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READI Conference 후원 및 참여
2025년 7월 17-19일 금요일
@연세대학교
지난 7월 17일부터 19일까지 2025 READI(East Asian Demography and Inequality) 컨퍼런스가 개최되었습니다😊
READI는 한국과 중국, 일본, 기타 동아시아 국가와 지역에서 활동 중인 주니어와 시니어 학자들 간의 연결을 증진하면서 진행 중인 연구를 공유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동아시아의 인구학과 사회 계층화에 관한 주요 이슈를 탐구하였습니다. 교육과 성별, 노동 시장, 인구 고령화, 그리고 세대 간 관계 등과 관련한 연구 발표가 있었습니다. 저희 연구소에서는 KIOD팀과 Narrative Mining팀이 참여하여 연구성과를 발표하였습니다.
이번 컨퍼런스는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인구학적 변화와 사회적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중요한 통찰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2025학년도 클리오 장학금 수여식
2025년 5월 9일 금요일
@CLIO사회발전연구소
저희 연구소에서는 사회학과 학생들을 위해 다양한 장학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입학 성적이 우수한 학부 신입생들에게는 클리오 진리탐구/청춘응원 장학금을, AI 융합전공을 이수하는 학부/대학원생들에게는 클리오 소셜데이터사이언스 육성 장학금을 수여합니다🎖️
모두 축하드립니다🎉
[밀착세미나] 출산력 지표로서 TFR의 유용성과 한계 ✏️
1차 2025년 5월 1일 수요일
2차 2025년 5월 22일 목요일
@CLIO사회발전연구소
사회학과 학부 학생회 학술국이 직접 조직하는 <아우라지는 사회학>시리즈는 학과 교수님의 연구분야에 관심있는 학생들과 교수님이 만나 집중 세미나를 진행합니다😊 학생들과 교수님이 함께 참여하여 사회학 전공의 다양한 주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교육적인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 한신원 교수님과 Tomáš Sobotka and Wolfgang Lutz의 "Misleading Policy Messages Derived from the Period TFR: Should We Stop Using It?"을 읽고, 출산력의 핵심 지표로서 기간 합계출산율이 (period total fertility rate) 지니는 장점과 한계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현재 한국 사회의 저출산 관련 논의들은 (예컨대, 출산율 반등, 정부의 출산지원 정책 효과 등) 합계출산율의 미미한 등락에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은데, 세미나에서는 이러한 논의들이 왜 합계출산율에 경도되면 안되는지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 2차 모임에서는 Jolene Tan, Qi Cui, and Fumiya Uchikoshi의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Changes in Nuptiality"와 Anne Gauthier and Stuart Gietel-Basten의 "Family Policies in Low Fertility Countries: Evidence and Reflections"를 읽고 왜 출산율 제고 정책이 기대한 만큼의 효과를 달성하기 어려운지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CLIO사회발전연구소는 앞으로도 사회학과 학술국이 조직하는 <아우라지는 사회학>세미나를 적극 지원할 예정입니다🌟
[MOU] '지구와사람'과 업무협약 체결
2025년 2월 12일 수요일
@연세대학교 연희관
우리 연구소와 (재)지구와사람은 지속가능한 사회 발전과 사회적 가치 확산을 위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양 기관은 ▲공동 연구 프로젝트 수행 및 학술대회·세미나·워크숍 개최 ▲ 지속가능한 사회 발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사회적 가치 확산을 위한 캠페인 및 지역 사회 공헌 활동 추진, ▲ 인적·물적 자원 공유 및 협력 등을 주요 협력 사항으로 정하였습니다.
🌟앞으로 진행될 연구 및 행사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밀착세미나] 정치적 당파성과 사회적 분열의 교차성✏️
2025년 1월 6일 월요일
@CLIO사회발전연구소
저희 연구소에서는 사회학과 교수님의 연구분야에 관심있는 학생들과 교수님이 만나는 밀착세미나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번 1월에는 코넬대학교 사회학과 박바름 교수님을 모시고 "Social Bases of Partisanship: Cleavages, Alignment, and Intersections "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박바름 교수님과 함께 사회적 분열과 정치 참여 아이덴티티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아울러 대학원 생활과 학자로서 자신의 셀링포인트✨를 구축해나가야 한다는 조언도 전해주셨습니다.
