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itions are available
Postdoc/Ph.D./M.Sc. positions are available now
Our lab at Hanyang University invites applications for M.Sc./Ph.D. candidates and Postdoc positions in the areas of nanobiology, nanomedicine, bioengineering, cell/cancer biology, biochemistry, and environmental science. Applicants must be self-motivated and have a strong interest in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나노바이오 연구실은 과학에 열정을 가진 분이라면 누구나 지원하실 수 있습니다. 특히 나노바이오와 연계되어 있는 나노메디슨, 생명공학, 세포생물학, 암생물학, 생화학, 환경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오니 석사, 박사,Post-doc에 관심있으신 분들은 아래 이메일로 CV 및 자기소개서를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
Please feel free to send your CV with the names, address, and contact info to;
Young-Pil Kim Ph.D. (ypilkim@hanyang.ac.kr)
Nanobiology Lab (#537)
Dept. of Life Science, Hanyang University
222 Wangsimni-ro, Seoungdong-gu,
Seoul 04763, Republic of Korea
Tel: +82-2-2220-4590 (lab)
Tel: +82-2-2220-2560 (office)
김영필 (ypilkim@hanyang.ac.kr)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 222
한양대학교 자연과학대 생명과학과
나노바이오 연구실 (537호)
전화: 02-2220-4590 (연구실), 2560 (사무실)
Requirement for Graduation
한양대 나노바이오 연구실 대학원생 선발 및 석박사 졸업기준 (2024년 11월 업데이트)
1. 대학원과정 신입생 지원자
석사, 석박통합, 박사과정 선발기준은 서류전형과 학과공식면접에 의해 결정되나 사전연락 및 방문을 추천합니다.
서류전형은 특히 석사 및 석박통합과정 지원자의 경우 학부성적이 박사과정은 학부 및 석사성적을 참고하게 됩니다. 면접은 생명과학과 교수님들의 면접심사로 진행됩니다.
본 연구실 대학원생 지원자는 학교공식 서류 접수전에 이메일(ypilkim@hanyang.ac.kr)로 우선 성적증명서, 이력서(자기소개서포함)를 제게 보내고 사전 방문(전화도 가능)하기를 추천합니다 (이는 필수사항은 아니지만 지원자가 많은 경우 사전에 우선순위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고 본인이 실험실 환경을 미리 파악할 수 있으니 미리 연락을 주는 학생이 유리합니다. 사전에 방문을 하지 않을 경우, 지원동기 및 인성 등은 서류로만으로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성적 등이 최우선시 될 수 밖에 없습니다).
사전 방문시에는, 먼저 지원자에게 연구실에 대한 다양한 질문을 받고 답변을 해드립니다. 현재 대학원생들과 짧은시간이지만 얘기해 볼 수 있는 기회를 드립니다. 이후에 제가 질문을 통해 지원자의 지원동기, 장래희망, 학업의지, 동료애, 팀웍, 인성 등을 파악하는 방식으로 진행합니다.
사전 방문시 (필요할 경우) 자기논문 지필 능력, 국제화 공동연구 등를 위해서 석사 및 석박통합 학생은 영어공인성적 확인 및 영어논문 지문독해 test를 실시하며, 박사신입생의 경우 석사학위 내용의 10분 영어 talk를 실시합니다.
결론적으로 선발기준은 성적, 동기부여, 인성, 영어능력으로 구분해서 자체평가 후 선발을 합니다.
2. 대학원과정 TO 관련
매학기 마다 석사, 석박통합, 박사과정에 할당되는 TO가 다릅니다. 또한 매학기 실험실 연구비 규모도 변동이 있으므로 지원시기에 몇명을 뽑을 수 있는지는 전반기의 경우 3-4월, 후반기의 경우 9-10월경우 실험실 자체계획이 수립될 수 있으나, 실험실 최종 TO는 학과에서 뽑을 수 있는 전체 TO에 의해 결정됩니다. 사실상 지원접수일이 종료된 시점이후에 알 수 있어 미리 예측할 수 없으니 사전 협의바랍니다.
3. 석사--> 석박통합전환신청자
한양대 생명과학과 석사과정 이수 중 3기에 해당되는 시점에서 석박통합전환을 신청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됩니다. 석박통합전환 신청 시 석사졸업논문 면제, 박사 교과과정 이수기간 단축 등의 혜택이 있으나, 본 연구실의 석박통합전환 선발원칙은 박사이수할 수 있는 능력의 검증 (전공 및 영어)을 실험실 자체 심사후 지원자격을 부여합니다. 다만, 지원 후 학교 TO에 따라 미선정될 수도 있습니다.
