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이 만드는 협치를 위해
서울시에서 제작한 교육영상입니다.
같이 만드는 협치를 위해
서울시에서 제작한 교육영상입니다.
지역사회혁신계획 이해와 적용
김영빈 ㅣ 서울시 협치지원관
협치회의 민간 위원의 역할
최승국 ㅣ 연구소나우앤 대표
지역사회혁신계획 협치의제 사례
이은주 ㅣ 로컬랩+협치연구소
지지1. 협치회의 위상 강화와 확산
서울시 '지역사회혁신계획' 핵심 플랫폼인
'협치회의'의 기능과 역할 강화를 통해
참여시민과 서울시의 도시비전을 탐구하는
학습의 장이 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 나누어 봅니다.
지지2. 문제해결력 강화
서울시 '지역사회혁신계획'
의제 접근 방법에서부터 풀이까지,
문제 해결력에 초점을 맞추어
지역사회 문제의 원인과 진단을 명확히 하고
효과적인 해결수단을 마련하기 위한
방법을 생각해 봅니다.
지지3. 참여에서 권한으로
서울시 '지역사회혁신계획'
공론과 숙의 여정에 '참여'는 어떤 의미인지
'2019년 과정 관리와 평가' 결과를 통해
되짚어보며 시민의 '참여'를 '권한으로' 확대하기 위한
방법을 함께 이야기 나누어 봅니다.
지지4. 동행
서울시 '지역사회혁신계획'
필수요소인 협치회의, 문제해결력
그리고 참여 키워드 아래 협치관계자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경험과 소감을 나누어 봅니다.
※ 위 영상들은 서울시 협치담당관의 동의를 얻고 난 뒤 링크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