월 24일, 제5회 한국근현대과학사 워크샵(대전, 국립중앙과학관)에서 "피임기술의 재생산 : 플라스틱 자궁내장치(IUD) 제조의 국산화" 공동 연구(천경서&정준호)를 13:20~13:40에 발표하였습니다.

2023년 3월 2일, 전북대학교 과학학과 대학원 석박사통합과정에서 '석사학위과정'으로 전환 후 복학하였습니다.

2023년 3월 2일, 2023년 1학기 학부 교양수업 <과학사의 이해(이문규 교수)> 3분반 수업조교(TA) 활동을 시작하였습니다.

2023년 3월 2일, 전북대학교 한국과학문명학연구소 연구조교장을 맡았습니다.

2023년 4월 1일, 국립전북기상과학관 전시해설&기획 공채에서 최종 합격 후 입사를 포기하였습니다.

2023년 4월 11일, 전북대학교 과학학과 학술동아리 <뮤제이온> 대학원생 멘토 활동을 시작하였습니다.

2023년 4월 27일, 국립새만금간척박물관(2023년 7월 개관 예정) 전시&교육 프로그램 전문가 자문위원으로 활동하였습니다.

2023년 4월 28일,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연세의사학』에 공동연구(천경서, 정준호) 논문을 투고하였습니다.

2023년 5월 25일, 『연세의사학』에 투고한 공동연구(천경서, 정준호) 논문이 "수정 후 게재(A/B/B)" 심사 결과서를 받았습니다.

2023년 6월 1일, 2023년 전북대학교 빅데이터 혁신융합대학사업단 빅데이터 서포터즈 교육조교(TA) 활동을 시작하였습니다.

2023년 6월, 2023년 1학기 학부 교양수업 <과학사의 이해(이문규 교수)> 3분반 수업조교(TA) 활동을 마쳤습니다.

2023년 6월, 전공 9학점(4.17/4.5)으로 석사과정 2학기를 마쳤습니다.

2023년 6월 30일, <연세의사학> 26권 1호에 "피임 기술의 재생산: 1960년대 한국 플라스틱 자궁내장치 제조의 국산화"(제1저자 천경서, 교신저자 정준호) 논문이 최종 발행되었습니다.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81572 (ISSN 1226-847X / eISSN 2713-9093)

2023년 7월 1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기획평가원 ICT 진흥 및 혁신 기반조성사업 <정보통신 유물 전시콘텐츠 구성 방안 연구> 연구보조원 활동을 시작하였습니다.

2023년 8월, 전북대학교 과학학과 대학원 연구장학생(장학금 2종) 및 돋움장학생으로 선발되었습니다.

2023년 8월, 전북대학교 과학학과 홈페이지 개편 작업을 시작하였습니다. (지도교수 신유정, 석사과정 천경서)

2023년 9월 1일, 전북대학교 과학학과 교육조교(행정보조 TA) 근무를 시작하였습니다.

2023년 9월 1일, 2023년 2학기 학부 교양수업 <과학사의 이해(이문규 교수)> 5분반 수업조교(TA) 활동을 시작하였습니다.

2023년 10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비영리단체 <천문노트> 부대표 활동을 시작하였습니다.

2023년 11월 24일,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에서 주관하는 <2023 JBNU Science Research Fair>에 참가하여 "피임 기술의 재생산: 1960년대 한국 플라스틱 자궁내장치 제조의 국산화"를 주제로 14:00~16:00에 포스터논문을 발표하여, 총 45팀 중 자연과학대학장상(은상)을 수상하였습니다. 

2023년 12월, 전북대학교 과학학과 홈페이지 개편 작업을 마쳤습니다. (지도교수 신유정, 석사과정 천경서)

2023년 12월 25일, 전공 6학점/논문연구 3학점(4.5/4.5)으로 석사과정 3학기를 마쳤습니다.

2023년 12월 31일, 2023년 2학기 학부 교양수업 <과학사의 이해(이문규 교수)> 5분반 수업조교(TA) 활동을 마쳤습니다.

2023년 12월 31일, 2023년 전북대학교 빅데이터 혁신융합대학사업단 빅데이터 서포터즈 교육조교(TA) 활동을 마쳤습니다.

2023년 12월 3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기획평가원 ICT 진흥 및 혁신 기반조성사업 <정보통신 유물 전시콘텐츠 구성 방안 연구> 연구보조원 활동을 마쳤습니다.

 

2024 ~ 현재

 

2024년 2월 16일,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학술잡지 과학뒤켠(Behind Sciences) 16호에 "과학학과 학생의 삶 : '나는 좋은 요리사가 될 수 있을까?'(Can I be a good chef? Life as a Science Studies Student)" 에세이를 기고하였습니다. (2024년 5월호)

2024년 2월 20일, 전북대학교 과학학과 교육조교(행정보조 TA) 활동을 마쳤습니다.

2024년 3월 2일, 전북대학교 과학학과 학부 전공수업 <과학학캡스톤디자인(신동원 교수)> 수업조교 활동을 시작하였습니다.

2024년 3월 2일, 전북대학교 과학학과 석사학위논문 초고 작성을 시작하였습니다.

2024년 4월 13일, 2024년 민간과학문화활동지원사업의 과학굿즈 개발/보급 활동 지원 프로그램인 <코리안 사이언스 크루(청년 교육 사회적협동조합 소속)> 발대식에서 대표(서류&면접 최우수)로 임명장을 수여하였고, 서포터즈(팀장) 활동을 시작하였습니다.

2024년 4월 27일, 2024 대한민국 과학축제(대전엑스포과학공원)에서 <코리안 사이언스 크루> 부스를 기획·운영하였습니다.

2024년 5월,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학술잡지 『과학뒤켠(Behind Sciences)』 16호에 기고한 "과학학과 학생의 삶 : '나는 좋은 요리사가 될 수 있을까?'(Can I be a good chef? Life as a Science Studies Student)" 에세이가 최종 발행되었습니다. (2024년 5월호, 38-43쪽)

2024년 5월, 전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졸업생 멘토 활동을 시작하였습니다. (취업 또는 대학원 관련 Q&A 진행)

2024년 6월 13일, 전공 3학점/논문연구 3학점(미발표/4.5)으로 석사과정 4학기를 마치고, 석사과정을 수료하였습니다.

2024년 9월,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종합시험(정보통신기술사&STS, 근현대 한국과학기술사)에 응시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