🌟CLIO사회발전연구소는 앞으로도 사회학과 학술국이 조직하는 <아우라지는 사회학>세미나를 적극 지원할 예정입니다🌟
[장학금] 2024학년도 2학기 클리오 장학금 수여식
2024년 11월 15일 금요일
@CLIO 사옥
저희 연구소에서는 사회학과 학생들을 위해 다양한 장학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AI 융합전공을 이수하는 학부/대학원생들에게는 클리오 소셜데이터사이언스 육성 장학금을 수여합니다🎖️
모두 축하드립니다🎉
[밀착세미나] 개인적 내러티브의 데이터화와 사회학 연구✏️
1차 2024년 9월 25일 수요일
2차 2024년 12월 4일 수요일
@CLIO사회발전연구소
사회학과 학부 학생회 학술국이 직접 조직하는 <아우라지는 사회학>시리즈는 학과 교수님의 연구분야에 관심있는 학생들과 교수님이 만나 집중 세미나를 진행합니다😊 학생들과 교수님이 함께 참여하여 사회학 전공의 다양한 주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교육적인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 박주연 교수님과 안온의 ’일인칭 가난‘과 Julie Choi의 ‘Creating a Multivocal Self: Auto-ethnography as Method’를 읽고, 자문화기술지가 사회(과)학적 텍스트로서 갖는 가치와 효용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연구자와 연구대상(연구참여자) 사이의 거리와 위계에 대한 토론에 이어, 개인적 내러티브를 ’데이터화‘ 하는 과정의 즐거움 및 어려움에 관한 의견을 나눴습니다.
✏️ 2차 모임에서는 모성애의 발명(엘리자베스 벡-게른하임 지음)과 엄마의 탄생(안미선, 김향수, 김보성 지음)을 같이 읽으면서, 모성 이데올로기와 집약적 자녀 양육이 여성들에게 ‘좋은 엄마(노릇)’에 대해 부여하는 문화적 압박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동시에 ‘좋은’ 엄마노릇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여성이 느낄 수 있는 능동성과 보람 역시 함께 논의하면서, 현대 여성이 살아내는 ‘선택적 일대기’(choice biography)가 여성주의적 의제 안에서도 다양한 형태와 색깔을 가질 수 있다는 점에 공감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CLIO사회발전연구소는 앞으로도 사회학과 학술국이 조직하는 <아우라지는 사회학>세미나를 적극 지원할 예정입니다🌟
[MOU] UNRISD와 업무협약 체결
2024년 8월 10일 토요일
우리 연구소는 UN RISD(United Nations Research Institute for Social Development )와 학문적·정책지향적 협력을 위해 MOU를 체결했습니다.
이번 협력을 바탕으로 SDGs 및 확장과 관련된 주요 이슈를 논의하는 공동 포럼을 개최하고, 시민·기업·정부가 함께하는 미래 비전을 모색할 계획입니다😊
🌟앞으로 진행될 연구 및 행사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AI and Data for Social Good 포럼
2024년 5월 28일 화요일
@연세대학교 백양누리
지난 5월 28일 연세대학교 백양누리 그랜드볼룸에서 AI and Data for Social Good 포럼이 성공적으로 개최되었습니다🎉
김용학 제 18대 총장님의 축사와 차미영 교수님(KAIST 전산학부, 막스플랑크연구소 단장), 정하웅 교수님(KAIST 물리학과 석좌교수)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세션1. 사회과학에서 LLM과 대용량 데이터 활용하기(좌장 이원재 교수님, KAIST 문화기술대학원)에서는 이병규 교수님(New York University, Department of Sociology), 윤진혁 교수님(숭실대학교 AI융합학부), 강태영 대표님(언더스코어), 강동현 박사님(University of Chicago, Department of Sociology)의 발표가 진행되었으며
세션 2. 데이터 과학의 사회적 가치(좌장 신은경 교수님, 고려대학교 사회학과)에서는 김란우 교수님(KAIST 디지털인문사회과학부), 이재민 교수님(홍콩중문대 사회학과), 이진아 교수님(UIUC, Department of Sociology), 한상원 박사님(INSEAD-Singapore)의 발표가 있었습니다.
