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nd act





주윤정(周鈗)


인권사회학(sociology of human rights), 소수자/장애 연구(minority & disability studies), 생태평화연구(peace & ecology studies)


부산대 사회학과 조교수

Email: araby@pusan.ac.kr




  1. 학력 및 경력

학력

2003-2012.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박사.

2000-2003. 한국학중앙연구원 사회학과 석사.

1994-1998.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과

경력

2021-2022 문화재청 근대문화재분과 전문위원

2021.9-2022.2. 서울대학교 인권센터, 선임연구원

2017.10-2021.9. 서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선임연구원

2014.4 ~ 2017.5.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동북아센터, 객원연구원

학회 및 기타

2022 한국가족학회 총무이사

한국인권학회 연구이사

한국이론사회학회 총무이사

기억과 전망 편집위원

국가인권위원회 자료선정위원회 위원

2021 한국인권학회 연구이사

기억과 전망 편집이사

국가인권위원회 자료선정위원회 위원

2020 한국사회학회 국제분과 이사

한국인권학회 연구이사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기억과 전망 편집위원

국가인권위원회 자료선정위원회 위원

2019 국가인권위원회 대한민국인권근현대사 인권사 총무

기억과 전망 편집위원

이론사회학회 기획이사

2017 문화관광부 새정부 새예술정책 소수자 분과 위원장

2016 문화관광부 장애인문화예술정책 중장기 계획 TF 위원

2015~2017 서울문화재단 잠실창작스튜디오 운영위원

강의

서울대, 서강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광운대, 상지대


2. 학술연구

1) 저서

2021. 「 ‘지속가능성’의 딜레마: 포스트사회주의 몽골 유목경제와 양모산업」. 『몽골의 체제전환과 동북아 평화지정학. 서울대 출판문화원』.

2021. 새로운 공간 전략: 사이 공간과 탈성장 지향」. 『서울의 미래세대:서울은 어떤 미래세대를 성장시키는가』.

2021. "Same despair but different hope : youth activism in East Asia and contentious politics". Digital Media, Online Activism, and Social Movements in Korea. Lanham, Maryland : Lexington Books .

2021. 「코로나 시대의 생태적 전환과 실천들」. 『관계와 경계: 코로나 시대의 인간과 동물』. 포도밭 출판사.

2020. 『보이지 않은 역사: 한국시각장애인의 저항과 연대』. 들녘출판사.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2021 선정.

2019. 「위계화된 권리와 장애인: 차별, 배제, 포섭의 역사」. 『대한민국인권근현대사』 3권. 국가인권위원회.

https://www.humanrights.go.kr/site/program/board/basicboard/view?menuid=001003001003004&searchselect=boardtitle&searchword=%EA%B7%BC%ED%98%84%EB%8C%80%EC%82%AC&pagesize=10&boardtypeid=17&boardid=7605023

2018.「傳統與近代的交錯:殖民地朝鮮盲人職業群體之變化」『日本殖民統治下的底層社會:臺灣與朝鮮』. 中央硏究院臺灣史硏究所.

2018. 주윤정·김홍중. 「중국몽의 시각정치 :향토성과 미래성의 균열」. 『꿈의 사회학』. 한국사회학회:다산출판.

2018.「동아시아의 세계화, 이주 그리고 문화」. 『동아시아 국제사회조사 참여 및 국제비교연구: 문화와 세계화』, 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2018.「민족의 농민에서 세계 시민으로: 한국의 농민운동과 ‘농업개방 반대’의 동아시아 연대」. 『한국의 민주화운동과 국제 연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18. 「동북아 예술공동체」 『통일환경 조성을 위한 동북아 문화공동체 형성 방안』. 통일연구원.

2007.「장애예술운동의 역사와 이론」. 『에이블 아트:차이와 소통의 예술』. 사회평론(단행본). 문광부우수학술도서 선정.

2006.「일상생활 연구와 식민주의」. 『식민지의 일상, 지배와 균열』.(공제욱 정근식 공편. 저서).

2) 논문


2022. 「스탱게르스의 가이아와 강정에서 고사리 꺾기: 이야기, 실천의 생태학, 관심을 기울이기」. 『과학기술학연구』, 22(1), 63-83.

2022. 박효민·주윤정. 「옴니사이드와 다종간 정의: 다니엘라 셀레마이어의 호주산불에 대한 내러티브」.『과학기술학연구』, 2(1), 223-230.

2021. 김종우·주윤정. 「2021 문재인 정부 및 국가인권위원회 정책 평가 조사 결과」. 『인권연구』, 4(2), 199-230.

