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ding & Discussion (리딩 & 나눔)
Students will be assigned to a group of four for the reading cricle. As the members read each chapter, each will have a role and be prepared to share what they have discovered/noted during the discussion. While each member shares their part, everyone else will take notes and clarify each other's understanding.
한 반 안에서 4명이 한 그룹으로 되어 리딩서클을 진행합니다. 각 반의 인원에 따라 그룹 인원은 조정이 될 수 있습니다. 그날의 읽기 분량에 따라, 학생들은 자신의 역할에 따른 질문들에 응하고 지문에서 필요한 정보, 단서, 질문, 단어, 개념, 함축된 의미등을 발견하며 그룹 내에서 서로가 발견한 부분을 공유하게 됩니다. 돌아가며 한 사람씩 자신의 파트를 나눌때, 다른 학생들은 발표자가 나누는 내용을 필기하고 모두가 정확히 이해 했는지 의논하게 됩니다.
The four roles of a reading circle are as follows: Cautious clarifier, quality questioner, purposeful predictor, and super summarizer.
리딩서클의 4가지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Cautious Clarifier (어려운 개념이나 단어를 명확하게 말해주는 역할), Quality Questioner (육하원칙에 따라 인상깊었던 내용이나 지문에 관련된 질문을 던지는 역할), Purposeful Predictor (지문 속 증거를 찾아내어 책의 주제, 인물, 및 개념들을 추론하는 역할), Super Summarizer (자신의 말로 이해하기 쉽게 내용을 요약하고 사건의 순서를 나열하거나 각 지문의 주제를 자세한 부연설명과 함께 찾는 역할).
Vocabulary & Novel Study Activity (어휘 & 소설 연구 활동)
Before the reading class, students will start with a vocab activity based on the chapter of the book they will be reading. This will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vocabulary words based on the reading context/passage.
리딩수업을 하기 앞서, 학생들은 해당 챕터의 보캡 공부/활동을 시작합니다. 사전에 알아야할 단어를 숙지함으로써 챕터를 읽을 때 내용을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기 위함입니다.
In a novel study activity, students will be given worksheets that will keep them engaged and guide their comprehension of the story, characters, flow, and literary terms.
소설 연구 활동은 학생들이 다양한 문제지/활동을 통해 이야기, 등장인물, 이야기의 흐름 및 문학 용어를 재미있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As a final product, students will have a book trailer, a picture book, and a theme poster to demonstrate what they have learned from the book.
책 한권을 마치며 학생들은 책의 예고편, 그림책 그리고 테마 포스터와 같은 최종 결과물을 만들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