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중소기업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중소기업 회장단 보상과 혁신
Cortes, A.F., Lee, Y., & Herrmann, P. (2024). Always desire more? CEO perceptions of relative compensation, risk propensity, and innovation in SM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novation Management, 27(9&10), 2350045.
제목: 항상 더 많은 것을 원하나요? 중소기업 CEO의 보상과 혁신
데이터: 1) 콜롬비아 중소기업 CEO 381명, 2) 미국 직장인 630명
요약: 중소기업 CEO의 보상은 기업의 혁신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CEO들은 항상 더 큰 보상을 위해 기업 혁신 성과에 집착할까요?
연구 결과, 중소기업 최고경영자(CEO)는 본인의 보상 (연봉, 현금 보너스, 스톡옵션, 연금)이 비슷한 피어그룹과 비교하여, 1) 보상이 낮았을 시에는 혁신에 더욱 투자하며, 2) 보상이 높을 시에는 혁신에 투자를 하지만, 결국 장기적으로는 투자를 줄이는 보수적인 선택 (현재 보수체계를 유지하기 위해서)을 하였습니다.
중소기업 임원진들의 창업가정신과 전략
Marino, L.D., Kreiser, P.M., Lee, Y., Holwerda, J.A., & Kuratko, D.F. (2024). Getting by with a little help from our friends: Cultural influences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strategic alliance portfolio diversity in SMEs. Journal of Small Business Strategy, 34(1), 80-110.
제목: 친구들의 도움으로 살아남기: 중소기업의 창업가정신과 전략적 제휴에 대한 문화적 영향
데이터: 1) 스웨덴 중소기업 임원 113명, 2) 네덜란드 중소기업 임원 70명, 3) 핀란드 중소기업 임원 58명, 4) 인도네시아 중소기업 임원 162명, 5) 멕시코 중소기업 임원 126명
요약: 중소기업 임원진들의 창업가정신은 기업의 전략적 제휴 (strategic alliance)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5 개국 (스웨덴, 네덜란드, 핀란드, 인도네시아, 멕시코) 529명의 중소기업 임원들을 비교 분석 결과, 창업가정신이 강한 기업은 다양한 전략적 제휴 포트폴리오를 구축하였고, 이러한 효과는 국가의 특유 문화 (불확실성 회피, 개인주의, 남성성)에 의해 조절됬습니다.
논문의 핵심으로, 중소기업이 다양한 회사와 전략적 제휴를 체결하면 사회적 자본의 혜택을 누리고,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기업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새로운 거버넌스 (지배구조)를 적용하고, 공급망 다양화에 성공할 수 있었습니다.
창업학 대가 Donald Kuratko 교수님과 연구한 논문이라 개인적으로 큰 의미가 있었습니다.
중소기업의 사회적 기업가정신
Cortes, A. F., & Lee, Y. (2021). Social entrepreneurship in SMEs: A note on three essential questions. New England Journal of Entrepreneurship, 24(2), 62-78.
제목: 중소기업의 사회적 기업가정신: 세가지 핵심 논점
데이터: 31개 논문
요약: ‘중소기업의 사회적 기업가정신’ 분야에 대한 체계적 문헌 분석을 하였습니다. 이 분야에서 2006년부터 2021년 사이에 출판된 모든 논문 (총 31개)을 분석하였고, 학자들이 어떠한 분야 (예, ESG, 환경, 지속가능경영)를 주로 공부했는지, 그리고 어떠한 이론 (예, 이해관계자 이론)을 사용했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중소기업은 자원도 부족하며, 자신들의 성장을 위해 재무적 성과에 집중해야 됩니다. 그래서 저희는 중소기업이 사회적 기여를 하는 1) 특정한 동기들을 분석하였고, 2)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성과를 공부했습니다. 또한 중소기업이 ESG 경영을 추진할시 장애물들에 대해 분석하였고, 중소기업만의 사회적 활동의 종류들을 정리하였습니다.
중소기업 회장단 인맥과 양손잡이 혁신
Lee, Y., Cortes, A. F., Zhuang, Y., & Herrmann, P. (2021). Soci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ambidexterity: The moderating effect of absorptive capacity. International Journal of Emerging Markets, 16(8), 1793-1812.
