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문서는 Yorm Studios에서 제작한 보드게임 TIEDIE[타이다이] (이하 타이다이)의 플레이 가이드를 위한 룰 북입니다. 제품에 포함된 룰 북에 미쳐 찾아내지 못한 오탈자 또는 플레이에 있어 수정돼야 할 부분과 게임의 재미를 개선하고자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하여 빠르고 쉽게 전달드리고자 작성된 웹 용 문서이며 저작권은 Yorm Studios에게 있습니다.
본 문서는 참고하기 위함이나 개인적인 목적(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제외)의 경우 인쇄, 출력, 복제 및 배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자의 동의 없이 문서를 수정 후 영리 목적으로 어떠한 방법으로 배포할 시 저작권법에 의거하여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타이다이의 개선점이나 오류보고는 PC와 태블릿은 우측 상단에, 모바일은 좌측 (三) 버튼을 눌러 '문의사항' 탭을 이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TIEDIE는 하나의 게임으로 여러 모드를 즐길 수 있는 것이 특징인 보드게임입니다.
게임에는 기본적인 규칙과 공통된 준비 방법 이 외에 모드 별 승리 조건, 준비, 카드 사용법에 차이가 있으므로 설명마다 ‘ > ’기호로 모드의 제목을 표시하였습니다.
더욱 스피디한 게임을 위해 이동 횟수를 늘리는 등에 규칙 변화나 여러 규칙을 뒤섞어 새로운 룰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다양한 모드를 즐겨보세요.
구성물들을 참조하시면 룰 북의 이해가 쉽습니다.
턴 방향은 게임 시작 시 시작 플레이어가 정합니다.
팀 전의 경우 팀을 번갈아 가며 팀원들이 차례대로 진행합니다.
팀은 여러 방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ex. 6인일 시 2명씩 3팀 / 3 명씩 2팀 / 2 VS 4 비대칭 팀 등)
‘맵 타일’에는 게임에 필요한 표시가 되어 있습니다.
플레이어 시작 위치
이동불가
상자 토큰 위치
문
시작 플레이어는 ‘맵 타일’들을 섞어 뒷면이 오도록 더미를 만들고 하나를 뒤집어 중앙에 놓아둡니다.
다음 턴 플레이어부터 차례대로 더미에서 하나씩 뒤집어 놓습니다. 이 때 한 개 이상의 문이 맞닿도록 하고 다음에 놓일 타일과 연결할 수 있도록 놓아야 합니다. ( 타일이 남지 않을 때까지 진행합니다.)
‘수면 카드’를 잘 섞어 뒷면이 보이도록 한곳에 놓아둡니다.
‘낮/밤 카드’는 상의 후, 시작할 시간으로 놓아둡니다.
‘행동 카드’를 1세트씩[이동,공격,회피,고발] 나눠 가집니다.
‘캐릭터 카드’를 잘 섞어 무작위 또는 선택하여 나눠 가진 뒤, 동일한 ‘캐릭터 토큰’을 가져옵니다.
‘위치 카드’를 플레이어 수만큼 가져와 잘 섞어 나눠 가진 뒤, 숫자와 동일한 시작 위치에 본인의 ‘캐릭터 토큰’을 앞면으로 놓아둡니다.
사냥꾼 모드 시 ‘통로 토큰’ 2개를 제외하고, 이 외에는 모든 ‘상자 토큰’들을 잘 섞어 맵의 상자 토큰 위치에 뒷면으로 하나씩 놓아둡니다.
‘탈출 가이드판’(이하 가이드판)을 한곳에 놓아둡니다.
※ 웹 용 설명 추가 : '상자토큰' 중에는 탈주로 해방 아이템중 중복 되는 아이템이 3개가 있습니다. '상자토큰'을 배치할 때 탈주로 3개, 비밀통로 2개가 배치되었다면 아이템은 4개를 배치하게 됩니다. 이 때, 중복되는 아이템 2개가 배치되어 있지 않았다면 게임 승리 조건 중 '탈출'은 이룰 수 없도록 설정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게임이 지루해지거나 게임시간이 오래 걸릴거라 생각 되신다면 아래 준비 방법을 사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상자토큰'들 중 '탈주로 토큰 '3개와 '비밀통로 토큰' 2개를 가져와 랜덤으로 하나를 제외시킵니다.