이후에는 사회과학분야에서 데이터과학을 창의적으로 활용 학부생 및 대학원생들의 포스터세션이 있었습니다.
이번 포럼은 AI와 데이터가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그 활용 방안에 대해 깊이 있는 논의가 이루어진 자리였습니다. 더불어 태재미래전략연구원, 사회적가치연구원, ICT대연합, 한국과학기술젠더혁신센터, 연세대 사회학과 BK사업단, 식품영양학과 노화과학연구소의 후원이 있었습니다.
포럼에 참석해주신 270여 분들께 감사드리며, 앞으로도 클리오사회발전연구소는 데이터과학과 사회과학의 연계를 통한 다양한 연구와 행사를 지속적으로 이어나가겠습니다✨
2024학년도 클리오 장학금 수여식
2024년 5월 9일 목요일 @CLIO사회발전연구소
저희 연구소에서는 사회학과 학생들을 위해 다양한 장학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입학 성적이 우수한 학부 신입생들에게는 클리오 진리탐구/청춘응원 장학금을, AI 융합전공을 이수하는 학부/대학원생들에게는 클리오 소셜데이터사이언스 육성 장학금을 수여합니다🎖️
모두 축하드립니다🎉
Y-Data Science 모임
2024년 5월 9일 목요일 @CLIO사회발전연구소
Y-Data Science 모임은 데이터사이언스 관련 업계에서 활약하고 계시는 동문 선배님들의 모임으로, 이번 모임은 저희 연구소에서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모임에서는 이학민 매니저(SKT, 사회학과 14)께서 RAG(Retrieval-Augmented Generation)에 대해 소개하였습니다.
RAG는 생성형 AI를 특정 도메인에 적합한 방식으로 활용하기 위해, 사전에 갖춰놓은 도메인의 자료를 검색하고 더 똑똑한 방식의 질문으로 바꿔 AI에 작업을 의뢰합니다.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경제적 방법인 만큼 참여자들의 활발한 질문과 토론이 이어졌습니다👏
[단행본 발간] 문과생만 할 수 있는 소셜데이터분석📖
2024년 4월 17일 수요일
사회학과 학부에서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회문제해결을 모색하는 프로젝트형 수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이 수업의 결과물을 모아 책으로 출판하였습니다👏
학생들은 문제 설정부터 전략 수립, 자료 수집 및 분석, 해결 도출까지 모든 단계에 직접 참여하여 결과물을 만들어냈습니다💪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후기는 영상으로 담아냈으니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후기영상 보러가기
🔗책 구매 링크
[밀착세미나] 능력주의와 불평등, 다양성의 사회학✏️
1차 2024년 4월 3일 수요일
2차 2024년 5월 3일 금요일
3차 2024년 6월 7일 금요일
4차 2024년 6월 24일 월요일
@CLIO사회발전연구소
사회학과 학부 학생회 학술국이 직접 조직하는 <아우라지는 사회학>시리즈는 학과 교수님의 연구분야에 관심있는 학생들과 교수님이 만나 집중 세미나를 진행합니다😊 학생들과 교수님이 함께 참여하여 사회학 전공의 다양한 주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교육적인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최성수 교수님과 함께 사회학과 학부생 10명이 참여해 4월부터 6월까지 총 네 차례에 걸쳐 미국의 사회학자 나타샤 와리쿠의 <The Diversity Bargain> 토론하며 완독했습니다🤓
📖학부생 후기📖
