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교신저자 (Corresponding author)
유계숙·박하영*(2025). 중·노년기 기혼자의 졸혼 의향과 졸혼 동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가족과 문화, 37(2), 71-98. http://doi.org/10.21478/family.37.2.202506.003
유계숙·진신숙·박하영*(2025). 미혼 청년 자녀의 부모에 대한 소원 개념의 탐색적 연구. Human Ecology Research, 63(2), 219-236. http://doi.org/10.6115/her.2025.017
조규영·최봄이·박하영(2024). 베이비붐 세대와 에코 세대의 가족관계 특성 및 가족관계 만족도 변화궤적. 생애학회지, 14(3), 97-118. http://doi.org/10.30528/jolss.2024.14.3.006
주수산나·정규형·남기철·박하영·이서윤·송도훈·이재웅(2024).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거리노숙인 특화 자활사업 정책 실행 평가: 거리노숙인의 사업 참여 여부에 따른 사회복지 서비스 이용 유형. 인문사회과학연구, 32(3), 545-571. https://doi.org/10.22924/jhss.32.3.202408.022
최봄이·박하영*(2024). 노인의 죽음 준비 잠재유형과 웰다잉 인식: 연령 집단별 비교. 한국노년학, 44(2), 53-66. https://doi.org/10.31888/JKGS.2024.44.2.53
Park, H., Joo, S., & Kim, H. (2024). Understanding the interplay of religion, social relationships, and depressive symptoms in later life: An analysis of dynamics in individual and dyadic contexts. Research on Aging, 46(7-8), 426-436. https://doi.org/10.1177/01640275241237539
Jeong, K. H., Park, H.*, Woo, H. J., Kim, B. K., Ryu, J. H., & Lee, S. (2023). A study on longitudinal relationship between ultrafine dust and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BMC Public Health, 23(1), 1-6. https://doi.org/10.1186/s12889-023-17375-z
유계숙·박하영·송금란(2023). 중·노년기 기혼남녀의 배우자 사별 관련 문제에 대한 지각과 사별 불안 간 관련성: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생활과학연구논총, 27(2), 123-140. http://doi.org/10.36357/johe.2023.27.2.123
윤도경·박하영·최봄이·강미선·정인혜·주수산나(2023). 노년기 기술수용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2000~2020년. 한국노년학, 43(4), 393-419. https://doi.org/10.31888/JKGS.2023.43.4.393
유계숙⋅주수산나⋅박하영*(2023). 중년 기혼남녀의 성공적 결혼 조건에 대한 태도와 결혼만족도 간 관련성. Human Ecology Research, 61(2), 219-231. https://doi.org/10.6115/her.2023.015
최봄이⋅박하영*⋅송시영(2023).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중·노년기 부부관계 만족도 변화유형과 관련요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8(1), 55-74. https://doi.org/10.21321/jfr.28.1.55
강미선⋅박하영*⋅윤도경⋅전혜정(2023). 노년기 기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소비생활 만족도의 매개효과. 소비문화연구, 26(1), 19-37. https://doi.org/10.17053/jcc.2023.26.1.002
Lee, S., Jeong, K., Lee, S., & Park, H. (2022). A study on types of medication adherence in hypertension among older patients and influencing factors. Healthcare, 10(11), 2322. https://doi.org/10.3390/healthcare10112322
박하영⋅최봄이⋅주수산나⋅김윤명(2022). 디지털 파도 앞에 선 중고령자: 중고령자 집단 내 디지털 격차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노년학, 42(5), 915-935. https://doi.org/10.31888/JKGS.2022.42.5.915
최봄이⋅박하영⋅주수산나⋅임윤묵⋅김대은⋅김창오⋅김광준⋅이창민⋅김윤명(2022). 노인의 운동참여 동기 유형과 관련 요인. 한국노년학, 42(3), 713-729. https://doi.org/10.31888/JKGS.2022.42.3.713
김성희⋅주수산나⋅박하영(2022). 학교 내 사회복지 현장에서의 위기 아동 지원 사업 참여 경험과 효과에 관한 연구: A재단의 ‘위기 아동 지원 사업: 선생님과 함께 장보기’ 사례를 중심으로. 미래사회복지연구, 13(2), 307-343. https://doi.org/10.22836/kaswpr.2022.13.2.307