나머지 '상자토큰'들과 섞어 맵의 상자 토큰 위치에 뒷면으로 하나씩 놓아둡니다.
플레이어 캐릭터들의 ‘표적 카드’들만 추려 잘 섞어 나눠 가진 뒤, 각자 본인만 확인 후 본인 앞에 뒷면으로 놓아둡니다.
표적이 본인의 캐릭터라면 모든 플레이어를 공격할 수 있으며, 본인은 모든 플레이어들에게 공격받을 수 있습니다.
상의 하여 팀을 나눕니다.
‘행동 카드’와 ‘위치 카드’를 함께 손에 들고 있도록 합니다.
팀 상의 후, ‘공격 카드’를 소지할 팀원을 정하고 그 팀원은 ‘위치 카드’, 나머지 팀원은 ‘공격 카드’를 뒷면으로 내려놓습니다.
상대팀 캐릭터들의 ‘표적카드’들을 가져옵니다.
3팀 이상 시, 진행 반대 방향의 팀 ‘표적카드’들을 가져옵니다.
팀 상의 후, 뒷면으로 놓았을 때 맨 위 카드가 첫 번째 표적이 되도록 더미를 만들어 줍니다.
‘표적 카드’를 뒷면으로 가져와 3이 상단에 오도록 놓아둡니다.
팀 전일 시 상의하여 팀을 나눕니다.
‘위치 카드’ 중 역할을 맡을 번호를 정하고 다시 섞어 나눠 가지거나 자진하여 사냥꾼을 정합니다.
사냥꾼은 맵에 배치되어 있는 ‘상자 토큰’ 중 1개는 '탈주로 토큰' 중 하나를, 1개는 교체한 탈주로 라인의 아이템('가이드 판'참조) 중 하나를와 교체하여 앞면으로 둡니다.
*사냥꾼은 플레이어가 4명 이하 시 1명, 그 외 2명을 추천
‘위치 카드’ 중 역할을 맡을 번호를 정하고 다시 섞어 나눠 가지거나 자진하여 감시자 1명을 정합니다.
감시자를 제외한 수감자 캐릭터들의 ‘표적 카드’들만 추려 잘 섞어 나눠 가진 뒤, 각자 본인만 확인 후 본인 앞에 뒷면으로 놓아둡니다.
감시자는 다른 플레이어들의 ‘고발 카드’를 모두 가져옵니다.
캐릭터 카드를 가장 많이 모으거나 가장 빨리 탈출한 플레이어
상대팀을 가장 많이 제거 또는 팀 원 모두가 먼저 탈출한 팀
가장 먼저 탈출하거나 모두를 탈락 시킨 플레이어 또는 팀
▶사냥꾼: 생존자를 모두 또는 과반수를 탈락시킴
▶생존자: 탈출 아이템을 모아 모두 또는 과반수 탈출
▶감시자: ‘고발 카드’가 모두 소진되기 전에 제거 또는 탈출하려는 플레이어 과반수 제지
▶수감자: 감시자가 제지한 플레이어보다 많은 제거 또는 탈출
1칸은 대각선을 포함하지 않은 상하좌우 한 칸을 뜻하며, 테두리는 대각선을 포함한 주변 칸을 뜻합니다.
< 1 칸 >
< 테두리 >
한 라운드는 선택 → 행동→ 종료 단계로 진행됩니다.
진행에는 시간(낮/밤)이 존재하며, 행동 방식에 변화가 생깁니다.
낮 → 밤 또는 밤 → 낮을 통틀어 1일이라고 표현합니다.
두 가지 행동 (활동 / 수면)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모든 플레이어는 사용할 ‘행동 카드’를 본인 앞에 뒷면으로 놓되, 수면을 택했다면 아무 ‘행동 카드’를 놓아도 상관없습니다.
모든 플레이어가 선택을 마쳤다면 이미 낸 ‘행동 카드’는 바꿀 수 없습니다.