4. 석사 학위 및 박사 학위 졸업요건: 학과내규 및 BK내규
1) 석사학위 졸업요건 (학교 및 학과 내규에 의거하여, 아래 내용을 모두 충족해야 함)
졸업이수학점 (24학점 이상, 전공 이수학점 1/2이상)
석사 종합시험 통과 (전공 3과목,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BK소속 학생은 BK필수과목 포함되어야 함)
영어성적 (공인영어성적은 최근 2년내만 인정. TOEIC 730점이상, TOEFL 550 (PBT), 213 (CBT), 79 (IBT)이상, TEPS 605점 이상, IELTS 6점 이상, 한양대 국제어학원 한양 TOEIC시험으로 대체가능 학위논문 신청전까지 합격하여야 함)
지도교수 포함 3인으로 구성된 석사학위 심사위원회의 심의 통과
학술발표- 주저자로 국내외 학술대회 포스터 혹은 구두 발표실적 1건 이상
2) 박사학위 졸업요건 (학교 및 학과 내규에 의거하여, 아래 내용을 모두 충족해야 함)
졸업이수학점 (석박통합과정 57학점, 박사과정 36학점 이상, 전공 이수학점 1/2이상)
박사 종합시험 통과 (전공 4과목,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 BK소속 학생은 BK필수과목 포함되어야 함)
영어성적 (공인영어성적은 최근 2년내만 인정. TOEIC 730점이상, TOEFL 550 (PBT), 213 (CBT), 79 (IBT)이상, TEPS 605점 이상, IELTS 6점 이상, 한양대 국제어학원 한양 TOEIC시험으로 대체가능 학위논문 신청전까지 합격하여야 함)
지도교수 포함 5인으로 구성된 박사 심사위원회의 심의 통과
SCI(E) 논문기준: 주저자 SCI(E) 논문impact factor 합 4.0 또는 주저자 2편 이상의 논문 발표. 주저자가 2명까지는 100 % 인정 , 3명 이상부터는 1/n을 곱해서 반영함. 최근 3년간 JCI impact factor 중 가장 높은 것을 기준으로 사용함
3) BK Four 졸업기준 (2024년 3월부터 적용)
(현재 한양대 생명과학과 BK 사업단이 시작된 2024.3월이후부터 1학기이상 참여한 학생은 모두 해당)
3-1) 석사학위 졸업요건: 학과내규와 동일
3-2) 박사학위 졸업요건 (학과내규를 충족하고, 아래는 학과내규 외 추가 요건임)
① 국내외학술대회 구두 발표 또는 해외장단기연수 또는 Teaching Fellow 1회 이상
② IF 8 이상인 SCI(E) 논문 1편 또는 SCI(E) 논문 2편 이상 (IF 합 8 이상)을 주저자로 게재 (졸업년도 기준 3년 내 IF 중 최상위 IF)
③ 교육혁신운영위원회는 ②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였더라도 참여대학원생의 연구 및 취창업 트랙 구분에 따라
다음의 사항을 고려하여 졸업요건 달성 요건을 판단할 수 있음.
- 연구 트랙인 참여대학원생은 논문의 학문 분야별 보정 IF를 함께 심의한다
(즉, 보정 IF가 높은 경우 IF가 8미만이라도 인정, 보정 IF는 지도교수 및 BK 행정팀에 사전문의).
- 취창업 트랙인 참여대학원생은 특허 및 기술이전 등의 성과를 함께 고려한다
(즉, 학생 특허/기술이전 실적이 우수할 경우에는 IF가 8미만이라도 졸업요건 인정)
④ 박사과정 Proposal 제도 운영: 박사과정생또는 석박통합과정생은 수료 후부터 학위심사받는 직전 학기 사이에
학위논문 심사 committee에 논문 Proposal을 발표하고 심사보고서를 BK21 행정팀에 제출
4) [실험실 요건] 박사학위 proposal 자격 요건
시기: 아래 4가지 요건이 모두 충족될 경우, proposal 예상일 (1학기 6월말, 2학기 12월말까지) 최소 3개월 전에 지도교수에게 요청할 수 있음
4-1) 박사졸업이수 학점, 박사 종합시험, 영어성적 요건이모두 충족된 경우
4-2) 박사학위논문 대주제하에 소주제별로 최소 2개 이상의 chapter를 구성할 수 있을 경우
4-3) 박사학위논문 내용과 관련하여, 주저자 SCI(E)논문 (리뷰논문은 제외)이 1건 이상 출판 혹은 accept되었을 경우
(단, SCI(E) 논문의 총합이 IF 8.0이 충족되지 못했을 경우도 proposal 신청가능하나, 추가 manuscript는 proposal 예상일 전에 submission이 가능해야 함)
4-4) 국제 혹은 국내학술대회 포스터 혹은 구두발표 1건 이상 실적이 있어야 함 (국제학술대회 구두발표는 proposal 이후에 준비가능하고, proposal 이전 혹은 이후 해외학회가 아닌 해외 연구실로 15일이상의 파견연구를 수행할 경우 국제학술대회 구두발표로 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