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4
Seoul
Jaqueline Perez Gamboa
Photo by Joël de Vriend on Unsplash
On March 24, 1980, Monsignor Oscar Arnulfo Romero was murdered in El Salvador after denouncing the systematic human rights violations in that country. His advocacy and activism was recognized by the United Nations, which proclaimed the International Day for the Right to the Truth Concerning Gross Human Rights Violations and for the Dignity of Victims in 2010. Since then, every March 24, the world honors the fight of activists, NGOs, and human rights defenders while reaffirming the importance of truth and justice in the cases of human rights violations. This day aims to pursue justice for victims, preserve their memory and dignity, and demand state accountability for human rights violations, ensuring that those responsible are held to account and the victims’ stories are acknowledged.
The fight for truth and justice remains a struggle in many countries today. Across all continents, communities continue demanding answers for the human rights violations in face of ongoing violence, armed conflicts, and repression. In Mexico, women-led movements and collectives have taken the lead in demanding truth and justice where the state institutions have failed.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ommision on Missing Persons (ICMP), in 2023 more than 100,000 people were officially registered as disappeared due to the crisis of violence and impunity the country is facing. In response to the state’s failure to act effectively, desperate mothers known as “Madres buscadoras” (“Searching Mothers”), have joint efforts and resources to look for their family members demanding truth, justice and actions towards disappearances in Mexico. They have been driven essential foundings and the awareness of the society towards the violence problematic and its impact on human rights defense.
The urgency of true telling is not limited to organized collectives alone, today the importance of digital media has become especially clear in current armed conflicts. In Palestine, citizen journalists and residents use social media platforms to share real-time footage of the humanitarian crisis and the ongoing genocide they are victims of. The digital testimonies often counter official narratives and expose human rights violations to a global audience. However, online censorship, and threats to local journalists reveal how truth itself is under attack. Still, digital platforms have become vital tools in the fight for visibility and justice. The creation of content using legends like “All Eyes On Gaza” or certain kind of filters became strong mechanisms in the awareness and demand of justice for Palestine citizens.
In contexts of censorship or repression,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play a vital role in documenting human rights violations and preserving evidence. In the North Korea case, the Database Center for North Korean Human Rights (NKDB) has created one of the most comprehensive records of human rights violations using North Korean escapees testimonies. In Syria, the Syrian Network for Human Rights (SNHR) continues to report on disappearances, torture, arbitrary detentions, releases of political prisoners in the country despite the armed conflict that Syria was facing. These reports aim to the global recognition of this problem and call for UN actions to implement the resolutions achieved from their investigations. Both organizations preserve truth where state denial prevails, laying the groundwork for future accountability.
In post-conflict contexts, the focus often shifts from uncovering the truth to preserving memory. In Colombia, the 2022 Truth Commission marked a milestone in recognizing the voices of the nearly 30,000 victims of the country’s armed conflict. In its final report, the Commission exposed how different actors like the state, guerrilla groups and paramilitaries, were responsible for systematic violence. The efforts realized by this Commission, according to the CIDH, were meant not only to uncover the truth or point the responsible, but to reconcile and heal all Colombians. In South Korea, the Comfort Women movement continues through memorials and museums, ensuring that the voices of the victims of sexual slavery by the Japanese military during the colonial era are not forgotten. These cases show that memory is not a passive remembrance, but the actual resistance against erasure and denial.
The right to the truth is not just about uncovering the past; it is also about shaping the future. Around the world, people continue to risk their lives to tell, preserve and demand the truth. Whether through protests, documentation, journalism, memory work, or the use of social media platforms, their efforts form part of a global movement rooted in dignity and justice. Today’s digital tools are crucial and benefit this day’s purpose, allowing every user to be an active advocate for human rights and demand the accountability of every government worldwide.