Kim, S., Son, H., Lee, S., Park, H., & Jeong, K. (202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change types and suicidal ideation before and after COVID-19. Healthcare, 10(9), 1610. https://doi.org/10.3390/healthcare10091610
Jun, H., Kang, M., Yoon, D., Lee, S., & Park, H.* (2022). The effects of charitable giving on life satisfaction of older Korean adults: The moderating role of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social trust. Research on Aging, 44(7-8), 600-610. https://doi.org/10.1177/01640275211065441
Randall, A. K., Leon, G., Basili, E., Martos, T., Boiger, M., Baldi, M., Hocker, L., Kline, K., Masturzi, A., Aryeetey, R., Bar-Kalifa, E., Boon, S. D., Botella, L., Burke, T., Carnelley, K., Carr, A., Dash, A., Fitriana, M., Gaines, S. O., … Chiarolanza, C. (2022). Coping with global uncertainty: Perceptions of COVID-19 psychological distress, relationship quality, and dyadic coping for romantic partners across 27 countrie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39(1), 3-33. https://doi.org/10.1177/02654075211034236
박하영·주수산나·전혜정(2021). 노년기 종교적 특성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관계의 다층 매개효과. 가정과삶의질연구, 39(4), 13-30. https://doi.org/10.7466/JFBL.2021.39.4.13
이예슬·주수산나·김현경·박하영(2021). 중년 맞벌이 부부의 성역할 태도가 부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사노동 참여의 매개효과: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중심으로. 가정과삶의질연구, 39(4), 31-47. https://doi.org/10.7466/JFBL.2021.39.4.31
송시영·박하영*·주수산나·김성희(2021). 미혼여성의 결혼과 출산에 관한 인식: 육아 예능 프로그램 <슈퍼맨이 돌아왔다> 시청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5(4), 77-97. https://doi.org/10.21321/jfr.25.4.77
이예슬·전혜정·박하영·주수산나(2020). 노년기 배우자 관계 만족도와 자녀 관계 만족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성별의 조절효과. 한국노년학, 40(6), 1287-1305. https://doi.org/10.31888/JKGS.2020.40.6.1287
박하영·주수산나·김종우·송시영(2020). 나의 미래, 나의 선택: 정규직 미혼여성의 직장경험을 통해 본 결혼 및 출산에 관한 인식. 가족과 문화, 32(3), 79-107. https://doi.org/10.21478/family.32.3.202009.003
박하영·전혜정·주수산나(2020). 중년부부의 성역할 태도 유사성이 남편과 아내의 부부관계 만족도와 부부갈등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8(1), 127-141. https://doi.org/10.7466/JKHMA.2020.38.1.127
박하영·전혜정·주수산나(2018). 남녀노인의 성역할 태도 유형이 부부관계 만족도와 부부갈등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3(1), 21-47. https://doi.org/10.21321/jfr.23.1.25
주수산나·전혜정·박하영(2018). 독거여부와 거주지역에 따른 중년기와 노년기 남성과 여성의 악력 차이. 한국노년학, 38(3), 551-567. https://doi.org/10.31888/JKGS.2018.38.3.551
PRESENTATIONS
주수산나·박하영(2025.05). 중·노년기 배우자의 사회적 통제 및 모델링 행동이 일상적 신체 활동에 미치는 영향. 2025년 한국노년학회 전기학술대회. 2025.05.23-24. 제주대학교, 제주, 대한민국.
Song, D., Jeong, K. H., Joo, S., Nam, K. C., Park, H., Lee, S., & Lee, J. W. (2024.07). Helping the first step from the street to the settlement: The effect of the comprehensively tailored policy for homeless people in South Korea. Social Policy Association Conference 2024, July 3-5th 2024, Glasgow, Scotland.
박하영·최봄이·주수산나·김윤명(2024.05). 노년기 Aging in Place의 필수요소와 능동적 실현 전략에 관한 질적연구. 2024년 한국노년학회 전기학술대회. 2024.05.17. 수원컨벤션센터, 수원, 대한민국.