제목: 사회적 자본과 기업의 양손잡이 경영: 흡수 능력의 조절효과
데이터: 1) 에콰도르 중소기업 회장 97명, 2) 중국 중소기업 임원 100명
요약: 중소기업 임원진들의 인맥은 정말 회사에 중요할까요? 제 박사학위 선배들과 지도교수님과 함께 재밌는 연구를 하였습니다. 신기하게도 한국의 인맥이라는 개념이 중국 (꽌시)과 남미 (콤파드라스고)에도 깊은 문화로 자리 잡혀있는 걸 알았습니다.
중소기업 임원진들의 인맥과 능력이 실제로 기업의 혁신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연구했습니다. 구체적으로 인맥이 넒고, 능력이 뛰어난 임원들이 기업의 다음 제품/서비스 개발에 영향을 주는지 분석했습니다 (예, 기존의 잘 아는 분야에 집중하는지, 아니면 완전히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는지). 연구 결과, 중소기업 임원진들 중 인맥이 넓고, 그들의 인맥을 통해서 배우려고 (흡수 능력) 노력하는 회사가 결국 양손잡이 경영에 성공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중소기업 조직 문화와 창업가정신
Lee, Y., Howe, M., & Kreiser, P. M. (2019). Organizational culture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 orthogonal perspective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International Small Business Journal, 37(2), 125-152.
제목: 조직 문화와 창업가정신: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의 직교적 관점
데이터: 한국 중소기업 임원 406명
요약: 한국의 특수한 조직 문화를 제시하였고, 과연 이 특수 문화가 중소기업의 창업가정신에 영향을 주는지 연구하였습니다. 구체적으로 저는 “한국의 중소기업들은 개인주의와 집단주의가 모두 높을 수 있다”라는것을 이론적으로 설명하였고,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성향을 모두 가지고 있어야지만 기업 임원진들이 결국 혁신적인 선택을 하며, 변화하는 시장에 빨리 적응하고, 재무적으로 성공한다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제가 박사 1학년때 쓴 논문인데, 좋은 저널에 개제되어 개인적으로 아끼는 논문입니다.
중소기업 임원진들의 열정과 경험
Laskovaia, A., Lee, Y., Bogatyreva, K., & Herrmann, P. (2022). Harmonious passion, effectuation and firm performanc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entrepreneurial experience. Management Decision, 60(1), 2331-2348.
제목: 조화 열정과 이펙추에이션에 따른 기업 성과의 변화: 창업 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
데이터: 미국 중소기업 임원 105명
요약: 과연 열정이 높은 중소기업 임원진들은 회사 성과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러시아 창업학자들과 함께 중소기업 임원진들의 성공 요인을 연구했습니다. 연구 결과, 열정이 높은 임원들 중 자신의 회사가 가지고 있는 자원을 잘 파악하고 있고, 사용방법을 잘 터득하고 있는 회사들이 재무적 성과를 이뤘습니다. 또한 회사 창업 경험이 있는 임원진들이 더욱 회사 자원 사용법을 통해 회사의 목표를 이룰수 있었습니다.
중소기업 창업가정신과 성과
Lee, Y., Zhuang, Y., Joo, M., & Bae, T. J. (2019). Revisiting Covin and Slevin (1989): Replication and extens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firm performance.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Insights, 12, e00144.
제목: Covin and Slevin (1989) 재탐색: 창업가정신과 기업성과 연구의 복제 및 확장 연구
데이터: 1) 미국 중소기업 임원 119명, 2) 중국 중소기업 상장사 1,479개 재무재표
요약: 중소기업의 창업가정신 지수 (혁신성, 기업도전성, 시장주도성)가 기업의 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분석하였고, 이 관계는 기업들이 변화가 빠르고 심한 산업 (환경 역동성)에 속할 수록 더욱 강화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중소기업 성과와 CEO들의 집착
Lee, S., Lee, Y., & Park, K.M. (2024). Performance feedback and obsessive passion: The moderating role of human capital. Plos One, 19(4), e0302180.
