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변산반도 지질여행 안내지도는 구글지도를 바탕으로 제작하였다.
본 지도의 각 탐구활동 지점은 사진을 촬영한 장소이다. 따라서 탐구대상은 각 지점이 아닌 바로 주변이거나 멀리 떨어진 곳이다.
본 지도에 사용된 사진은 스마트폰(환산 화각 약 28 mm)의 카메라로 촬영하였으며, 확대 촬영은하지 않았다. 풍경사진이 아닌 대부분의 사진은 1~3미터 범위에서 촬영 되었다.
각 지점을 소개하는 사진 중 나침반 표시가 된 사진에는 촬영 장소의 위도, 경도 값(십진법)과 방위각이 표현되어 있다. 방위각은 촬영한 방향을 표현한다. (방위각은 북쪽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각을 잰 값이다. 정남쪽은 방위각 180도 이다.)
본 지도의 해안선은 썰물때 조간대의 모습을 기준으로 제작된 해안선이므로 밀물때 해안선의 모습과는 다르다.
본 지도의 각 지점에 등록된 위성사진 자료는 카카오맵의 위성자료를 활용합니다. (2021년 12월 현재 구글지도의 위성사진 자료는 국내 서비스 제한으로 상세한 자료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구글지도의 특성이 있어 PC 및 태블릿에 최적화 되어 있으며, 스마트폰으로 활용에는 한계가 있다. (스마트폰의 경우 현장에서 구글지도를 이용하여 각 지점을 찾아가는 용도와 내용 확인은 가능하나 편리한 이용에는 한계가 있다.)
지도를 실행 하면 왼쪽에는 관찰 지점 목록이 오른쪽에는 지도가 나타난다. 목록에서 관찰 지점을 선택하면 설명과 함께 사진이 나타난다. 사진을 클릭하면 큰 사진을 확인할 수 있다. (PC기준이며 스마트폰은 다른 레이아웃으로 보인다. 스마트폰에서 목록은 스마트폰 하단을 쓸어 올리면 확인 가능하다. 목록과 사진을 확인 할 수 있다.)
이용 중 오류를 발견한 경우 게시판에 수정 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