“한 학기 동안 학생회 학술행사의 일환인 아우라지는 사회학에 참여했습니다. 최성수 교수님과 함께한 아우라지는 사회학은 도서 <The Diversity Bargain>을 읽고 한 학기 동안 진행되었습니다. 도서를 한 학기 동안 읽으면서 진득하게 이어가는 세미나는 처음이라 초반엔 무척 새로웠습니다. 번역본이 아닌 원서를 읽는 경험도 없었던 터라 이번 아우라지는 사회학은 저를 비롯한 학생들에게 큰 도전이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또 한 차례로 끝나는 행사가 아닌, 다음 만남을 기약하는 세미나였기에 한 학기 동안 더욱 애정을 가지고 참여할 수 있었습니다. 사회학, 그 중에서도 고등교육에서 나타나고 있는 인종 다양성과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는 과정은 학문적으로 의미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미국과 영국의 사례를 비교해 보고 한국의 고등교육에는 어떻게 적용시킬 수 있을지, 한국에서는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지를 토의할 때는 언제부터인지 모르게 들떠 있었습니다. 또한 교수님과 학생들이 서로 의견을 나누면서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자연스레 생긴 의문에 대해 토의하기도 했는데, 책 내용으로 시작해서 결과적으로 사회에 대한 고찰로 넘어가는 자연스러운 흐름이 매번 기꺼웠습니다. 세미나 과정에서 미처 생각하지 못한 의견에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르는 경험을 하기도 하고, 교수님과 학우분들로부터 배우고 얻어가는 것이 많은 행사였다고 생각합니다.
쾌적한 환경, 편안한 분위기에서 평소에 관심 있었던 우리 사회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의견을 함께 나눌 수 있어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다음에도 기회가 된다면 계속해서 참여하고 싶은 세미나입니다.”
🌟CLIO사회발전연구소는 앞으로도 사회학과 학술국이 조직하는 <아우라지는 사회학>세미나를 적극 지원할 예정입니다🌟
[밀착세미나] 데이터과학을 활용한 사회학 연구✏️
1차 2024년 3월 28일 수요일
2차 2024년 5월 1일 수요일
@CLIO사회발전연구소
사회학과 학부 학생회 학술국이 직접 조직하는 <아우라지는 사회학>시리즈는 학과 교수님의 연구분야에 관심있는 학생들과 교수님이 만나 집중 세미나를 진행합니다😊 학생들과 교수님이 함께 참여하여 사회학 전공의 다양한 주제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교육적인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는 프로젝트입니다👏
✏️ 첫 번째 순서로 강정한 교수님께서 자연어 처리에 기반한 사회학 연구를 학생들에게 소개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함께 논의했습니다.
✏️ 두 번째 순서로 디지털 조사 실험을 활용해 팩트체크 정보에 사람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연구하고 정책적 제안을 도출했습니다.
🌟CLIO사회발전연구소는 앞으로도 사회학과 학술국이 조직하는 <아우라지는 사회학>세미나를 적극 지원할 예정입니다🌟
[밀착간담회] 생성형 AI시대 문과생과 코딩🤓
2024년 3월 13일 수요일
@CLIO사회발전연구소
저희 연구소에서는 사회학과 학생들의 진로탐색 및 업계 네트워킹을 위한 밀착 간담회 시리즈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번 3월에는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남호성 교수님을 모시고 "생성형 AI시대 문과생과 코딩"이라는 주제로 간담회를 진행했습니다.