최봄이·박하영(2023.05). 노인의 죽음 준비 잠재유형과 좋은 죽음에 대한 태도: 연소, 고령, 초고령 노인의 비교. 2023년 한국노년학회 전기학술대회. 2023.05.19.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최봄이·박하영·송시영(2022.11).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중·노년기 부부관계 만족도 변화유형과 영향요인. 2022년 한국가족관계학회 추계학술대회. 2022.11.11. 온라인.
Choi, B., Park, H., Joo, S., Kim, Y., & Kim, H. (2022.06). Digital technology use and social isolation: The moderating role of age-friendly environments. The 22nd World Congres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IAGG 2022, June 12-16th 2022, Online.
박하영·최봄이·주수산나·김윤명(2022.05). 디지털 파도 앞에 선 고령자: 고령자 집단 내 디지털 격차에 관한 질적연구. 2022년 한국노년학회 전기학술대회. 2022.05.20. 이룸센터, 서울, 대한민국.
윤도경·박하영·최봄이·강미선·정인혜·주수산나(2022.05). 노년기 기술수용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2000~2020년. 2022년 한국노년학회 전기학술대회. 2022.05.20. 이룸센터, 서울, 대한민국.
강미선·송시영·정인혜·박하영·신왕수·한수빈(2021.11). 세대공존을 위한 해답 찾기: 텍스트마이닝과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한 한국 사회 내 노인혐오 연구. 2021년 한국노년학회 후기학술대회. 2021.11.26. 온라인.
박하영·조혜주·심용식·이소연·이경철·김현창(2019.10). 부부갈등과 우울의 관계: 사회연결망 조절효과의 성차분석. 2019년 한국가정관리학회 추계학술대회. 2019.10.26. 상명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박하영·주수산나·김종우(2018.10). 나의 미래, 나의 선택: 정규직 미혼여성의 직장경험을 통해 본 일-가정 양립에 관한 인식. 2018년 한국가족학회-일본비교가족사학회 공동추계학술대회. 2018.10.27. 서울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주수산나·전혜정·박하영(2018.05). 독거여부와 거주지역에 따른 중년기와 노년기 남성과 여성의 악력 차이. 2018년 한국노년학회 춘계학술대회. 2018.05.11. 연세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박하영·주수산나(2017.11). 중년부부의 성역할태도 유사성이 남편과 아내의 부부갈등 수준에 미치는 영향. 2017년 한국노년학회 추계학술대회. 2017.11.03. 서울시립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Park, H., Joo, S., & Lee, S. A. (2024.11). Gendered pathway to life satisfaction via helping spouses with digital technology use.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GSA) 2024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3-16th 2024, Seattle, WA, United States.
박하영·주수산나(2024.05). 중·노년기 부부의 노화태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주관적 건강의 매개효과: APIMeM을 활용한 분석. 2024 생활과학분야 춘계공동학술대회. 2024.05.25. 성균관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주수산나·박하영(2024.05). 중·노년기 부부의 일상적 디지털 스트레스와 대처. 2024년 한국노년학회 전기학술대회. 2024.05.17. 수원컨벤션센터, 수원, 대한민국.
강미선·송시영·박하영·김현경·이효정(2024.05). 한국 사회 내 노인혐오 인식에 대한 질적연구: 청년 세대와 노인 세대의 비교를 중심으로. 2024년 한국노년학회 전기학술대회. 2024.05.17. 수원컨벤션센터, 수원, 대한민국.
정규형·송도훈·주수산나·남기철·박하영·이재웅 (2024.05). 거리노숙인 특화 자활사업 발전 방안 연구. 2024년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2024.05.10-11. 전북대학교, 전주, 대한민국.
Park, H., Choi, B., Song, S., & Kang, M. (2023.11). What factors are associated with critical media literacy in later life?.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GSA) 2023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8-12th 2023, Tampa, FL, United States.
Choi, B., Park, H., Song, S., & Kang, M. (2023.11). The generational comparisons of social network site use subtypes and its associations with self-esteem.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GSA) 2023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8-12th 2023, Tampa, FL, United States.