제목: 성과 피드백과 집착적 열정: 인적 자본의 조절 역할
데이터: 한국 중소기업 CEO 189명
요약: 회사의 재무성과는 CEO들의 열정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기업의 성과가 긍정적일때 (CEO들의 목표 수준 초과), CEO들은 자신들의 성공영역에 더욱 집착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기업의 성과가 부정적일때 (CEO들의 목표 수준 미달), CEO들은 실제 성과와 목표 수준의 차이를 줄이도록, 더욱 기존분야 집착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재밌는 발견으로, 회사의 인적 자원이 이 이러한 관계들의 방향성을 전환시켰습니다.
스타트업 및 벤처기업 Start-up and Ventures
스타트업 팀원의 열정과 성과
Yoo, S., Lee, Y., Lee, Y., & Bae, T.J. (2024). A cyclical model of passion and performance in new venture teams: Cross-level interactions with a lead entrepreneur's passion and passion diversity. Group and Organization Management.
제목: 신규 벤처 팀에서의 열정과 성과의 순환 모델: 대표 창업가의 열정 및 열정 다양성과의 교차 수준 상호작용
데이터: 한국 창업 보육센터 소속 스타트업 53개 260명 팀원
요약: 벤처기업의 대표와 팀원간의 열정에 차이가 나면 성과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대표 창업가의 열정은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그러나 팀원들 간의 열정에 차이가 클수록 기업의 성과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줬습니다. 구체적으로, 대표와 팀원들 모두 열정이 낮을 때는 당연히 성과가 낮았습니다. 재밌는 결과로는, 대표의 열정이 낮을 시에, 팀원들의 열정이 높으면, 기업의 성과는 성장하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이 논문의 또 다른 핵심으로, ‘열정-성과-열정’의 순환 모델을 제시하였습니다. 구체적으로, 열정이 높은 팀원들의 스타트업이 기업의 목표를 이루었고, 이렇게 성과를 낸 스타트업들에 소속된 팀원들이 결국 더욱 높은 열정을 보여줬습니다.
벤처회사 사무실 선정
Simarasl, N., Tabesh, P., & Lee, Y. (2024). The paradox of resource access: Influence on location decision comprehensiveness and new venture performance. New England Journal of Entrepreneurship, 27(1), 18-39.
제목: 자원의 역설: 벤처회사의 사무실 위치 선정과 성과의 관계
요약: 스타트업이나 벤처회사는 처음 사무실을 어디에 위치해야 할까요?
‘기업 본사 위치’ 연구를 오래해온 Simarasl 교수님과 제 캘리포니아주립대 동기 교수인 Tabesh와 함께한 논문입니다. 스타트업 대표들이 초기에 사무실을 찾을때 여러 분석 (예, 임대료, 경쟁회사 위치, 네트워크 형성)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대표들이 특정 지역에 대한 지식이 있을시 (예, 가족이 산다던지 또는 자신이 나온 대학이 있을때) 경제적인 분석을 깊게 하지 않고, 본사 위치 선정에 속도를 내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이는 결국 스타트업의 초기 성과에도 영향을 줬으며, 결국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원’이 결국 역설적으로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창업학 연구의 미래
Liguori, E.W., Muldoon, J., Ogundana, O.M., Lee, Y., & Wilson, G.A. (2024). Charting the future of entrepreneurship: A roadmap for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societal impact. Cogent Business and Management, 11(1), 2314218.
제목: 창업학의 미래: 학제간 연구와 사회적 영향을 위한 로드맵
요약: 경영학 저널의 편집장들과 함께, 창업 연구의 미래 방향을 제시하였습니다. 구체적으로 10가지 대주제를 상세 분석하였습니다 – 기업형 벤처, 창업 정책 및 규제, 가족기업 경영, 개발도상국 창업, 과도기 창업, 창업교육, 창업가 성격, 경영 역사, 디지털시대, 젠더
창업학 연구의 중요성
Liguori, E.W, Lee, Y., Wilson, G.A., Ogundana, O.M, & Muldoon, J. (2024). Unveiling cogent insights: Exploring the frontiers of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through relevant and rigorous research. Cogent Business and Management, 11(1), 2288356.
제목: 명료한 통찰력: 기업가정신과 혁신 연구의 최전선 탐구
요약: 창업학 연구를 통해 중소기업, 벤처기업, 스타트업 부흥 정책 및 교육 시스템의 발전을 강조했습니다. 예를 들어, 학자들은 경제 성장의 둔화, 환경 파괴, 인간 갈등 증가, 불평등 확대와 같은 국가의 주요 도전 과제를 다루어야 합니다.