남호성 교수님께서는 문과생도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는 AI 관련 수학 강의와 AI 관련 진로를 고민하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학습 조언을 해주셨습니다 😉 이번 간담회는 AI와 관련된 진로를 고민하고 있는 문과생들에게 실질적인 이해를 제공해주는 소중한 자리였습니다👏
🌟CLIO사회발전연구소는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모시고 밀착 간담회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밀착간담회] AI시대 슬기로운 대학생활✨
2024년 2월 16일 금요일 @CLIO사회발전연구소
저희 연구소에서는 사회학과 학생들의 진로탐색 및 업계 네트워킹을 위한 밀착 간담회 시리즈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번 2월에는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학부 신입생과 신촌 생활을 시작하는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간담회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번 간담회는 저희 연구소 소장님이신 강정한 교수님과 함께 AI와 사회학의 연계 및 진로 전망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더불어 진로 탐색에 있어 자신의 내러티브를 갖춘다는 것이 무슨 의미인지 다뤄보았습니다😉
🌟CLIO사회발전연구소는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모시고 밀착간담회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밀착간담회] 한양대 법학전문대학원 윤혜선 교수님
2024년 1월 4일 목요일 @CLIO사회발전연구소
저희 연구소에서는 사회학과 학생들의 진로탐색 및 업계 네트워킹을 위한 밀착 간담회 시리즈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번 1월에는 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윤혜선 교수님을 모시고 'AI와 로스쿨'이라는 주제로 간담회를 진행하였습니다✨
교수님께서는 DPA(data, platform, AI) 규제 거버넌스 현황과 전망에 대한 최고 전문가로서 AI 관련 로스쿨 및 법조계 미래에 대해 유익한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이번 간담회를 통해 로스쿨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과 AI 규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은 법학과 AI 기술의 상호작용에 대해 이해를 넓히고, 이 분야에서의 미래 진로 기회를 탐색하는 데 큰 도움을 받았습니다😉
🌟CLIO사회발전연구소는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모시고 밀착간담회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미래세대를 위한 10년 '꽃, 피우다' 비전 선포식
2023년 12월 22일 금요일 @MBC 골든마우스홀
저희 연구소와 은평구, 은평문화재단, MBC가 공동으로 한국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한 포럼에서 비전 선포식을 개최했습니다👏 이번 선포식에서는 ▲'과거를 통해 현재를 배우다' ▲'한국사회가 지향해야 할 가치' ▲'미래세대의 좌절과 희망' ▲'AI와 DATA가 지배하는 사회' ▲'미래의 위기가 현재로, 현재의 위기가 미래로' 등 향후 한국사회가 주목해야 할 핵심 가치와 위기 극복 방법에 대해 핵심적으로 다루었습니다.
이번 선포식에서 연구소장님이신 강정한 교수님을 비롯하여 우리 학과 김동노 교수님과 김영미 교수님께서 강연해주셨습니다. 해당 영상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주세요😊
[밀착간담회] 데이터사이언티스트 정지완 박사님
2023년 12월 6일 수요일 @CLIO사회발전연구소
저희 연구소에서는 사회학과 학생들의 진로탐색 및 업계 네트워킹을 위한 밀착 간담회 시리즈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번 12월에는 네이버에서 근무하고 계신 데이터사이언티스트 정지완 박사님을 모시고 간담회를 진행하였습니다✨
박사님께서는 데이터사이언티스트가 되기 위해 갖춰야 할 역량과 학계와 산업계에서의 데이터 분석 차이 등 학생들이 커리어를 준비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이야기를 해주셨습니다😊 이번 간담회는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지식과 산업의 최전선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는 귀중한 기회가 되었습니다👏
🌟CLIO사회발전연구소는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모시고 밀착 간담회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밀착간담회] 김용학 전 총장님
2023년 11월 1일 수요일 @CLIO사회발전연구소
저희 연구소에서는 사회학과 학생들의 진로탐색 및 업계 네트워킹을 위한 밀착 간담회 시리즈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번 11월에는 김용학 연세대학교 18대 총장님과의 밀착 간담회를 성황리에 진행하였습니다✨
이번 간담회에서 교수님께서는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연세대의 글로벌 발전과 미래지향적 개혁에 대한 깊은 이해와 식견을 나누어 주셨습니다. 이번 간담회를 통해 학생들은 미래 지향적인 교육과 사회 기여에 대한 깊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CLIO사회발전연구소는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모시고 밀착 간담회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밀착간담회] 언더스코어 강태영 대표
2023년 10월 11일 수요일 @CLIO사회발전연구소
저희 연구소에서는 사회학과 학생들의 진로탐색 및 업계 네트워킹을 위한 밀착 간담회 시리즈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데이터 기반 컨텐츠 큐레이션 및 영상 저널리즘을 주도하며 다양한 주요 언론사와 협업을 해온 강태영 언더스코어 대표님을 모셨습니다👏
이번 간담회에서 대표님은 자신의 경력과 데이터 관련 진로에 대한 귀중한 조언을 나누어 주셨습니다. 학생들은 이를 통해 데이터 분야의 다양한 가능성과 미래를 엿볼 수 있었습니다.
