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가지 유형별 임대주택 공급…"사각지대 해소·생활지원 연계"
12월 중 결과 발표…주택도시기금 지원, 사업안전성 제고
(세종=뉴스1) 조용훈 기자 = 청년, 고령자, 양육가구 등 다양한 계층을 위한 맞춤형 특화주택이 전국적으로 본격 공급된다.
국토교통부는 9월 29일부터 11월 28일까지 약 두 달간 지방자치단체,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지방공사 등 공공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지역제안형 특화주택 △고령자 복지주택 △청년특화주택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등 4가지 임대주택 유형 공모를 진행한다고 28일 밝혔다.
특화주택 사업은 신청자격과 설계, 입주방법 등에서 지역별·가구별 맞춤 방식을 채택한다.
지역제안형 특화주택은 출산, 귀농·귀촌 장려 등 지역 특성을 반영해 입주 자격과 정책 연계를 강화했다. 고령자 복지주택은 65세 이상 무주택자를 대상으로 경로식당, 건강상담실 등 복지시설을 접목해 주거의 안전과 복지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한다.
청년특화주택은 대학생, 미혼 청년층이 주 대상이며 역세권 입지·공유오피스 등 다양한 특화서비스를 갖췄다.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은 창업가나 중소기업 근로자, 산업단지 종사자에게 업무공간과 창업센터 등 특화시설을 제공한다.
사업은 공모·심사·현장조사·평가위원회의 순서로 진행되며, 지원이 확정된 사업에는 국가가 주택도시기금 출·융자를 비롯해 예산을 지원한다. 2026년 예산안에는 청년특화주택·육아친화 플랫폼 등에 건설비가 신규 편성돼 향후 지원과 공급이 확대될 예정이다. 사업설명회는 전국 권역별로 이미 2차례 개최됐고, 12월 중 공모 결과가 발표된다.
국토부는 특화주택 사업을 통해 다양한 계층이 수요에 맞는 주거복지와 생활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추가 재정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기봉 주거복지정책관은 "지역·수요자의 실정에 맞는 주택이 제공되고 건설비 부담도 줄어드는 만큼,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주택사업자의 적극적 협력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조용훈 기자 (joyonghun@news1.kr)
관련링크 첨부해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