Song, S., Choi, B., Park, H., & Kang, M. (2023.11). Employment and life satisfaction in later life: The mediating role of subjective expectation.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GSA) 2023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8-12th 2023, Tampa, FL, United States.
Park, H., Choi, B., Joo, S., & Kim, Y. (2023.06). Age-friendly environment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Korean adults: The mediating role of aging anxiety.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IAGG) Asia/Oceania Regional Congress 2023. June 12-14th 2023, Yokohama, Japan.
Choi, B., Park, H., Joo, S., & Kim, Y. (2023.06). Daily walking in age-friendly environment promotes successful aging.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IAGG) Asia/Oceania Regional Congress 2023. June 12-14th 2023, Yokohama, Japan.
Joo, S., Park, H., Choi, B., & Kim, Y. (2023.06). How can help older adults who have technology anxiety?.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IAGG) Asia/Oceania Regional Congress 2023. June 12-14th 2023, Yokohama, Japan.
박하영·최봄이·주수산나·임윤묵·김대은·김창오·김광준·이창민·김윤명(2022.12). 건강 노인의 선택, 적정화, 보완(SOC)을 통한 운동 참여 지속 경험. 2022년 한국노년학회 후기학술대회. 2022.12.02. 서울여성플라자, 서울, 대한민국.
박하영·최봄이·송시영(2022.12). 노년기 디지털 정보화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22년 한국노년학회 후기학술대회. 2022.12.02. 서울여성플라자, 서울, 대한민국.
송시영·박하영·최봄이(2022.11).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가족관계 만족도 변화의 영향요인: 연소노인과 고령노인의 비교. 2022년 한국가족관계학회 추계학술대회. 2022.11.11. 온라인.
Park, H., Choi, B., Joo, S., Kim, Y., & Kim, H. (2022.11). Digital technology use and intergenerational integration: The mediating role of digital literacy.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GSA) 2022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2-6th 2022, Indianapolis, IN, United States.
Choi, B., Park, H., Joo, S., Kim, Y., & Kim, H. (2022.11). Digital technology use and social capital: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lass.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GSA) 2022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2-6th 2022, Indianapolis, IN, United States.
Joo, S., Choi, B., Park, H., Lee, C., Kim, Y., & Kim, H. (2022.11). Serial mediation by digital assistant, internet self-efficacy, digital citizenship, and unmet needs.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GSA) 2022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2-6th 2022, Indianapolis, IN, United States.
Park, H., Choi, B., Joo, S., Kim, Y., & Kim, H. (2022.06). What factors are associated with digital literacy in later life?. The 22nd World Congres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IAGG 2022, June 12-16th 2022, Online.
Joo, S., Park, H., Choi, B., Lee, C., Kim, Y., & Kim, H. (2022.06). The association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unmet need among young and older adults. The 22nd World Congres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IAGG 2022, June 12-16th 2022, Online.
Kang, M., Yoon, D., Jun, H., & Park, H. (2022.06). The effects of charitable giving on the life satisfaction of older Korean adults: The mediating role of consumption satisfaction. The 22nd World Congres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IAGG 2022, June 12-16th 2022, Online.
박하영·최봄이·주수산나(2021.11). 고령자의 디지털 정보활용 능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보활용 다양성 및 효능의 다중매개효과. 2021년 한국노년학회 후기학술대회. 2021.11.26. 온라인.
최봄이·박하영·주수산나(2021.11). 포스트 코로나 시대 고령자 디지털정보화의 영향요인. 2021년 한국노년학회 후기학술대회. 2021.11.26. 온라인.
Park, H., Jun, H., & Joo, S. (2021.11). Cross-level mediating effects of social relationships between religiosity and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2021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0-14th 2021, Phoenix, AZ, United States.
Park, H., Joo, S., Kim, D., Kim, Y., & Jun, H. (2021.11). What factors are associated with facilitating conditions to use gerontechnology?.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2021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0-14th 2021, Phoenix, AZ, United States.