国际知晓真相权利日
杰奎琳·佩雷斯·甘博阿
1980年3月24日,奥斯卡·阿尔努尔福·罗梅罗大主教在萨尔瓦多遭到暗杀,他因谴责该国系统性的人权侵犯而成为攻击目标。联合国认可了他的倡导和行动,并于2010年正式宣布3月24日为“国际关注严重侵犯人权真相权及受害者尊严日”。自那时起,每年的这一天,世界各地都会纪念人权活动家、非政府组织(NGO)和人权捍卫者的斗争,同时重申在面对人权侵犯时,追求真相与正义的重要性。这一天旨在为受害者争取正义,维护他们的记忆和尊严,并要求各国政府对人权侵犯行为负责,确保施害者受到追责,让受害者的故事被世人知晓。
在当今许多国家,争取真相与正义的斗争仍然充满挑战。在全球各大洲,面对持续的暴力、武装冲突和镇压,各地社区仍在不断追问人权侵犯的真相。在墨西哥,女性主导的社会运动和团体站在追求真相与正义的最前线,弥补国家机构的失职。根据**国际失踪人员委员会(ICMP)**的数据,截至2023年,由于暴力和有罪不罚现象的加剧,墨西哥已有超过10万人被官方登记为失踪。面对政府行动迟缓、措施无效,绝望的母亲们自发组成“寻亲母亲”(Madres Buscadoras)组织,联合资源寻找失踪的亲人,并向政府施压,要求采取行动解决失踪问题。她们的努力不仅推动了社会对暴力问题的认知,也促进了人权保护工作的进展。
对于真相的追求不仅局限于有组织的行动,在当今的武装冲突中,数字媒体的重要性尤为凸显。在巴勒斯坦,当地公民记者和居民利用社交媒体平台实时分享人道主义危机和正在发生的种族灭绝的画面。这些数字证言往往挑战官方叙述,将人权侵犯的真相呈现给全球观众。然而,网络审查和对当地记者的威胁表明,真相本身正面临攻击。尽管如此,数字平台仍然是争取可见度和正义的重要工具,例如“关注加沙”(All Eyes on Gaza)等口号的传播,以及特定滤镜的使用,都成为了全球范围内声援巴勒斯坦人民的有力手段。
在审查制度和镇压环境下,非政府组织在记录人权侵犯和保存证据方面发挥着至关重要的作用。例如,在朝鲜,朝鲜人权数据库中心(NKDB)建立了全球最全面的朝鲜人权侵犯记录,主要基于脱北者的证词。在叙利亚,叙利亚人权网络(SNHR)持续记录该国的失踪案件、酷刑、任意拘留以及政治犯的释放情况,尽管该国仍深陷武装冲突之中。这些报告不仅呼吁全球关注这一问题,还推动联合国采取行动,落实相关决议。在国家否认事实的情况下,这些组织保留了真相,并为未来的问责奠定了基础。
在战后社会,真相的揭示往往转向对记忆的保存。2022年,哥伦比亚真相委员会标志着该国在承认近3万名武装冲突受害者声音方面取得的里程碑式进展。最终报告揭露了国家、游击队组织和准军事部队如何共同参与系统性暴力。根据美洲人权委员会(CIDH)的说法,该委员会的努力不仅在于揭示真相和指认责任者,更在于促进所有哥伦比亚人的和解与治愈。在韩国,慰安妇运动依然在通过纪念馆和博物馆,确保在日本殖民统治时期被日军强征为性奴隶的女性受害者的声音不会被遗忘。这些案例表明,记忆不仅仅是对过去的回顾,更是对抹除与否认的持续抵抗。
真相权不仅关乎揭露历史,更关乎塑造未来。在全球范围内,许多人仍然冒着生命危险去揭示、保存和捍卫真相。无论是通过抗议、记录、新闻报道、历史记忆工程,还是社交媒体平台,他们的努力共同构成了一场植根于尊严与正义的全球运动。现代数字工具的普及使每个人都能成为人权的积极倡导者,并要求各国政府对其行为负责,使世界向更公平的方向迈进。
국제 진실 권리의 날
자켈린 페레즈 감보아
1980년 3월 24일, 엘살바도르에서 인권 침해를 공개적으로 비판한 오스카 아르눌포 로메로 대주교가 암살당했습니다. 그의 옹호 활동은 유엔에 의해 인정받았으며, 유엔은 2010년에 “진실에 대한 권리와 피해자의 존엄에 관한 국제 기념일”을 제정했습니다. 그 이후 매년 3월 24일, 세계는 인권 운동가와 NGO, 인권활동가들의 투쟁을 기리며, 인권이 침해된 곳에서 진실과 정의의 중요성을 재확인합니다. 이 날은 피해자들에게 정의를 구현하고, 그들을 기억함과 동시에 존엄을 지키며, 인권 침해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요구하고, 가해자들을 처벌하며, 피해자들의 이야기를 인정받도록 하기 위한 날입니다.