행동 단계가 시작되면 수면을 택한 플레이어들은 ‘행동 카드’를 회수하고 본인 앞에 ‘캐릭터 카드’를 뒷면으로 놓아둡니다.
'캐릭터 카드'를 뒷면으로 놓아두지 않았다면 '활동'으로 간주합니다.
> 활동하기
시작 플레이어부터 ‘행동 카드’를 뒤집어 행동을 진행합니다
‘행동 카드’를 뒤집지 않고 턴을 넘길 수 있습니다.
캐릭터의 능력에 따라 행동 방식이 변할 수 있습니다.
‘활동’ 후 반드시 ‘수면’을 해야 하며, 2턴 연속 ‘활동’시 다음 턴에 ‘강제 수면 판정’을 받아 반드시 수면을 취합니다.
> 수면하기
본인 턴을 넘기며, ‘수면’은 연속으로 취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모든 플레이어가 행동 종료를 선언했다면 각자 '행동 카드'를 회수하고 수면 중이라면 ‘캐릭터 카드’를 앞면으로 되돌려 놓고 ‘수면 카드’ 한 장을 가져옵니다.
‘강제 수면 판정’이라면 [수면 카드]를 얻지 못합니다.
‘수면 카드’의 최대 소지 수는 3장이며, 3장을 이미 소지하고 있다면 카드 한 장을 버리고 새로운 카드를 받아 올 수 있습니다
마지막 턴 플레이어가 낮과 밤 카드를 뒤집습니다.
1일이 지났다면, 시작 플레이어의 다음 턴 플레이어가 새로운 시작 플레이어가 됩니다.
본인의 ‘캐릭터 토큰’을 칸에 맞춰 이동시킵니다.
한 턴에 한 번 지나온 칸은 되돌아갈 수 없습니다.
이동 횟수는 낮엔 3회, 밤엔 2회이며 모두 소진해야 하며, 더 이상 이동할 수 없을 시 남은 이동 횟수는 소멸됩니다.
다른 플레이어와 같은 칸에 포개질 수 없습니다.
다른 플레이어, 탈락자를 뛰어넘어 이동할 수 있습니다.
2칸 이상은 뛰어넘을 수 없고 이동 횟수는 1회로 간주합니다.
대각선 칸에 이동할 공간이 있다면 이동 횟수 2회를 소모하여 지나갈 수 있습니다.
* 기본 공격 방법은 같으나 모드마다 제약 및 탈락 처리 방법이 다릅니다.
이동 규칙에 따라 이동 횟수 이내에 표적이 테두리에 닿는다면 이동하여 공격하며 이동 횟수는 모두 소진하지 않아도 됩니다.
‘표적 플레이어’를 공격하여 탈락시킵니다.
낮에는 같은 방에 표적을 제외한 인원이 있다면 사용 불가하며, 밤에는 제약이 없습니다.
상호 공격 시, ‘표적 카드’가 상호 표적 관계 또는 플레이어 둘 다 ‘표적 카드’가 자신이라면 ‘위치 카드’를 섞은 후 뽑아 높은 숫자가 나오는 사람이 공격에 성공하게 됩니다.
상대팀 플레이어를 공격하여 탈락시킵니다.
낮에는 같은 방에 표적을 제외한 상대 팀원이 있다면 사용 불가하며, 밤에는 제약이 없습니다.
상호 공격 시, 양쪽 공격 인원 둘 다 상대팀의 ‘표적’이라면 양 팀 모두 공격 인원과 공격 순서를 변경합니다.
상대 플레이어의 체력을 깎습니다.
공격받을 때마다 ‘표적 카드’를 반 시계방향으로 돌려 상단에 현재 체력이 표시되도록 하며 본인의 시작 위치로 이동합니다.
체력이 0이 되면 탈락하게 됩니다.
▶사냥꾼: 생존자를 기절시켜 소지하고 있던 ‘수면 카드’는 버리게 하고 ‘상자 토큰’은 생존자 테두리 이내에 뒤집어 놓습니다.
기절한 생존자의 캐릭터 또는 아이템’토큰’을 가져옵니다.
생존자 소지 수는 최대 1명이며 다른 기절한 생존자와 교체할 수 있습니다.
