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site
Embedded Files
Skip to main content
Skip to navigation
농생태학 세미나 2023
홈
2019 농생태학 스터디
자료들
농생태학 세미나 2023
홈
2019 농생태학 스터디
자료들
More
홈
2019 농생태학 스터디
자료들
농생태학 자료들
[기고]농생태학, 그것이 알고 싶다
농생태학(Agroecology)은 농학과 생태학을 합친 말이다. ‘학’자가 들어가니 선뜻 다가서기에 어렵다. 생태농업, 유기농, 전통농업 등의 친숙한 단어도 있건만 왜 ‘농생태학’을 쓰는가? 그것은 기존의 다양한 단어들 속에 담긴 것을 포함한 농생태학이 지닌 ‘다름’이 있기 때문이다. 농생태학은 식량주권과 따로 떨어뜨려 생각할 수 없다. 식량주권은 생산하는 사람과 먹는 사람 모두가 식량을 둘러싼 모든 것들을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이러한 식량주권이 실현되기 위해선 농생태학은 필수적이고, 식량의 생산에 있어 긴밀히 연결돼 있다. 농생태학은 과학이다 인류가 농사를 짓기 시작하면서 농민은 더 좋은 먹거리를 어떻게 생산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하고 그 기술과 경험, 지혜들을 축적하고 발전시켜 왔다
생태과학이자 전환운동인 ‘농생태학’ 이야기
유기적이지 않은 유기농의 덫을 넘어서 ‘농생태학’ 현장, 태국 수린 농민협동조합 방문기 ※ 필자 김신효정 님은 여성주의 연구활동가입니다. 이 기사는 계간지 <귀농통문> 2016년 봄호에도 실릴 예정입니다. -..
“기후변화대응 농업이 농생태학이라고?…거짓말이다”
2015년 2월 27일, 아프리카 말리의 작은 도시 닐레니(Nyeleni)에서 중요한 국제선언문이 채택됐다. 80여개 나라 500 여명의 농민, 가족농민, 어민, 사냥-채집인을 포함한 원주민 공동체,농촌 노동자 그리고 도시민이 모여서 ‘국제농생태학포럼’을 개최하고 그 결과를 선언으로 발표했다. 제2의 ‘닐레니 선언’이다. 8년 전 같은 장소에서 첫 번째 “닐레니 선언”이 선포된 이후 ‘식량주권’은 국제적으로 중요한 의제가 되었다. 발표된 선언문이 최종적으로 ‘국제식량주권계획위원회 (International […]
[2018년 05월 30일(제292호)] 농민의 손으로 만들어가는 대안, 농생태학운동.pdf
농생태학과 농민의 종자에 관한 제1차 국제회의 선언문.pdf
농생태학의 10가지 원리
i9037en.pdf
Report abuse
Report ab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