🌟CLIO사회발전연구소는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를 모시고 밀착 간담회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MOU] 은평구, (재)은평문화재단, (주)문화방송, 클리오 사회발전연구소
진관포럼 업무협약 체결
2023년 9월 14일 목요일 @진관사
지난 9월 14일 목요일 진관사에서 서울특별시 은평구, (재)은평문화재단, (주)문화방송, 클리오사회발전연구소가 모여 "진관포럼"의 성공적인 개최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이번 협약의 목적은 국제학술대회로서의 포럼의 위상을 정립하고, 사회적 문제에 대해 공동체의 참여와 변화를 도모하는 것입니다. 협약당사자는 상호 협력을 통해 포럼의 공동 계획을 수립하고, 학술 연구 및 다양한 자원을 활용할 계획입니다. 이번 협약이 앞으로 더 큰 협력과 성과를 이루어 낼 좋은 출발점이 되길 바랍니다! 🌱
[행사] 제1회 클리오 사회발전연구소 산학허브 조성 모임
2023년 9월 6일 수요일 @CLIO사회발전연구소
지난 9월 6일 수요일 클리오 사회발전연구소에서 산학허브 조성을 위한 모임이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모임에는 이상경(방정환재단 이사장), 문유경(한국여성정책연구원 원장), 한현옥(클리오 대표), 김형태(Performance by TBWA 대표), 손은정(수모로직코리아 이사), 김영진(SK SUNI), 박성훈(SKT ML engineer), 장채연(포스타입 비즈옵스 매니저) 선배님께서 참석하셨습니다👏
업계에서 활약하시는 동문 선배님들과 학부생, 대학원생, 교수님들과 함께 한 이번 모임은, 클리오 사회발전연구소의 비전을 실현하는 데 중요한 출발점이었습니다. 함께 해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장학금] 2023-2 클리오 소셜 데이터사이언스 육성 장학금 수여식
2023년 9월 6일 수요일 @CLIO사회발전연구소
지난 9월 6일 수요일 클리오 사회발전연구소에서 '클리오 소셜 데이터사이언스 육성 장학금' 수여식이 진행되었습니다😀
2023학년도 2학기에는 학부생 이민재, 고정훈, 권소희, 황수민 학생에게 장학금을 수여하였습니다. 모두 축하드립니다.🎉
[장학금] 클리오 진리탐구/청춘응원 장학금 수여식
2023년 7월 27일 목요일 @CLIO사회발전연구소
지난 7월 27일 목요일 클리오사회발전연구소 개소식에서 '클리오 진리탐구/청춘응원 장학금' 수여식도 함께 진행되었습니다😀
모두 축하드립니다.🎉
[행사] CLIO사회발전연구소 개소식
2023년 7월 27일 목요일
@CLIO사회발전연구소
CLIO사회발전연구소가 새롭게 문을 열었습니다🎉
앞으로 CLIO사회발전연구소의 활발한 활동을 기대해주세요😉
[장학금] 클리오 소셜데이터사이언스 육성 장학금 수여식
2023년 5월 10일 수요일 @CLIO 사옥
데이터사이언스 분야에서 활약하고 계시는 사회학과 선배님들의 모임인 연세데이터사이언스 특별모임에서 ‘클리오 소셜데이터사이언스 육성 장학금’ 수여식이 있었습니다😀
2023년도 1학기에는 학부생 19학번 오지현, 21학번 김지혜, 황채민, 정민승, 허예진 학생과 대학원생 석사과정 조예음 학생에게 장학금을 수여하였습니다. 모두 축하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