창업학의 트렌드
Lee, Y., Kumar, S., Cortes, A. F., Sureka, R., & Lim W. M. (2023). Twenty-five years of New England Journal of Entrepreneurship: A bibliometric review. New England Journal of Entrepreneurship, 26(1), 2-19.
제목: 뉴잉글랜드 창업학저널의 25년: 계량서지학적 분석
데이터: 251개 논문
요약: 뉴잉글랜드 창업학저널에 1998년부터 2022년까지 출판된 251개 논문을 모두 분석하였고, 창업학 연구의 트렌드를 정리하였습니다.
국제 창업의 트렌드
Li, J., Demirkan, I., Lee, Y., & Cortes, A. F. (2022). New trends in entrepreneurship: A global context. New England Journal of Entrepreneurship, 25(1), 2-4.
제목: 기업가 정신의 새로운 트렌드: 글로벌 맥락
요약: 기업가정신 연구에서 세계 각국의 여러 맥락을 고려하는 것을 강조하였고, 특히 국제 시장에서 활동하는 스타트업과 벤처기업을 중심으로 새로운 연구 트렌드를 제시하였습니다.
창업가적 열정
Lee, Y., & Herrmann, P. (2021). Entrepreneurial passion: A systematic review and research opportunities. Journal of Small Business Strategy, 31(3), 122-147.
제목: 창업가적 열정: 체계적 문헌 고찰과 연구 기회
데이터: 63개 논문
요약: 2001년부터 2020년까지 출판된 창업가적 열정과 관련된 모든 논문을 분석하였습니다. 이를 통해서 기존 열정 연구들을 통합적으로 분석 (열정의 종류, 열정이 생기는 과정, 열정이 주는 결과)하였고, 미래에 연구되어야 할 분야들을 추천하였습니다.
창업학 연구의 새로운 관점
Ahlstrom, D., & Lee, Y. (2024). Broadening the entrepreneurship lens: Beyond gazelles and unicorns. New England Journal of Entrepreneurship, 27(1), 9-17.
제목: 창업 연구의 시야 확대: 가젤과 유니콘을 넘어
요약: 창업 연구는 단순히 고성장 기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기업들을 포함해야 합니다. 현재 창업 연구는 전통적으로 높은 성장을 보이는 가젤(Gazelles)과 유니콘(Unicorns) 기업에 집중되어 한계가 있습니다. 이를 지적하며, 소규모 기업들이 경제와 사회에 미치는 중요한 기여를 강조하였고, 보다 포괄적인 창업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자영업, 저성장 기업, 벤처 자본을 받지 않은 스타트업, 외국인 기업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경영학의 대가 David Ahlstrom 교수님과 단독으로 쓴 논문이라 영광이었습니다.
메디치 효과
Lee, Y., Cortes, A.F., Di Benedetto, A., Herrmann, P., Hughes, M., Kim, P.H., Park, H.D., & Sai, L. (2024). The Medici effect: Multidisciplinary approach for entrepreneurship research. New England Journal of Entrepreneurship, 27(1), 2-8.
제목: 메디치 효과: 창업 연구를 위한 다학제적 통찰
요약: ‘메디치 효과’란 다양한 분야의 교류를 통해 창의성과 혁신이 번성하는 개념입니다. 메디치 가문이 다양한 분야의 리더들과 교류하며, 지식과 관점을 공유하여 르네상스를 이끌었던 것처럼, 현대 창업 연구도 다학제적 접근 방식을 통해 더 풍부하고 혁신적인 연구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전략적 리더십, 행동 경제학, 사회 네트워크 이론, 플랫폼 생태계, 정보 민주화, 애자일 제품 개발 방법론, 가족기업 경영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다학제적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습니다.
메디치 가문과 르네상스 역사가 너무 재밌어, 꼭 ‘메디치 효과’를 제 연구에 적용하고 싶었습니다. 함께한 공저자 교수님들은 경영학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이신데, 교수님들의 인사이트를 담은 논문입니다.
창업학 문헌연구
Cortes, A.F., Lee, Y., Terjesen, S., & Hughes, M. (2024). The power of synthesis: Literature reviews in entrepreneurship research. New England Journal of Entrepreneurship, 27(2), 110–114.
