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date: Nov 30, 2016 3:14:33 AM
인터넷이나 네트워크을 할때 사용되는 IP(IPv4)는 많이 알고 있을것이라 생각된다..
물론 이분야에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계신 분들도 많이 있다는것도 잘~~ 알고 있다..
난..여기서 단지 IP의 4byte가 어떤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어떤 CLASS로 구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아주 기본적인 내용만 다루고자 할 뿐이다...
IP는 NetworkID와 HostID로 나뉘어지는데
NetworkID는 개별적인 Host에 대한 그룹 또는 범위라고 생각하면 되고 HostID라는것은 개별적 식별자로 생각하면 된다.
이는 Netmask 또는 Subnet mask라는 식별 마스크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관리하게 된다..
C Class는 Multicast 용이고 E Class는 미래를 위해 남겨 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A Class는 HostID가 24bit나 됨으로 그만큼 많은 양의 개별 IP를 할당 할수 있다는 사실인데 이부분은 역시 netmask까지도 설명해야 함으로 생략하기로 하고..
Class별 IP 주소 대역을 보면
A Class : 0 ~ 127 (0.0.0.0 ~ 127.255.255.255), 기본 넷마스크 : 255.0.0.0
B Class : 128 ~ 191 (128.0.0.0 ~ 191.255.255.255) 기본 넷마스크 : 255.255.0.0
C Class : 192 ~ 223 (192.0.0.0 ~ 223.255.255.255) 기본 넷마스크 : 255.255.255.0
D Class : 224 ~ 239 (224.0.0.0 ~ 239.255.255.255) 기본 넷마스크 : 255.255.255.255
E Class : 240 ~ 255 (240.0.0.0 ~ 255.255.255.255)
되는데..
외우지 않고 쉽게 이해되는 계산법이 있으니 참고 하기 바란다..
1. IP에 입력하는 범위는 256개가 존재한다(0~255)
2. 256부터 2씩 나누게 된다.
3, 256 / 2 = 128 - 1 = 127 (A Class : 0~127)
4. 128 / 2 = 64 + 127 = 191 (B Class : 128 ~ 191)
5. 64 / 2 = 32 + 191 = 223 (C Class : 192 ~ 223)
6. 남은 32의 수는 16씩 나눠서 D Class와 E Class가 가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