2021. 주윤정·이동신. 「동물에 대한 이야기, 동물에 의한 이야기: 수잔 맥휴의 문학적 동물연구」 , 『과학기술학연구』, 21(3), 207-217.

2021. 주윤정·이동신. 「프레데릭 켁과의 인터뷰」. 『과학기술학연구』, 21(2), 279-289.

2021. 「배제, 저항, 포스트휴먼: 장애연구의 주요개념들」. 『기억과 전망』, 44. 292-312.

2020. 「경이와 돌봄의 정동:천성산과 제주의 여성 지킴이들」. 『젠더와 문화』, 13(2). 79-113.

2020. 「상품에서 생명으로 : 가축 살처분 어셈블리지와 인간-동물 관계」. 『농촌사회』, 30(2), 273-307.

2020. Park, H., Chun, M. S., & Joo, Y. Traumatic Stress of Frontline Workers in Culling Livestock Animals in South Korea. Animals : an open access journal from MDPI, 10(10), 1920. https://doi.org/10.3390/ani10101920

2020. 주윤정·조하영·박효민. 「가축전염병 살처분 노동과 위험의 외주화」. 『담론201』, 23(3), 7-38.

2020. 주윤정·양종민. 「질병 스티그마와 젠더의 교차성: 한센인들의 사회적 차별과 가족내 차별 경험」. 『가족과 문화』, 32(1). 193-222.

2019. 「탈시설 운동과 사람중심 노동: 이탈리아의 바자리아법과 장애인 협동조합운동」. 『담론 201』, 2(2). pp.141-171.

2018. 「법 앞에서: 형제복지원 피해생존자들의 해방과 기다림의 정치」. 『민주주의와 인권』, 18(4). pp.185-224.

2018. “Same Despair but Different Hope: Youth Activism in East Asia and Contentious Politics”. Journal of Asian Sociology(Development and Society), 47(3). pp. 401-421.

2017.「‘촌지’ 관행과 법의 교섭 : 교육영역에서의 부패에 대한 인식변화」. 『법과 사회』, 56. 273-296

2017. 「동아시아 시각장애인의 생존권의 비교: 일본·대만·한국의 시각장애인 안마사업권을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 115. 345-377.

2017. 김홍중·김석호·주윤정 외 7인. 국 청년세대의 꿈-자본 측정」. 『문화와 사회』, 24. pp. 289-331.

2017. 「'신비의 나라': 중국인의 북한관광과 노스탤지어」. 『역사비평』, 118. 253-277.

2016.“Korean Family’s Narratives: “Education Fever” and “The Dream of the Flying Dragon”“. Journal of Contemporary Korean Studies, 3(1). 197~220.

2015. 「韓國的青年與創意性社會運動」. 『台灣文學研究』. 成功大學-台灣文學系. 09. p. 65-84.

2014. 「시각장애인의 구술전통과 역사전하기」. 『구술사연구』, 5(2).11-35.

2014. 「‘맹인' 점복업 조합을 통해 본 소수자의 경제활동 」. 『한국사연구』, 164. 125-155. .

2013. 「대만 장애인 인권운동(1980년대~2000년대)과 복지권의 형성과정」. 『기억과 전망』, 29. 336-373.

2013. 정근식·주윤정. 「사회사업에서 사회복지로: "복지" 개념과 제도의 변화」. 『사회와 역사』, 99. 5-41.

2013. 「‘사람 취급’ 받을 권리―1970년대 시각장애인 안마사 생존권의 역사」. 『역사비평』, 103. 92-116.

2008. 「慈善과 慈惠의 競合: 식민지기 '盲人' 사회사업과 타자화 과정」. 『사회와 역사』, 80.141~174.

2008. 「식민지기 문화정책의 균열: 박두성의 訓盲點字와 盲人」. 『인천학연구』, 9. 245-270. .

2007. 「해방 후 한센인 관련 사회사업」. 『敎會史硏究』, 29. 221-252.

2003.3. 「朝鮮物産共進會와 식민주의 시선」. 『문화과학』, 33.

3) 학회 발표 및 강연


2021. 6. 「부랑인과 위험-격리-혐오의 어셈블리지: 형제복지원과 치안(policing). 」 한국사회의 혐오: 법과 제도를 중심으로. 숙명인문학연구소 정기학술대회 발표.

2021. 5. 「한글점자 훈맹정음: 시각장애인과 근대적 문자문화」. 문화재로 근현대사를 보다” 국가등록문화재 20주년 특별전 온라인 학술대회.