제목: 통합의 힘: 창업 연구에서의 문헌 리뷰
요약: 창업 연구에서 통합적 문헌 리뷰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연구자가 주제의 기존 지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연구 공백을 제시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시하였습니다.
창업 교육 Entrepreneurship Education
주변 사람들의 중요성
Bae, T. J., Lee, C. K., Lee, Y., McKelvie, A., & Lee, W. J. (2024). Descriptive norm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 mediating role of anticipated inaction regret. Frontiers in Psychology, 14, 1203394.
제목: 사회적 규범과 창업 의향: 예측되는 후회의 매개 역할
데이터: 1) 미국 일반인 222명, 2) 한국 대학생 128명
요약: 만약 창업을 하지 않는다면 우리는 후회할까요?
주변의 많은 사람들이 창업을 했다면 (사회적 규범), 사람들은 미리 미래의 후회를 예측하고, 창업에 대한 의지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다시 말해, 주변 사람들이 (예, 대학교 동기들, 회사 친구들, 동네 사람들) 하나 둘씩 사업을 시작하고 창업을 하면, 현재에 안주하는 스스로의 모습에 실망하고 후회하며, 더욱 도전적인 삶을 살기 위해 창업 하는것을 발견하였습니다.
창업 교육과 가족의 영향
Lee, Y., Cortes, A. F., & Joo, M. (2021).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founding passion: The moderating role of entrepreneurial family background. Frontiers in Psychology, 12, 743672.
제목: 창업 교육과 창립 열정: 창업가적 가족 환경의 조절효과
데이터: 미국 대학생 160명
요약: 대학교 창업 교육이 학부생들의 창업가적 열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습니다. 대학교에서 창업관련 수업을 들은 학생들은 회사 창립에 관한 긍정적인 감정을 가지게 되고, 이러한 긍정적인 생각은 가족 중 사업하는 사람이 있을 시 더욱 강화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대학교 교육의 중요성
Lee, Y., Kreiser, P. M., Wrede, A. H., & Kogelen, S. (2018). University-based education and the formation of entrepreneurial capabilities.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Pedagogy, 1(4), 304-329.
제목: 대학 교육에 따른 창업가적 능력의 형성 과정
데이터: 미국 대학생 927명
요약: 대학생들이 경영학과 공학 교육을 통해서 어떤 창업가적 능력 (예, 네트워킹 실력, 적극성, 자신감)을 키울 수 있는지 연구하였습니다.
대학생 창업가 능력
Lee, Y., Kreiser, P. M., Wrede, A. H., & Kogelen, S. (2018). Examining the role of university education in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students’ entrepreneurship capabilities. In C.H. Matthews & E.W. Liguori (Eds.), Annal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Pedagogy (Volume 3, pp. 134-161). Edward Elgar.
책 제목: 기업가정신 교육 및 교수법
책 챕터 제목: 대학교 교육이 학생들의 기업가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여성 창업 교육
Lee, Y., Liguori, E.W., Sureka, R., & Kumar, S. (2024). Women’s entrepreneurship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and future agenda. Journal of Management History, 30(4), 576-594.
제목: 여성 창업 교육: 체계적 문헌 고찰 및 연구 어젠다
데이터: 363개 논문
요약: 1993년부터 2023년까지 출판된 여성 창업 교육 분야 모든 논문들을 분석하였습니다. 지난 30년간 여성 창업 교육 연구는 6가지 중점 주제로 나눠졌습니다 (창업 의도, 윤리적 관점, 성별별 장벽, 성별 고정관념, 농촌 창업, 그리고 창업 효능감). 각 6가지 분야를 상세 분석하였고, 여성의 창업 교육을 위하여 미래에 어떤 연구가 진행되야하는지 정리하였습니다.
창업 생태계 Entrepreneurship Ecosystem
창업 생태계
Muldoon, J., Lee, Y., Liguori, E.W., Sahoo, S., & Kumar, S. (2024). Mapping the entrepreneurship ecosystem scholarship: Current state and future directions.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and Management Journal, 20, 3035-3080.