Park, H., Joo, S., Kim, K., Kim, C., Lim, Y., & Jun, H. (2021.11). Interaction effect of subjective health and attitude about aging on gerontechnology acceptance.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2021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0-14th 2021, Phoenix, AZ, United States.
박하영·주수산나·박지연(2021.10). 목회자 부부의 성역할태도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부권력의 상호매개효과. 2021년 가정과삶의질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2021.10.30. 충북대학교, 청주, 대한민국.
정인혜·강미선·박하영·송시영(2021.10). 코로나19 팬데믹 시기 초등학교의 교육 및 돌봄 역할에 대한 인식 탐색. 2021년 가정과삶의질학회 추계공동학술대회. 2021.10.30. 충북대학교, 청주, 대한민국.
박하영·전혜정 (2021.05). 노년기 부부의 종교적 특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관계의 다층 매개효과. 2021년 가정학분야 춘계공동학술대회. 2021.05.29. 온라인.
박하영·강미선·신왕수·송시영 (2020.12). 가족 예능 프로그램 시청경험을 통해 본 결혼과 출산의 의미: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의 적용. 2020년 추계 한국가족학회·한국인구학회 공동학술대회. 2020.12.05. 온라인.
박하영·전혜정·주수산나 (2020.11). 노년기 종교활동 참여수준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의 완전매개효과. 2020년 한국노년학회 후기학술대회. 2020.11.27. 온라인.
Park, H., Jun, H., Joo, S., & Lee, S. (2020.11). Who prepares more for end-of-lif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end-of-life planning among older adults.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 2020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4-6th 2020, Online.
송시영·신왕수·강미선·박하영 (2020.10). 잠재 디리클레 할당 토픽모델링과 사회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에서의 저출산 정책 동향 분석. 2020년 가정과삶의질학회·한국인간발달학회 공동 추계학술대회. 2020.10.24. 온라인.
박하영·전혜정·주수산나 (2019.11). 조부모의 손자녀 양육과 부부관계 만족도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효과: Coarsened Exact Matching의 활용. 2019년 한국노년학회 추계학술대회. 2019.11.29.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성남, 대한민국.
이은지·전혜정·박하영·이가연·이선아 (2019.11). 성인자녀에 대한 중노년기 부모의 경제적 지원: 가족 내 비교를 중심으로. 2019년 한국노년학회 추계학술대회. 2019.11.29.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성남, 대한민국.
Baldina, E., Park, H., Heo, J., Kong, H., & Youm, Y. (2019.11). Life satisfaction and spouse’s cognitive impairment: moderation effect of structural cohesion. 2019 National Council on Family Relations Annual Conference. November 20-23rd 2019, Fort Worth, TX, United States.
송시영·박하영·김예나 (2019.11). 육아 예능 프로그램 수용 경험과 미혼여성의 결혼관: <슈퍼맨이 돌아왔다> 수용자를 중심으로. 2019년 한국가족관계학회 추계학술대회. 2019.11.09. 연세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한수빈·박하영·윤태진 (2019.05). 드라마 <SKY 캐슬>을 통해 본 부모 역할에 관한 고찰. 2019년 가정학분야 춘계공동학술대회. 2019.05.25. 서울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Park, H., Jun, H., & Joo, S. (2018.11). The effect of similarity in gender role attitude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middle-aged couples.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s 70th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4-18th 2018, Boston, MA, United States.
Park, H., Jun, H., & Joo, S. (2018.11). The effect of grandchild care on spousal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grandparents: a coarsened exact matching.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s 70th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4-18th 2018, Boston, MA, United States.
Lee, K., Jun, H., & Park, H. (2018.11). Social support, stress coping skill,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and elderly adults: a path analysis. The Gerontological Society of America’s 70th Annual Scientific Meeting, November 14-18th 2018, Boston, MA, United States.
박하영·전혜정·공희진·강현서 (2018.05). 노인의 손자녀 양육 참여와 신체기능 수준 간의 관계: 일어나 걷기(TUG)와 악력을 중심으로. 2018년 한국노년학회 춘계학술대회. 2018.05.11. 연세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Park, H., Jun, H., Joo, S., & Kim, S. (2017.11). The generational comparisons of gender role attitude patterns. National Council on Family Relations 79th Conference. November 15-18th 2017, Orlando, FL, United States.
