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R HMD의 몰입과 사용성을 위해 다양한 인종 및 문화에 맞는 기능적 개선사항 연구
시각 기반 손가락 임베디드 터치 키보드 시스템 제안 및 구현
GAN 모델을 활용, 심미성과 기능성을 고려한 제너러티브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
뇌파 데이터를 통한 영상 스토리텔링 구조 분석과 평점 예측 시스템 구축
기계학습으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감성에 따른 배색 추출 시스템 개발 연구
기존 색채 감성 연구에서 문화적, 시간적, 집단적, 맥락적 요인을 고려하지 못한 점을 해결
자동화된 배색 추출 시스템
Future smart home concept design with IKEA Sweden
인공 신경망, 기계 학습, 추리 등과 같은 인공지능과 그의 원천기술인 뇌과학의 개념을 체험을 쉽게 이해하고, AR/VR/MR과 같은 몰입도 높은 최신 장비를 통하여 미래과학기술에 대한 흥미와 학습효과를 높이는 콘텐츠 개발
초다시점 영상을 원활하게 제작하기 위한 휴대형 다시점 실사 영상 촬영장치 및 초다시점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는 영상 제작도구 활용방법 개선 및 관련 콘텐츠 제작
심각한 피해를 동반하는 재해 및 재난이 증가함에 따라 이를 체계적으로 예측하고 대비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 프로젝트
발생 시기와 원인 경과를 가늠해볼 수 있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오픈소스화하여 산업과 민간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
IT기술의 발전과 인프라의 확보에 따라 보편화되는 스마트홈을 활용하는 고령자의 인터랙션을 돕고 생활에 가치를 부여하고자 한 프로젝트
고령자의 인지적, 심리적 기술저항성을 고려한 설득적 인터랙션, 시나리오, Work-fow를 개발하여 고령자의 스마트홈 접근성을 높이고 원활한 사용을 유도
국내외 차량을 대상으로 센터페시아 디자인 HMI의 시선분산시간과 수행시간을 중심으로 비교분석
주행 시뮬레이터와 HMI선행 평가 툴을 이용하여 객관적인 측정 데이터 수집 및 Raw Data 분석
분석 데이터 기반으로 모델 별 비교 평가 및 Insight 도출
Social Innovation refers to new ideas that resolve existing social, cultur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challenges. It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due to its disruptive aspect in society.
카네기 멜론 대학의 Building Virtual World (BVW) 수업을 모티브로 하여 워크샵 프로그램 기획 및 개발
대학생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VR 콘텐츠 개발을 위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워크샵 진행
워크샵을 통해 얻은 교육내용 및 성과물을 대중에게 전시형태로 공개하여 과학문화 확산유도
인지·감성 정보 기반의 제품 디자인 프로세스 개발
지원 시스템 UI 설계
A Sensory Emotion Data System for Designing Information Appliances, LNCS, 2017
참여 학생에 의한 현대 국내외 사회 이슈 발굴 및 해결책 모색
아이디어의 비교, 검토 및 디자인 및 구현으로 현실적인 솔루션을 제안
디자인 아이디에이션/프로세스/프로토타이핑 강의와 사회 혁신 전문가 초청 강연
제너레티브 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데이터시각화, 디지털패브리케이션 전문가 초청 워크샵
ACADIA 2016 컨퍼런스 참석
The impact of 3D CAD interfaces on user ideation: A comparative analysis using SketchUp and Silhouette Modeler, Design Studies 2016
텍스트 기반 유저인터페이스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컴퓨터 애니메이션 디자인 환경을 중심으로 - , 디지털디자인학연구, 2012.04
The Potential of a Text-Based Interface as a Design Medium Interacting with Computers 2014
협업의 관점에서 본 통합디자인 현황과 특성 - 디자인 관련 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2012.08
시각운동을 통해 알아본 건축 요소 주시 패턴에 관한 연구, 디자인융복합연구(구.인포디자인이슈), 2012.12
Using an Eyetracker to Study Three-dimensional Environmetal Aesthetics Journal of Architectural and Planning Research,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