제목: 창업 생태계 연구 전수 분석: 발전 현황과 미래 방향성
데이터: 380개 논문
요약: 1995년부터 2022년까지 출판된 창업생태계 논문을 전수 분석하였습니다.
현재 창업생태계 연구는 4가지 주제로 발전하였습니다: 1) 창업 생태계의 지형과 구성요소, 2) 지속 가능성과 순환 경제, 3) 혁신 주도 생태계, 4) 지식, 기술, 및 상업화.
이를 바탕으로 5가지 미래 연구주제를 제안하였습니다: 1) 디지털 생태계와 기후변화, 2) 생태계 탄력성과 대처 전략, 3) 정부 역할, 4) 지속 가능 창업, 5) 도시 생활
군인 창업, 여성 창업, 외국인 창업,
이민자 창업, 난민 창업
Javadian, G., Nair, A., Ahlstrom, D., Moghaddam, K., Chen, L-W., & Lee, Y. (2023). Transitional entrepreneurship: Unleashing entrepreneurial potential across numerous challenging contexts. New England Journal of Entrepreneurship, 26(2), 78-87.
제목: 과도기 창업: 다양한 도전적 상황에서 발휘되는 창업가적 잠재력
요약: 기존의 창업의 형태를 뛰어 넘어 ‘과도기’에 발견되는 창업가들에 대해 연구하였습니다. ‘과도기 창업’이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제시한 학자들과 함께 진행하여서 의미가 있었습니다.
기존에 많이 발견되는 창업가를 (예, 대학생, 대기업 회사원, 은퇴자) 제외하고 주변에 많이 발견되는 소외된 창업가들에 대해 집중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이민자들이 정착하여 음식점 또는 마트를 시작하거나 (이민자 창업), 군인들이 전역하고 사업을 하거나 (군인 창업), 자식들을 다 키우고 장사를 시작하거나 (여성 창업), 또는 외국인들이 우리나라에 정착하고자 창업 (외국인 창업)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창업가 형태는 창업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매우 중요함으로, 우리가 무엇을 이해하고 있고, 또 어떤 연구가 진행되어야하는지 제시하였습니다.
공공기관 창업가정신의 중요성
Hodgkinson, I. R., Hughes, P., Leite, H., & Lee, Y. (2024). Entrepreneurial orientation, proactive market orientation and society: Evidence from public service organizations in Brazil. International Journal of Entrepreneurial Behavior and Research.
제목: 기업가정신 지향성, 적극적 시장 지향성, 그리고 사회: 브라질 공공기관 실증분석
데이터: 브라질 공공기관 임원 224명
요약: 영국 창업학자들과 함께 공공기관이 창업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습니다. 구체적으로, 공공기관의 기업가정신과 시장친화적인 선택들이 서비스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공공기관 중 혁신적인 변화를 추진하고, 시장에서 요구되는 서비스를 빠르게 적용하는 기관들이 결국 국민들의 만족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창업 보육센터의 중요성 (인큐베이터)
Hughes, M., Hughes, P., Morgan, R. E., Hodgkinson, I. R., & Lee, Y. (2021). Strategic entrepreneurship behaviours and the innovation ambidexterity of young technology-based firms in incubators. International Small Business Journal, 39(3), 202-227.
제목: 전략적 창업가 행동과 양손잡이 혁신 경영: 인큐베이터 소속 기술기반 스타트업 실증 분석
데이터: 영국 창업 보육센터 소속 회사 211개
요약: 영국 창업학의 대가 Mat Hughes 교수님과 함께 연구한 논문입니다. 창업 인큐베이터 소속 회사들이 전략적 창업가 행동을 통해 양손잡이 경영을 이루고, 결국 1년뒤 순이익도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창업생태계에서 인큐베이터의 역할은 점점 커지고 있음으로, 소속 회사들이 어떤 전략을 추구해야 성장할 수 있는지 연구한 논문입니다.
기업형 벤처 (Corporate Venturing)
Lee, Y., & Kreiser, P. M. (2018).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ambidexterity: Literature review, challenges, and agenda for future research. In D.F. Kuratko & S. Hoskinson (Eds.), The Challenges of Corporate Entrepreneurship in the Disruptive Age (Advances in the Study of Entrepreneurship, Innovation, and Economic Growth, Volume 28, pp. 37-62). Emerald.
