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업. 2024. 포용도시 조성을 위한 빅데이터 및 기계학습 기반의 대학가 동네변화 예측모형 개발. 개인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 한국연구재단. (연구책임, 2024.09.01–2027.08.31)
김동현, 임업, 강상준. 2023. 폭염위험사회에 따른 도시 및 지역의 다차원적 영향 진단. 한국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 2단계. 한국연구재단. (공동연구, 2023.09.01–2026.08.31 )
임업. 2022. 외생적 충격에 따른 지역노동시장에서의 일자리 구조 전환 및 경제적 회복의 공간적 효과. 중견연구자지원사업. 한국연구재단. (연구책임, 2022.07.01–2025.06.30)
임업. 2021. 기업의 공간적 입지 행태 예측에 기초한 지속가능한 토지이용 전략모형 설계 : 동태적 행위자기반모형의 응용. 중견연구자지원사업. 한국연구재단. (연구책임, 2021.03.01–2024.02.29)
김동현, 임업, 강상준. 2020. 폭염위험사회에 따른 도시 및 지역의 다차원적 영향 진단. 한국사회과학연구지원사업 1단계. 한국연구재단. (공동연구, 2020.09.01–2023.08.31 )
임업. 2019. 창업생태계에 기초한 수도권 창업기업의 입지행태 예측모형 개발 : 동태적 행위자기반모형의 응용. 중견연구자지원사업. 한국연구재단. (연구책임, 2019.07.01–2022.06.30)
임업. 2017. 업무편향적 기술변화와 도시 규모에 따른 도시 간 고용 및 임금 격차. 중견연구자지원사업. 한국연구재단. (연구책임, 2017.07.01–2019.06.30)
임업. 2017. 지역간 네트워크 거버넌스 체계 구축을 통한 도시회복력 강화 공간계획 전략모형 설계.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한국연구재단. (연구책임, 2017.06.01–2018.05.31)
임업. 2016. 업무 편향적 기술변화에 따른 지역노동시장에서의 일자리 양극화 : 잠재성장모형의 응용. 중견연구자지원사업. 한국연구재단. (연구책임, 2016.07.01–2017.06.30)
임업. 2013.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된 도시계획 수단에 대한 우선순위 평가방법론 설계. 일반연구자지원사업. 한국연구재단. (연구책임, 2013.06.01–2014.05.30)
임업. 2013. 직종 특성에 기초한 지역노동시장에서의 지식외부효과와 기업의 혁신성과. 중견연구자지원사업. 한국연구재단. (연구책임, 2013.05.01–2014.04.30)
임업. 2012. 지역노동시장에서 성별 직종분리에 따른 임금격차의 분해 및 직종 숙련 특성이 성별 임금격차에 미치는 영향. 중견연구자지원사업. 한국연구재단. (연구책임, 2012.05.01–2013.04.30)
임업. 2011. 지역노동시장에서의 인적자본 외부효과가 기업의 혁신활동에 미치는 영향 : 위계적 일반화 선형모형의 응용. 기초연구지원사업(단독연구). 한국연구재단. (연구책임, 2011.05.01–2012.04.30)
임업. 2010. 사회적 기업과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2010년도 학술연구지원사업. 아산사회복지재단. (연구책임, 2010.07.01–2011.06.30)
임업. 2010. 지역의 사회경제적·공간구조적·환경적 특성과 개인의 건강 수준에 관한 탐색적 연구. 2010년도 학부생연구프로그램지원사업.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책임, 2010.07.20–2011.01.20)
임업. 2010. 지역노동시장에서 일자리 관련 지식 특성에 기초한 인적자본 외부효과가 임금에 미치는 영향. 기초연구지원사업(단독연구). 한국연구재단. (연구책임, 2010.05.01–2011.04.30)
이제선, 김홍석, 임업. 2009. 환경친화적 도시공간구조와 지속가능한 발전. 사회과학지정주제지원사업. 한국연구재단. (공동연구, 2009.11.01–2010.10.31)
임업. 2008. 지역노동시장에서의 인적자본 외부효과가 임금에 미치는 영향 : 위계선형모형의 적용. 기초연구지원사업(단독연구). 한국학술진흥재단. (연구책임, 2008.11.01–2009.10.31)
임업. 2008. 지식외부효과와 지역경제성장에 관한 공간계량경제학적 분석. 기초연구지원사업(우수논문사후지원). 한국학술진흥재단. (연구책임, 2008.11.01–2009.10.31)
임업. 2008. 인적자본의 공간적 분리에 관한 실증적 분석. 신진교수연구지원사업. 한국학술진흥재단. (연구책임, 2007.08.01–2008.07.31)
임업. 2006. 인적자본의 공간적 분리에 관한 연구. 신임교원 연구정착금 지원과제.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 2005.09.01–2006.08.31)