▶생존자: 사냥꾼이 ‘토큰’(생존자, 아이템)을 소지 시에만 공격이 가능하며, 생존자를 소지하고 있다면 구출, 아이템은 회수합니다.
▶감시자: 수감자가 소지하고 있는 ‘수면 카드’를 버리게 하고 ‘상자 토큰’을 재배치합니다.
▶수감자: 꼬리잡기와 동일하며, 감시 공격 성공 시, 감시자를 다음 턴에 강제수면 시키고 수면 카드 2장을 얻습니다.
감시자가 회피하였다면, 그 턴에는 아무도 감시자를 공격할 수 없습니다.
* 본인 차례가 아니어도 공격받은 즉시 뒤집어 사용합니다.
공격 시도가 없을 시 본인의 ‘캐릭터 토큰’을 ‘집행자’가 임의로 1칸 이동시킵니다.
공격한 플레이어를 탈락시킵니다.
본인 차례가 아니어도 공격을 받은 즉시 뒤집어 회피하며 공격한 플레이어의 체력을 깎고 시작 위치로 이동시킵니다.
▶사냥꾼: 생존자를 끌고 가는 중에만 사용 가능하며, 본인을 공격하려는 생존자를 기절시킵니다.
▶생존자: 사냥꾼의 공격을 회피합니다.
▶감시자: 수감자의 공격을 회피하며 공격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수감자: 꼬리잡기와 동일하며, 감시자로부터 회피 시 수면 카드 2장을 얻습니다.
생존자가 3인 이상일 때 사용 가능합니다.
먼저 사용한 사람을 우선으로 합니다.
본인 차례가 아니어도 언제든 사용 가능 하나, 반드시 공격하려는 플레이어의 턴이 오기 전에 사용해야 합니다.
공격 시도가 의심되는 플레이어를 지목하며 ‘OOO을 공격한다!’고 알리고 지목된 플레이어는 ‘행동 카드’를 뒤집어 보여줍니다.
- 공격 카드 X: 고발 플레이어는 다음 턴에 ‘강제 수면 판정’을 받고. ‘고발 카드’는 2일간 사용 불가합니다. 지목된 플레이어는 행동을 즉시 진행할지 본인 턴에 진행할지 정합니다.
- 공격 카드 O, 표적 X: 지목된 플레이어 다음 턴에 ‘강제 수면 판정’을 받습니다.
- 공격 카드 O, 표적 O: 지목된 플레이어는 즉시 탈락되며 캐릭터, 표적 카드를 고발한 플레이어에게 넘깁니다.
같은 팀은 고발할 수 없고 이 외엔 꼬리잡기와 동일합니다.
꼬리잡기와 동일하나 표적은 맞추지 않아도 됩니다.
- 공격 카드 X: 고발 플레이어는 시작 위치로 이동합니다.
- 공격 카드 O: 지목된 플레이어는 시작 위치로 이동합니다.
▶사냥꾼: 본인 차례가 아니어도 언제든 사용 가능 하나, 반드시 이동하려는 플레이어의 턴이 오기 전에 사용해야 합니다.
탈주로가 개방되어 있는 방에 위치해 있는 생존자 수만큼 사용 가능하며, 탈출 시도가 의심되는 플레이어를 지목하고 지목된 플레이어는 ‘행동 카드’를 뒤집어 보여줍니다.
- 이동 카드 X, 탈출 가능 X: 지목된 플레이어에게 이동 횟수 3회가 주어집니다.
- 이동 카드 O, 탈출 가능 X: 지목된 플레이어를 기절시킵니다.
- 이동 카드 O, 탈출 가능 O: 기절 상태로 사냥꾼 테두리에 놓입니다.
▶생존자: 고발 시 ‘수면 카드’ 1장을 소모합니다.
사냥꾼의 공격 시도가 의심되면 사용하며 사냥꾼은 ‘행동 카드’를 뒤집어 보여줍니다.
- 공격 카드 O: 사냥꾼은 해당 턴에 아무 행동도 하지 못합니다.
- 공격 카드 X: 사냥꾼을 본인의 테두리에 이동시키고 본인은 기절 상태가 됩니다.