진실과 정의를 위한 싸움은 오늘날에도 많은 나라에서 계속되고 있습니다. 모든 대륙에서 공동체들은 폭력, 전쟁, 억압 속에서도 인권 침해에 대한 해명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멕시코의 국과 기관이 대응에 실패했을때 여성 주도 운동과 집단행동은 국가가 진실을 보여줄 수 있도록 요구하였습니다. 국제 실종자 위원회(ICMP)에 따르면, 2023년 멕시코에서는 10만 명 이상의 실종자가 공식 등록되었고, 이는 폭력과 면책 때문입니다. 국가의 효과적인 대응 실패에 대응하여, “마드레스 부스카도라스(Madres Buscadoras)”(아이를 찾는 어머니들)는 가족을 찾기 위해 자원을 모으고 진실, 정의, 실종에 대한 행동을 요구하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멕시코 사회에 폭력 문제와 인권 옹호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습니다.
진실을 말하는 긴급성은 조직된 단체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오늘날 디지털 미디어의 중요성은 무장 갈등이 벌어지고 있는 지역에서 더욱 확실해지고 있습니다. 팔레스타인에서는 시민 기자와 주민들이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사용해 인도주의 위기와 자신들이 겪고 있는 집단 학살의 실시간 영상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디지털 증언은 종종 편견적인 언론에 반박하며, 전 세계에 인권 침해를 알립니다. 그러나 온라인 검열과 지역 언론인에 대한 위협은 진실 자체가 공격받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지털 플랫폼은 가시성과 정의를 위한 싸움에서 중요한 도구가 되었습니다. “All Eyes On Gaza” 같은 문구나 특정 필터를 사용한 콘텐츠는 팔레스타인 시민들의 인식 제고와 정의 요구의 강력한 수단이 되었습니다.
검열이나 억압이 있는 상황에서는 비정부기구가 인권 침해를 기록하고 증거를 보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북한의 경우, 북한인권기록센터(NKDB)는 탈북자들의 증언을 바탕으로 가장 포괄적인 인권 침해 기록을 구축해 왔습니다. 시리아에서는 시리아인권네트워크(SNHR)가 무력 분쟁 속에서도 실종, 고문, 자의적 구금, 정치범 석방 등에 대한 보고를 계속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보고들은 국제 사회의 인식을 높이고, 유엔이 조사를 바탕으로 결의안을 실행하도록 촉구합니다. 이 두 단체는 국가가 부인하는 진실을 지켜내며, 미래의 책임 추궁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분쟁 이후의 상황에서는 진실을 밝히는 것뿐만 아니라 기억을 보존하는 데 초점이 맞춰집니다. 콜롬비아에서는 2022년 진실위원회가 약 3만 명의 내전 피해자의 목소리를 인정한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습니다. 위원회의 최종 보고서는 국가, 반군, 민병대 등 다양한 행위자들이 조직적인 폭력에 책임이 있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미주인권위원회(CIDH)에 따르면, 이 위원회의 노력은 단순히 진실을 밝히거나 책임자를 지목하는 것을 넘어, 콜롬비아 국민 전체의 화해와 치유를 위한 것이었습니다. 한국에서는 일제강점기 일본군에 의해 성착취 피해를 입은 위안부피해자들의 목소리를 기념관과 박물관을 통해 계속해서 기억하고 있습니다. 이 사례들은 기억이 단순한 회상이 아니라, 회피와 부정에 대한 실제적인 저항임을 보여줍니다.
진실을 알 권리는 단순히 과거를 밝히는 것이 아니라, 미래를 형성하는 일입니다. 전 세계의 사람들은 오늘도 진실을 말하고, 기록하고, 요구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있습니다. 시위, 문서화, 언론, 기억 작업,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통한 활동 등 그들의 노력은 존엄성과 정의에 뿌리를 둔 세계적인 운동의 일부입니다. 오늘날의 디지털 도구들은 이러한 날의 취지에 매우 중요하며, 모든 사용자가 인권의 옹호자이자 각국 정부에 책임을 요구하는 주체가 될 수 있게 해줍니다.
Sources
International Commission on Missing Persons. 2024. Mexico. ICMP
Inter-American Commission on Human Rights. 2022. CIDH: Informe de la Comisión de la Verdad de Colombia contribuira con el Proceso de Reconciliación Nacional. Organization of American States
Khalil, Laila. 2024. “Scrolling Social Media Sentiments on the Gaza War.” The Cairo Review of Global Affairs
NKDB (Database Center for North Korean Human Rights). 2024. “About NKDB.”
United Nations. 2024. “International Day for the Right to the Truth.”
Written by Jaqueline Perez Gamboa for Yonsei GSIS Human Rights Hu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