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gnitive Constructivism in the Development of Medical Education
코로나19 시기 UTAUT 기반 의과대학 교수의 의학교육 테크놀로지 수용 요인 탐색
Facilitating and impeding factors to insiders’ prosocial rule breaking in South Korea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의과대학 코호트 구축과 운영: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사례
The Impacts of Role Overload and Role Conflict on Physicians' Technology Adoption Technology Adoption
의과대학 학업부적응 학생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체계적 지원방안에 대한 탐색
Is it possible to introduce an interview to the Korean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to assess professional attributes? : a survey-based observational study
COVID-19 상황에서 의과대학 비대면 수업방식의 변화와 이에 따른 학생의 태도 및 실재감 인식 변화
A study on evaluator factors affecting physician-patient interaction scores in clinical performance examinations: a single medical school experience
의과대학 임상교원의 교육자로서의 역할인식이 직무열의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Prosocial rule breaking on health informationsecurity at healthcare organisationsin South Korea
Mediation effects of clinical practice stress between clinicaleducation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한국형 임상실습 교육환경 평가척도 타당화
의과대학생의 다문화사회에 대한 태도
의과대학생의 셀프리더십과 팀워크 역량이 졸업역량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Negative school experiences of Late Millennial Korean medical students: a qualitative study using the critical incident technique
의과대학 신입생의 대학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행동 특성
인지적 구성주의에 근거한 의학교육의 발전 방향
의과대학 교원을 위한 교수개발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육의 질 관리
Visual Materials for Medical Humanities
의과대학 신입생들의 진로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 행동 특성
Factors affecting intention to disclose patients’ health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