본인 차례가 아니어도 언제든 사용 가능 하나, 반드시 공격, 탈출하려는 플레이어의 턴이 오기 전에 사용해야 합니다.
한 턴에 여러 번 사용이 가능하며, 탈출 시도가 의심되는 플레이어를 지목합니다.
- 이동 카드 O: 지목된 플레이어를 탈락시키며 해당 플레이어가 소지하고 있던 ‘상자 타일’을 재배치합니다.
- 이동 카드 X: ‘고발 카드’를 하나 버립니다.
공격이 의심되는 플레이어를 지목하며 ‘OOO을 공격한다!’고 알리고 지목된 플레이어는 ‘행동 카드’를 뒤집어 보여줍니다.
- 공격 카드 O, 표적 X: 지목된 플레이어를 다음 턴에 ‘강제 수면’ 시킵니다.
- 공격 카드 O, 표적 O: 지목된 수감자는 즉시 탈락시키고 해당 플레이어가 소지하고 있던 ‘상자 타일’을 재배치합니다.
- 공격 카드 X: 고발 카드를 하나 버립니다.
탈락된 플레이어는 소지하고 있던 ‘수면 카드’는 버리고 ‘상자 토큰’은 본인 테두리 이내에 뒤집어 놓습니다.
탈락된 플레이어의 ‘캐릭터 토큰’은 뒤집어 놓습니다.
탈락시킨 플레이어에게서 캐릭터, 표적 카드를 가져옵니다.
가져온 ‘표적 카드’가 새로운 표적이 됩니다.
본인의 표적이 다른 플레이어에게 ‘고발’,’회피’ 등으로 탈락 시, 본인의 표적을 탈락시킨 플레이어를 표적으로 삼습니다.
탈락된 플레이어의 ‘캐릭터 토큰’은 뒤집어 놓습니다.
제거된 ‘표적 카드’를 뒤집어 ‘표적 카드’더미 맨 아래에 놓은 뒤, 다음 표적을 노립니다.
‘공격 카드’를 가지고 있던 팀원이 제거된다면 ‘공격 카드’를 소지할 새로운 팀원을 정합니다.
체력이 0이 된 플레이어는 ‘캐릭터 토큰’을 뒤집어 놓습니다.
사냥꾼은 ‘통로 토큰’이 테두리에 닿으면 생존자를 탈락시킬 수 있습니다.
기절한 생존자는 1칸 이내에 다른 플레이어가 2턴 간 / 2명 이상이 1턴 간 머무른다면 소생이 가능합니다.
감시자: ‘고발 카드’가 떨어지면 감시자는 즉시 탈락합니다.
수감자: 꼬리잡기와 동일합니다.
탐색이란 ‘상자 토큰’을 뒤집어 보는 걸 말합니다.
[상자토큰]을 뒤집을 수 있는 칸에 위치해 있다면 [행동카드] 또는 [수면카드]를 사용 하기 전,후에 언제든 탐색이 가능합니다.
1칸 이내에 있다면 가져와 본인만 확인합니다.
아이템일 시 소지할 수 있으며, 최대 소지 수는 2개입니다.
교체 시, 소지하고 있던 ‘토큰’은 교체할 ‘토큰’의 자리에 원하는 면으로 놓습니다.
탈주로 토큰이 나왔다면 반드시 원래 자리에 앞면으로 둡니다.
☞ 감시자, 사냥꾼은 [상자 토큰]을 뒤집지 못합니다.
☞ 탈주로와 통로는 같은 칸에 포개졌을 시 이용 가능합니다.
탈주로는 배치한 토큰에 따라 1~3 곳까지 나타납니다.
1칸 이내 탈주로가 있다면 가이드판 해당 탈주로 라인에 아이템을 올리거나 회수(타 플레이어도 가능)할 수 있습니다.
가이드판이 채워진 탈주로만 탈출이 가능합니다.
반드시 두 개의 ‘통로 토큰’이 앞면이어야 사용 가능하며 ‘통로 토큰’과 포개어졌을 때 다른 통로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상자 토큰’을 섞음에 따라 개방이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동 후 ‘통로 토큰’과 포개어지지 않도록 한 칸 이동합니다.
