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08.02.(금) 12:00 ~ 16:00 고양시 산림생태문화센터
INTRO 학교, 이름, 업무 소개하기 + 공감하기
주제 : 한 교실에서의 수준별 수업은 어떤 방법들이 있을까
수준별 학습지를 제작하고 수업할 부분과 추가적인 부분을 구분한다. (예1 - 기본학습지를 다 한 사람은 추가학습지를 가져다 푸는 식으로, 예2 - 기본학습지 마지막에 번외문제를 싣는다)
수준이 비슷한 학교에서는 멘토-멘티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았음 -> 개념을 심도있게 이해하는 방향으로
데스모스를 이용하니 상/하 수준 모두 집중함.
학급성향에 따라 4:1, 1:1 멘토-멘티 프로그램이 효과적 (상 수준 학생도 가르치며 개념 다시 확인)
상 수준 학생도 개념에 구멍이 있기도 하여 개념 위주 문제에 배점을 더 둠. 수준별로 다르게 교육해야 하는가/성취수준에 도달하게 교육해야 하는가
모둠, 멘토-멘티, 개별 모두 실시해보았으나 학급성향에 따라 잘 맞는 것이 달랐음 -> 결국 개념 이해에 중점을 둠.
특성화고 학생들은 수업을 잘 안듣는 친구들이 많아 '수학을 왜 하는지'에 초점을 맞춤 -> 조작활동 + 매일복습 추가
결론 : 하위 학생을 수업에 참여하게 하는게 어렵지만 흥미있는 활동으로 이끌어보고 이 활동이 상위 학생에게도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하는 활동이 되도록 해보자. 교과서 개념의 완전한 이해가 수업의 목표라고 생각하고 수업준비.
수다수다
교사시간표 어떤 배치가 좋을까
학부모 상담의 어려움 -> 교사의 생각보다는 학부모 공감 및 다른 학생과의 상담에서 나온 내용 전달
특이한 학생
부적응 -> 자퇴한 학생
업무보다는 담임이 힘듦
모둠 자리 배치 / 역할
에듀테크 학습자료를 새로 만드는 것은 시간이 많이 걸림 (복사+수정 하다가 하나쯤 만들어 보는 것으로)
동학년 수학교사와의 모둠활동수업 협의 : 자료 주고 '같이 하자', 매번 시도하기 (주의)시험문제 관련없는 실습으로
다음 협의회 : 생각하는 수학수업 1,2 장 읽고 각자 연구한 자료 만들어 발표함.
매 협의회 마다 2-3 챕터씩 연구하면 좋을 것 같음.
9월 협의회는 대면으로 행신고에서. (근데 행신고 협의회실이 5층인데..)
7월 재테크 이벤트 1위 임채범, 2위 이연주, 3위 함미영 ㅊㅋㅊ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