2021.1. 「보이지 않은 역사: 한국 시각 장애인의 저항과 연대」. 숙명인문학연구소 강연1 https://www.youtube.com/watch?v=f4mtiUIezzk&list=PLzY9R8agreRInSSFi_3Pa94-cxpWAZcKl

「다양성의 관점에서 본 장애예술」. 숙명인문학연구소 강연2

https://www.youtube.com/watch?v=mr_k4IU1GjA&list=PLzY9R8agreRInSSFi_3Pa4-cxpWAZcKl&index=2

2021. 3. 「두루미와 함께 ‘생태평화’ 생각하기」. 강원평화로. 강원대 평화학과 콜로퀴엄.

2021. 2. 「다종간 정의(Multispececies Justice): 인간-동물 관계의 개념, 규범, 실천」.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월례 세미나.

2020. 11. 「DMZ와 질병의 월경: 말라리아, 아프리카 돼지열병 그리고 살충제」. 한국과학기술학회 후기학술대회.

2020.11. 「생태적 각성, 돌봄 그리고 응답능력의 정동-천성산 도롱뇽과 제주 제2공항의 새들」. 코로나 시대 젠더, 생태적 전환 그리고 지속가능한 미래. 계명대 여성학연구소.

2020. 7. “Relationship Between Cranes and People in Cheorwon” CRANES, COMMUNITIES AND AGRICULTURE – OPPORTUNITIES FOR COOPER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International Crane Foundation.

https://www.youtube.com/watch?v=uq742WjF13M

2019.10. 「비무장지대, 단절과 연결: 생태정치의 가능성」. The Korea DMZ Research Lab 1.5(국제 예술가 통일포럼).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초청강연

2019. 9. 「지역사회에서의 장애인 문화예술」. 제주문화재단 초청 강연.

2019. 8. 「DMZ의 생태정치/생태관광: 철원의 두루미 탐조」. 대만 마조도 롄장현. 冷戰景觀保存及活化國際工作坊

2019. 6. 주윤정·양종민. 「시설/정착촌 거주 한센인의 라이프코스와 가족구성」. 한국가족학회 춘계학술대회

2019. 4. 주윤정·나윤영「기득권자와 아웃사이더 : 포토보이스로 바라 본 제천 청년의 삶」. 비판사회학회. 한국사회 청년 읽기.

2019. 3. “Intersectionality of Disability and Gender In Korea”. Disability, Sexuality, and Gender in Asia. Nepal Kathmandu. WUHAN university & Norway human rights center.

2019. 3. “Affect of Korean Dirt Spoon among Elite Youths.” 又穷又厌世当代青年的情感政治与贫穷化问题. 文化研究ROUTER X 台社论坛 X 重新思考社会主义论坛.

2018. 12. ‘유기적’ 지식에서 ‘공식적’ 지식으로 : 장애 운동/연구 동향과 의미연결망 분석. 법사회학회 연말발표.

2018. 9. 「韓の障害者差別禁止法の実行とアカデミック研究」. 일본 사회학회. 코베 코난대학교

2018. 8. “신사물론적 관점에서 본 장애연구.” 이론사회학회 인간-사물 관계와 사회이론의 미래

2018.10. 「이탈리아의 바자리아법과 장애인 탈시설 운동」. 비판사회학회. 신자유주의 극복과 포용을 위한 사회적 모델.

2017.12. 「梦想资本的比较韩国创意青年与中国创意青年」. 중국 하얼빈 사범대학 청년학술대회.

2017.12. 「하층민 인권운동의 ‘인지적 해방’:형제복지원 인권운동을 중심으로」. 인권학회

2017.12. 「내부와 외부의 경계화: 살처분 위험관리와 축산네트워크와 지역공동체에 대한 영향」. 한국 사회학회 정기학술대회

2017.10. 「서울 청년의 도시공간: 사이(in-between)공간과 탈성장지향」. 한국사회학회

2017.10. “Gender, Equality, and Feminist Movements in Asia, A Korean Case”. 亚洲残障与性别平等研讨会. 武汉东湖社会发展研究院. at Seoul.

2017.9. 「교육영역에서 부정청탁금지법의 의미:촌지/선물관행의 변화」. 한국사회학회

2017.5. 「東亞民主化與農民運動」. 대만 성공대학 대만연구소

2017. 6. 「87년 민주화 30주년, 형제복지원을 다시 생각한다」. 인권과 민주주의, 그리고 형제복지원 토론회. 진선미 의원실 주최

2017. 5. 「포스트 사회주의 몽골의 유목경제의 변화」. 중앙아시아학회

2017. 2. 「韓國障碍藝術」. 『「障害× アト」芸術の新しい可能性を探るシンポジウム』. 東大寺総合文化センタ.