‘사냥꾼 모드’시 ‘비밀 통로’대신 ‘제거 통로’로 사용됩니다.
행동카드와 별개로 행동하기 전,후로 사용합니다.
방어가 가능한 수면카드는 공격 받는 즉시 사용가능합니다.
사용 시점이 특정 되어있는 카드 (ex. Blanket(담요) : 행동 진행이 시작되자마자...) 는 반드시 사용시점에 맞춰 사용하여야 합니다.
▶한 걸음: 이동 칸수가 1칸 추가 되며 여러 장(최대 3장) 사용이 가능합니다.
▶탐색: ▶ 원하는 플레이어의 ‘행동/수면 카드’를 본인만 확인 후 되돌려 놓습니다.
> [감시자 전용] 상대방이 소지한 ‘상자 토큰’을 회수 후 재배치합니다.
▶훔치기: 1칸 이내의 플레이어가 소지하고 있는 ‘수면 카드’ 또는 ‘상자 토큰’ 하나를 가져옵니다.
▶밀치기: 1칸 이내 플레이어를 1칸 옮기거나 ‘훔치기’ 방어 후 상대의 ‘캐릭터 토큰’을 임의로 1칸 옮깁니다. (다른 토큰을 뛰어넘을 수 없습니다.)
▶수면제: 한 명을 지목하여 해당 플레이어를 강제 수면 시키며, 반드시 해당 플레이어의 행동 진행 이전에 사용해야 합니다.
▶에너지 드링크: ‘수면제’를 무효로 만들고 수면 턴에 활동을 하더라도 강제 수면 판정을 받지 않습니다. 강제 수면 판정을 받은 턴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부딪히기: 다섯 칸 이내의 플레이어에게 달려가 부딪혀(다른 타일 넘기 불가) 상대를 부딪힌 방향으로 두 칸 밀어내며 ‘수면 카드’를 버리게 하고 ‘상자 토큰’을 테두리에 떨어뜨리게 합니다.
▶버티기: ‘부딪히기’를 사용한 플레이어를 달려온 방향으로 두 칸 밀어내며 ‘수면카드’를 버리게 하고 소지하고 있는 ‘상자 토큰’을 테두리에 떨어뜨리게 합니다.
▶담요: 수면 시 사용할 수 없습니다.
행동 진행이 시작되자마자 뒤집어 표시하며, 해당 턴에 다른 카드 효과, 공격을 받지 않습니다.
▶기다란 모자: 본인의 타일을 넘어가려는 플레이어를 막고 이동 칸수 1칸을 소모 시킵니다
수면카드 2장을 소모하여 상대의 행동하기를 제지한다. 능력 사용 시 본인도 다른 행동을 하지 못한다.
수면카드 중 ‘탐색’을 1회 사용 후 버리지 않고 2회까지 사용할 수 있다. 2회 사용 후에는 강제수면 판정을 받는다.
고발 카드가 수면 카드의 ‘탐색’역할을 하고 사용 후 버리지 않는다. 수면 카드의 ‘탐색’은 고발 카드의 역할을 하며 한 번 사용 후 버린다.
밤에 이동 횟수가 2회 추가된다. 추가 이동 횟수는 모두 소진할 필요 없다.
낮과 밤 상관없이 토큰을 뛰어넘을 때 이동 횟수 2회를 소모한다.
고발을 지목당했을 때 고발 카드를 버리고 고발을 무효화한다.
토큰을 뛰어넘을 시 이동 횟수를 소비하지 않지만 대각선으로 뛰어넘을 시 이동 횟수 3회를 소비한다.
공격당했을 시, 고발 카드와 회피 카드를 소비하여 공격을 무효화한다. (공격자는 공격 카드를 다시 회수한다.)
고발 카드를 사용하여 상대가 낸 행동카드를 맞췄을 시 상대행동을 제지한다. 틀렸을 시 2턴간 강제 수면한다.
수면을 하지 않아도 강제 수면하지 않는다. 수면을 1회 이상 하지 않았다면 이동 횟수가 1회로 한정된다.
(취침 시 이동 횟수 복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