2024. 세계 주요 국가의 글로벌 인력 유입 경쟁력 조사. 서울연구원. (연구책임)
2021. 코로나19의 영향과 지역 회복력. 경기연구원. (연구참여)
2021. 3기 신도시 일자리 창출 및 자족기능 강화방안 연구용역. 한국토지주택공사. (연구참여)
2021. 파주시 장기종합발전구상 수립. 한국토지주택공사. (연구참여)
2020. 경기도 신성장산업 클러스터의 효과적 조성을 위한 입지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한국은행 경기본부. (연구책임)
2020. 혁신도시 정책성과 평가. 국토연구원. (연구책임)
2019. 고양시 지역개발 수립 용역. 한국토지주택공사. (연구참여)
2018. 우정 미래첨단일반산업단지 개발사업 반환공여구역 지원계획 및 발전방향 계획 수립 용역. 현대산업개발. (연구참여)
2017. 구리시 구 도심지 내 일반상업지역 활성화 방안. 구리시. (연구참여)
2017. 부천시 지역발전 구상. 한국토지주택공사. (연구참여)
2017. 광명 OO지구 사업타당성. 한국토지주택공사. (연구참여)
2017. 도시첨단산업단지 마스터플랜 수립 및 확산방안. 한국토지주택공사. (연구참여)
2016.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에 대한 평가방법론 개발 및 평가기준 수립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연구참여)
2015. 산학연관 협력 확대를 통한 원주혁신도시 활성화 방안. 한국은행 강원본부. (연구책임)
2012. 국가산업단지 개발타당성 조사. 한국토지주택공사. (연구참여)
2011. 수변개발 및 하천공간 조성 유형별 주민의식 조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참여)
2011. 시화 MTV 배후단지 조성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 수요 예측 및 편익 분석. 한국개발연구원. (연구참여)
2011. 지역현안사업부지의 효율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의정부시. (연구참여)
2013. 광명시흥지구 개발에 따른 합리적인 도시관리 및 보금자리주택지구 자족기능 제고방안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연구참여)
2010. 대도시권 인구집중에 대한 인식 평가를 통한 향후 수도권 정책방향 연구. 국토해양부. (연구참여)
2010. 광역경제권의 발전거점 조성과 혁신도시의 연계방안. 지역발전위원회. (연구참여)
2009.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유역별 사회문화적 파급효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책임)
2009. 2기 신도시 중간평가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토지주택공사. (연구참여)
2009. 글로벌 문화산업비즈니스허브센터 조성을 위한 타당성 분석.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 (연구참여)
2008. 아산시 국제도시 발전전략. 아산시. (연구참여)
2008. 광역경제권 발전의 제도화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책임)
2008. 지역문화산업클러스터 평가체제 개선 및 컨설팅.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연구참여)
2008. 경기도 경쟁력 강화를 위한 주요 정책과제와 대응방안. 경기개발연구원, KYDI 위탁연구 2007–12. (연구참여)
2007. 경기도 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산업입지 실태조사분석 및 관리계획 작성. 경기개발연구원. (연구책임)
2007. 지역특화발전특구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연구. 경상북도. (연구참여)
2007. 당진 철강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에 관한 기본 연구. (주)현대제철. (연구참여)
2006. 고령지역사회의 발전을 위한 통합적 노인복지서비스 제공 모델 개발 연구. 보건복지부. (연구참여)
2006. 영천 군수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에 관한 기본연구. 경상북도 영천시. (연구책임)
2005. 해양경찰학교 이전 최적지 선정 연구. 해양경찰청. (연구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