이가연·전혜정·박하영·주수산나 (2017.11). 자녀 상실을 경험한 중·노년의 우울감 변화유형 분류 및 관련요인. 2017년 한국노년학회 추계학술대회. 2017.11.03. 서울시립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송시영·전혜정·박하영 (2017.11). 중·노년의 직무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2017년 한국노년학회 추계학술대회. 2017.11.03. 서울시립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송시영·전혜정·박하영 (2017.10). 노년기 부부의 가족관계 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2017년 한국가족관계학회 추계학술대회. 2017.10.27. 상명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박하영·전혜정·주수산나 (2017.10). 중년부부의 부부갈등 수준이 남편과 아내의 부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부의 하루 평균 대화시간과 의사소통 만족도의 조절효과. 2017년 한국가족관계학회 추계학술대회. 2017.10.27. 상명대학교, 서울, 대한민국.
Park, H., Jun, H., & Joo, S. (2017.07). The pattern of gender role attitude and marital quality among middle-aged Koreans. The 21st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IAGG), World Congres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July 23-27th 2017, San Francisco, CA, United States.
Park, H., Jun, H., & Lee, E. (2015.11).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retiree's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on life satisfaction of Korean couples. 2015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International Conference. November 3rd 2015, Holiday Inn Song-do, In-cheon, Rep. of Korea.
AWARDS & GRANTS
2024.12.06 2024학년도 연세대학교 우수업적강사 최우수상
2024.04.06 2024년 한국소비문화학회 춘계학술대회 우수논문상
2023.05.19 2023년 한국노년학회 전기학술대회 우수논문상
2022.11.11 2022년 한국가족관계학회 추계학술대회 신진학자 공모전 최우수상
2022.06.13 The 22nd IAGG World Congres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Best Oral Presentation
2022.05.20 2022년 한국노년학회 전기학술대회 우수논문상
2022.01.31 연세대학교 대학원 총학생회 학술지원프로그램 우수상
2021.10.30 2021년 가정과삶의질학회 추계학술대회 우수논문발표상
2021.04.12 2021년 연세 Junior 융합연구그룹 장려상(FAM CONnect)
2020.04.20 2020년 연세 Junior 융합연구그룹 우수상(FAM CONnect)
2019.11.09 2019년 한국가족관계학회 추계학술대회 최우수포스터논문상
2018.03.13 연세대학교 대학원 총학생회 세미나학술 최우수논문
2023 연세대학교 교내 박사후연구원 지원사업
2023 연세대학교 인문사회 학술연구비 지원사업
2022 연세대학교 대학원혁신 학문후속세대 국제공동연구사업
2022 연세대학교 교내 박사후연구원 지원사업
2021 한국노년학회 융복합연구 지원사업
2021 연세대학교 대학원 원우회 세미나 학술 장학
2021 2021년 연세 Junior 융합연구그룹 학술활동 지원(FAM CONnect)
2020 2020년 연세 Junior 융합연구그룹 학술활동 지원(FAM CONnect)
2019 2019년 연세 Junior 융합연구그룹 학술활동 지원(FAM CONnect)
2019 2019년 연세 Junior 융합연구그룹 학술활동 지원(Y-CES)
2017 연세대학교 대학원 원우회 세미나 학술 장학
2015 - 2019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재학조교장학
SKILLS
PROGRAMS
SPSS, STATA, Mplus
STATISTICAL ANALYSIS
Path analysis
Factor analysis
Multi-level analysis
Dyadic data analysis (e.g.,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Panel data analysis (e.g., fixed effect and random effect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e.g., Latent Growth Modeling)
Mixture approaches (e.g., Latent Profile Analysis)
Mediation and moderation
Basic statistical analysis
Missing data handling (e.g., multiple imputation)
DATA
Interview data
Books
Online texts
Academic articles
STATISTICAL ANALYSIS
Grounded theory
Phenomenology
Content analysis
Thematic analysis
Discourse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