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 date: Nov 30, 2016 4:06:44 AM
Chapter 1에서는 별다른 내용이 없다.. 그냥 OpenCV에 대한 기본적인 역사적 배경..정의, 활용도 정도의 내용으로 채워져 있다.. 그중 하나.. 집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있다면 OpenCV의 기본 아키텍처가 아닐까 싶다...
OpenCV의 기본 아키텍처
CV( Computer Vision ) : 영상 처리, 영상의 구조 분석, 움직임과 추적, 패턴 인식, 카메라 보정 등 담당
CXCORE : 그리기 문자열, 기초 수학에 관련된 내용뿐만 아니라 자료구조, 행렬 연산, 자료 변환, 객체 지속성, 메모리 관리,
에러 처리, 코드 동적 로딩 등 담당
MLL( Machine Learning Library ) : 다양한 군집화(clusering ), 분류(classification ), 자료분석등 담당
HighGUI : 사용자 인터페이스 GUI와 영상 / 비디오 출력
CvAux(부가 Library ) : 임베디드 은닉 마르코프 모델을 이용한 얼굴 인식, 배경/전경 분할 알고리즘 등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현재 대부분의 카메라에서 지원하는 기능중 하나가 얼굴 영역에 작은 사각형이 그려지고 사람이 웃을때 자동으로 사진이 찍히는 스마트 기능들이 CvAux library를 사용하는것 같기도 하다....
CvAux library의 기능들
•고유객체( eigen Object ), 계산적으로 효과적인 인식 기술 템플릿 매칭
•1D또는 2D 은닉 마르코프 모텔( HMM: Hidden Markov Model ). 동적 프로그램밍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통계적 인식 기법
•임베디드 HMM
•스트레오 비전에서 동작 인식
•들로네 삼각형(Delaunay triangulation)확장, 시퀀스
•스테레오 비전
•영역의 외곽선을 이용한 모양 매칭
•질감 기술자
•눈 또는 입 추적
•3D 추적
•객체의 뼈대 또는 중심선 찾기
•두 대의 카메라로부터 중간 시점 와핑(warping)
•배경 – 전경 분할
•비디오 감식
•카메라 보정을 위한 c++클래스
이번정리는 OpenCV의 기본 구조를 정리하는것으로 끝낼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