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학술논문

■ 장남원 연구책임자

  • 『미구회람실기』(1878)의 도자관련 기록 검토미술사논단, 2020, 50권, 273-298
  • 동해시[三陟] 삼화동 고려 고분 출토 도자의 성격역사와 담론, 2020, 95호, 191-226
  • 중국 가요(哥窯) 자기에 대한 조선의 인식과 시각화미술사와 시각문화, 2021, 28호, 114-143
  • Perception of Goryeo Celadon in the Context of the Late Joseon Period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1, 제24권 1호, 11-40
  • 고려 전기 ‘순화(淳化)’명 청자 제기류의 현황과 의의 美術史論壇, 2021, 53호, 7-33

■ 한혜선 전임연구원

  • 고려시대 盤口長頸甁의 재질간 형태 공유 양상과 특징│한국중세사연구, 2020, 60호, 193-220
  • 고려전기 의례에 사용된 안(案)의 종류와 의미│역사와 현실, 2021, 119호, 131-163
  • Utilization of Earthenware Pottery for Food Storage in the Goryeo Period│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21, 제24권 1호, 177-212
  • 조선 영조대 연향의궤 속 도기의 용도와 조달방식│한국문화연구, 2021, 40호, 51-79
  • 고려 강도시기 건물지 출토 도자기의 양상과 사용│역사와 현실, 2021, 121호, 67-102
  • 17세기 의궤 속 화원이 사용한 백자의 종류와 지급방식│한국문화연구, 2022, 42호, 39-75

김세린 전임연구원

  • 조선 중-후기 왕실용 금속제 입사공예품의 제작도구-의궤기록을 중심으로-│한국문화연구, 2019, 37호, 201-250
  • 13-14세기 원(元) 공예에 나타나는 원형당초문(圓形唐草紋)의 연원과 성격 : 도자, 금속, 직물공예를 중심으로│陶藝硏究, 2019, 28호, 225-260
  • 고려시대 입사공예품의 장인과 기술│한국중세고고학, 2019, 5호, 45-68
  • 조선 후기 연초문화와 철제입사담배합의 양상미술사논단, 2019, 49호, 143-170
  • 고려시대 금속공예 선각(線刻)기법의기술과 유형문화재, 2020, 제53권 3호, 24-41
  • 일제강점기 금속제 신선로의 제작양상과 소비문화한국학, 2021, 제441호, 285-326
  • 의궤를 통해 본 숙종~영조 연간(1674-1776) 상존호도감 보록 철제입사자물쇠의 시문기술과 금속재료한국문화연구, 2021, 40호, 7-50
  • 조선시대 관영수공업에서 입사장(入絲匠)의직무 유형과 역할문화재, 2021, 제54권 2호, 216-239
  • 숙종 연간(1674-1720) 산릉, 봉릉도감의 노야소(爐冶所) 운영과 야장(冶匠)의 역할 │한국문화연구, 2022, 42호, 77-115
  • 10-12세기 중국 북송 요의 고려산 동과 동제공예품의 수입 양상인문과학연구, 2022, 35호, 9-39
  • 조선 후기 끼움입사기법의 전개와 기술의 확장: 동제공예품을 중심으로미술사학연구, 2022, 315호, 5-38

■ 김미라 전임연구원

  • 문방 가구, 2022, 산림문화전집, 17권, 123-159
  • 18-19세기 의궤에서 보이는 음식차림용 목제 '반상(盤床)’의 쓰임과 형태│한국문화연구, 2022, 42호, 163-205.
  • 조선 후기 왜주홍(倭朱紅)의 수입과 활용│石堂論叢, 2023, 85호, 83-122

■ 윤효정 전임연구원


■ 구혜인 前 전임연구원, 現 공동연구원

  • 동남아시아 페라나칸(Peranakan) 자기의 조형과 성격 : 문화적 혼종성과 창조적 정체성을 중심으로│陶藝硏究, 2019, 28호, 177-204
  • 조선후기·대한제국기 선원전 다례(茶禮)와 다기(茶器)│한국학, 2020, 43권 2호, 149-192
  • 고종 통치기 건축물 용(龍)장식에 내재된 정치성-발톱수와 장식기법을 통하여│미술사학보, 2020, 54집, 63-93
  • 조선후기 왕실 연향용 주기(酒器)의 종류와 운용체계 -의궤의 기용도(器用圖) 분석을 중심으로│한국문화연구, 2021, 40호, 133-183
  • 조선후기 종묘 신실(神室)공간의 구성방식과 성격│한국학, 2021, 제44권 2호, 149-194
  • 조선후기·대한제국기 선원전 祭需와 祭器의 관계│한국문화, 2021, 94호, 153-194
  • 조선시대 길례 흉례 공예품 연구의 현황과 과제│조선시대사학보, 2022, 100호, 411-458
  • 조선후기 국장용 제기의 조성과정과 성격 - 정조 국장관련 의궤분석을 중심으로│한국문화연구, 2022, 42호, 117-161
  • 조선시대 선잠제 제기의 구성과 의미-영조 정해년 왕비친림작헌례의 제기를 중심으로-│서울과 역사, 2022, 112호, 87-135
  • 조선시대 왕실의례용 숟가락과 젓가락 종류와 사용양상│국학연구, 2022, 49호, 255-294
  • 조선시대 吉禮·凶禮 공예품 연구의 현황과 과제│朝鮮時代史學報, 2022, 100호, 411-458

구도영 전임연구원, 現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 조선 전기 對明사신의 북경 관광지와 관광 소회역사학보, 2019, 244호, 157-193
  • 조선 전기 對明 使臣의 북경 ‘관광' 탄생과 외교적 의미한국문화, 2019, 88호, 37-61
  • 明代 朝鮮 使行의 身分 證明에 대한 종합 분석 ― 勘合부터 얼굴 認知까지 ―│명청사연구, 2019, 52호, 37-69
  • 근세 동아시아세계 약용식물 인삼(人蔘)의 가공과 유통 -조선의 대명(對明) 진헌인삼을 중심으로-醫史學, 2020, 29권 3호, 959-998
  • 조선 군사력에 대한 明의 인식│백산학보, 2020, 118호, 409-428
  • 조선시대 국왕 면복(冕服) 착용 의례의 정립과 그 확장복식, 2021, 제712호, 59-75
  • 15세기 중국에서 유행한 조선의 마미군 패션, 그 문화적 변용에 대하여│史林, 2022, 80호, 169-204
  • 중국 대학교 역사교재의 ‘조선시대 한중관계 및 문화’ 서술과 인식│東北亞歷史論叢, 2023, 79호, 61-106

이다란 前 연구원, 現 박사급 연구보조원

  • 조선후기 청화백자를 통해 본 칠보문의 구성과 활용美術史學硏究, 2022, 313호, 59-90
  • 19세기 발기에 기록된 보석 장신구 무역의 양상│한국문화연구, 2022, 42호, 207-241
  • 조선 19세기 공예품에 나타난 단청 양식 칠보문의 의의고궁문화, 2022, 15호, 201-222

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