책 제목: 파괴적 시대에 기업형 창업의 도전
책 챕터 제목: 창업가정신과 양손잡이 경영: 문헌 조사를 통한 미래 연구 과제 제시
공급망 관리의 중요성
Cortes, A. F., Lee, Y., Cortes, J. D., & Liñan, I. (2021).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 supply chain management: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Entrepreneurial Knowledge, 9(1), 127-143.
제목: 공급망 관리에서의 창업가정신: 체계적 문헌 고찰
데이터: 14개 논문
요약: 창업가정신 지수 분야에서 공급망과 관련된 연구를 분석하였습니다. 1989년부터 2020년까지 출판된 논문 14개를 발견하였고, 건강한 창업생태계를 만들기 위해서는 스타트업, 벤처기업, 그리고 중소기업의 공급망 관리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기존 연구들의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와 산업의 공급망 관리를 위해 어떤 연구가 진행되어야할지 제시하였습니다.
여성 창업
Dimick, R., Richard, T., Muldoon, J., & Lee, Y. (2025). Women's entrepreneurial identity: Insights from an agriculturally intensive small island economy.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and Management Journal, 21(1), 1-25.
제목: 여성의 창업가적 정체성: 농업 중심의 소규모 섬 경제에서의 통찰
데이터: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Saint Vincent and the Grenadines) 여성 기업가 12명 인터뷰
요약: 여성의 창업 참여가 낮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연구 결과, 여성 기업가들은 성별 편견으로 인해 창업 네트워크와 금융 지원에서 배제되고, 작은 규모의 전통 산업에 국한되는 사회적 기대 속에서 기업가적 정체성을 구축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성 롤모델과의 직접적 교류가 여성 들의 창업 의지를 고취시키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습니다. 건강한 창업 생태계를 구축되려면 여성 창업가들에 대한 정책적 개입이 필요합니다.
신흥경제 창업
Lee, Y. (2025). Beyond borders: Insights from Professor David Ahlstrom on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in emerging economies. Journal of Management History.
제목: 국경을 넘어: 신흥 경제에서의 창업과 혁신에 대한 데이비드 알스트롬 교수의 통찰
데이터: 인터뷰
요약: 2024년에 경영역사 저널 (Journal of Management History) 편집장으로 부임하며 인터뷰 기반의 새로운 논문의 유형을 도입했습니다.
첫 샘플 논문으로 제가 직접 데이비드 알스트롬 교수님과 인터뷰를 진행했으며, 이를 통해 경영사학적으로 가장 영향력 있는 교수님들의 철학과 통찰을 배우고 기록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알스트롬 교수님은 홍콩에서 30년 이상 신흥 경제 창업∙혁신, 제도 이론, 특히 중국의 기업가정신과 국제경영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셨습니다. 인터뷰를 통해 알스트롬 교수님의 지식과 경험, 그리고 신흥 경제에서의 창업과 혁신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눌 수 있었습니다.
지속가능경영 Sustainability
공기업의 사회적 책임 (CSR)
Zhuang, Y., Lee, Y., Chang, X., & Kim, R. B. (2020).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erformance: An empirical study of state- and privately-controlled firms in China.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27(1), 383-392.
제목: 창업가정신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중국 국영기업과 사기업 실증 분석
데이터: 중국 상장기업 738개 재무재표
요약: 기업의 창업가 정신이 CSR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연구하였습니다. 중국 상장사 중 국영기업들은 특히 더욱 ESG 관리에 집중하였고, 그리하여 높은 CSR성과를 보였습니다. 이를 통해, 국가의 국영기업을 통한 간접적 개입이 기업의 지속가능경영과 사회적 기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사회 구성의 중요성
Zhuang, Y., Chang, X., & Lee, Y. (2018). Board composition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erformance: Evidence from Chinese public firms. Sustainability, 10(8), 2752.
제목: 이사회 구성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 중국 국영기업 실증 분석
데이터: 중국 상장기업 839개 재무재표
요약: 기업의 이사회 구성은 기업의 ESG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요?
상장기업 이사회 구성 총 4,566개를 분석한 결과 정치 커리어, 교수 출신, 그리고 외국 경험이 높은 이사진들이 조합됬을시에 기업의 ESG 성과가 가장 높다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