2016.7. “China Dream or My Dream: Disability Art Theatre in China” AAS in Kyoto Toshisha Univ.

2016. 7. "Korea Disability Art and Japan-Korea Cooperation". 「2016PARAART TOKYO」. Nippon Charity Kyokai.

2015. 11. “Visual Politics of Chinese Dream” with Prof. Kim Hongjung. SNU Sociology and Beijing Sociology Joint Workshop.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5. 10. “Creative Social Movement of Korean Youth” Tainan Chengkong University. Taiwan

2015. 10. “Disability art and creativity for social inclusion”. International Integration Art Exhibi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uhan University. China

2015. 8. 「‘치맛바람’과 ‘개천에서 용나는 꿈’을 통해본 한국의 가족」. 대한민국역사박물관. 광복70주년

2014. 10. 「보여지는 장애, 은폐되는 병신: 패럴림픽과 부랑자 소탕의 사회사」. 한국사회사학회 정기학술대회

2013. 10. 「'맹인' 점복업 조합을 통해 본 소수자의 경제활동」. 전국 역사학대회 발표. 부산대.

2013.5. “Postindustrial rearragements of human competence:(Dis)ability and art”, Life and Humanity in Late Modern Transformation, SNU International Conference, Seoul.

2013.4. 정근식·주윤정 「사회사업에서 사회복지로: ‘복지’개념과 제도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의 창의적 디자인 모색 :화합적 사회를 위한 복지. 한국사회학회 특별 심포지움

2013. 2 “Benevolent Entitlement : Massage Rights of the Blind between 1950s and 1970s”. Comparing the Post-War Experiences in Taiwan and South Korea. 2013 IOS-SNU Workshop. Taipei

2012. 12. 「장애인예술인 실태조사」. 장애인미술협회.

2012. 9. 「의료행위의 경계:시각장애인 안마사업권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사학회 가을 정기 심포지움

2012. 4. 「장애인 문화예술정책 중장기계획」.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정책 포럼.

2012.2. 「식민주의와 소수자: 식민지기 ‘맹인’의 직업변화」. 한림대 일본학연구소 18차 워크숍

2011.11. 「장애인 창작공간을 위한 방향모색」. 장애인 미술 창작공간 활성화를 위한 세미나. 장애인미술협회 개최. 국회 의원회관.

2010.7. 「한국전쟁기 ‘맹인’의 생활세계: 부산 영도 점집과 구제물자 사회사업 」. 한국사회사학회 하계 워크샵. 부산대학교.

2009.9. 「한국의 장애 예술과 문화권 : 에이블 아트 」. 아태지역 에이블아트의 전망과 과제.

2009.5. 「천황제적 자혜와 식민지 사회사업」. 『식민지 조선과 탈식민주의 연구, 권력/미디어/도시공간의 탐색』.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인터내셔널 워크샵. “

2008.8. “From sorcerers to massagers: modernization/subalternization of the blind in colonial Korea”. Disability History: Theory and Practice.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2007. 5. 「한국 장애예술운동의 현황과 과제」. 『장애인문화 복지정책의 현실과 대안』. 국회 의원회관.

2005. 10. 「장애인의 예술을 통한 사회적 소통 : 일본과 한국의 able art 운동을 중심으로」. 『문화와 소통의 사회사』. 한국 사회사학회 심포지움.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2005.1. “Another Way of Seeing: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Blind Artists”. Art and Social Inclusion. Asian Forum. organized by Able Art Japan. Edo-Tokyo Museum.

2002.1. “Seeing is Not Believing: the modern gaze of the colonial power in the colonial exhibition, 1915”. Graduate Conference of Korean Studies. Havard University. Boston


4) 연구 및 보고서


2020. 「강제수용 인권침해 피해자 트라우마 현황과 인권증진에 대한 모니터링 사업」(인권의학연구소, 질적자료 분석 담당) .

2020.「근현대문화유산 장애인 분야 목록화 조사 연구용역」문화재청, 연구책임.

2020.「위계에서 얽힘으로: 포스트휴먼시대의 인간-동물관계」(한국연구재단,연구 코디네이터). https://sites.google.com/view/has-network/activities

2020.「동물 폐사체처리 종사자 직무 스트레스 해소 방안 설문조사 및 정책 제언」, (농림축산부, 트라우마 질적 조사).

2020.「제4차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수립 연구」(환경부 지속가능발전 기본계획, 보건/육상생태계).

2019. 「대한민국인권사」. 국가인권위원회. (3월-12월). 발간위원회 위원 및 총무

2019. 「위계에서 얽힘으로: 포스트휴먼시대의 인간-동물관계」. 한국연구재단(공동연구원).

2019.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박물관 콘텐츠 개발」.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10월-12월). 공동연구원 (사회운동 관련 데이터 시각화).

2019 「청년과 촛불항쟁」.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8월-11월). 연구책임.

2019 「서울서베이」. 서울시. (5월-12월). 공동연구원(데이터 시각화, 인포그래픽).

2018. 서울시 문화다양성 연구 자문위원. 서울연구원 내부연구.

2018. 청년희망 프로젝트 제천 2023 인구정책 연구용역. 제천시 (2017년 12월-2018년 5월 연구코디네이터(인구센터 및 사회학 연구자 공동연구 관리 및 제천 현지조사).

2017. 「장애인예술 창작 활성화 개발연구」.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2월-12월). 연구책임(전체연구진행 및 이탈리아 사례조사).

2017. 「1980년대 부랑인·장애인 관리체계와 형제복지원 사건 관련자 구술조사 II」. 국사편찬위원회 3-12). 연구책임자.

2017. 「日本の障害者芸術運動とソシャルインクルジョン」. Japan Foundation 韓における若手日本研究者訪日グラント. (3월-8월). 연구책임.

2017. 국가인권위원회 「살처분 종사자 트라우마에 관한 연구」. (6월-12월). 공동연구원 (융복합연구)

2017. 「한국과 몽골 간의 정치 경제 및 문화 교류의 실태와 전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3월-12월). 공동연구원(몽골의 캐시미어 산업과 목축 조사)

2017.「 한센병관리 개선방안 마련」. 질병관리본부 정책연구. (5월-12월). 공동연구원(정착촌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2017. 「동아시아 연대와 사회운동」.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3월-12월). 공동연구원(농민운동 집필)

2017. 한국연구재단 SSK 「전환기 청년의 꿈자본과 이질화」. 한국연구재단. (2017년 9월-현재) 공동연구원(청년의 이질화, 계층, 지방청년 관련 심층조사)

2017- 2018. 문화관광부 새정부 예술정책 TF 소수자 예술분과 집필. 문광부.

2016. 「장애인 문화예술 일자리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5월-12월) 책임연구원

2016. 「아시아 문화지표 개발 기본조사 및 중장기계획 수립」. 광주 아시아 문화전당. (1월-9월). 공동연구원

2014. 「1980년대 부랑인·장애인 관리체계와 형제복지원 사건 관련자 구술조사」. 국사편찬위원회 3-12). 연구책임.

2014. 「소록도 100년의 기억: 국립소록도병원 100년 역사자료집」. 국립소록도병원. (3월-7월). 공동연구(식민지 시대 사료조사).

2014 – 2017. Collaborator. “A Comparative Research on East Asian Creative Generation – Focusing on Korea and China”. Global Research Network and Cooperative Program with China. NRF. 공동연구원.

2014. 「장애인문화예술교육에 관한연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3월-12월). 책임연구원.

2013. 「박정희 시기 보건사회 관료 구술조사」. 국사편찬위원회. (3월-12월) . 공동연구원.

2013. 「장애인문화예술센터 운영방안에 관한연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3월-12월). 책임연구원.

2012. 문화관광정책연구원 「장애인 창작공간 설립을 위한 타당성 연구」. 공동연구원.

2011. 「장애인 문화예술정책 중장기계획 연구」. 한국문화예술위원회. (5월-12월). 연구책임.

2010. 「개교원년 조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평의원회 (6월-12월). 연구보조(역사자료 수집).

2009. 「해방이후 시각장애인의 사회활동과 직업경험」. 국사편찬위원회 구술사조사사업. (3월-12월). 연구책임.

2008. 「식민지기와 해방이후 시각장애인의 직업과 교육활동」. 국사편찬위원회 구술사조사사업. (3월-12월). 연구책임.

2007-2009. 한국연구재단 「식민권력의 자기재현」. 연구보조원

2006-2007. 한국연구재단 「식민지배와 헤게모니 경쟁 」. 연구보조원.

2007. 「일제시대 자료 해제」. 국립중앙도서관 . 공동연구원.

2006. 「시각장애인 미술관 향유를 위한 조사」. 경기문화재단. 연구책임/시각장애인과 협업.

2005. 「한센인인권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연구간사. 전체 연구 코디네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