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과제
2023.6 - 2025. 5. 자료의 특성에 따른 다차원척도법 결과의 비교: 유사성과 근접성 자료. 연구책임자.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한국연구재단.
2022.5 - 2023. 4. 매개효과 분석이 부적절한 상황에서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시뮬레이션 및 문헌 연구. 연구책임자. 신진연구자지원사업(인문사회). 한국연구재단.
2019.3 - 2020. 8. 실험데이터 분석을 위한 혼합효과모형 비교 및 평가. 연구책임자. 교내신진교수연구과제. 충북대학교.
책
한유화, 이우열 (2024).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심리통계. 학지사. 링크
고양이 몸무게 자료 파일: catweight.txt
논문, 충북대학교 소속
김용기, 이우열 (2025). 실험자료 분석 시 무선효과 구조 선택을 위한 우도비 검정에서의 영가설 분포의 모양.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44(1), 1-23. 링크, 보충자료
Han, Y. & Lee, W. (2025). How do manipulation checks interfere with the inference of causal relationships? Behavior Research Methods, 57, 33. 링크, 보충자료
문혜주, 신유철, 이성우, 이소정, 오유나, 이우열, 유성은 (2024). 주요어 추출방식을 활용한 텍스트 분석 기반 한국 성인의 스트레스 경험목록과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10(1), 51-77. 링크
이우열 (2023). 실험자료를 위한 선형 혼합효과 모형에서 무선효과 분포를 잘못 지정할 때의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34(5), 811-821. 링크
신유철, 이우열 (2022). 선형 혼합효과 모형에서 실험조건 효과 검정을 위한 절차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41(5), 437-460. 링크
이정윤, 이우열, 송현주, 차민정 (2022). 코로나19 팬데믹에서의 아동 적응: 부모의 정서 및 양육 방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5(3), 43-60. 링크
He, S., & Lee, W. (2022). Generalized linear mixed-effects models for studies using different sets of stimuli across conditions. Frontiers in Psychology, 13, 955722. 링크, 보충자료
한유화, 이우열 (2022). 범죄 및 피해자 특성과 범죄피해 내용의 관계 탐색: 랜덤포레스트 알고리즘에 기초한 변인선택. 한국심리학회지: 법, 13(2), 121-145. 링크
한유화, 이우열 (2021). 연속적 간격법의 소개와 활용법: 행동의 비난가능성 측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40(4), 635-666. 링크
Choi, H., Lee, W., & Hyland, P. (2021). Factor structure and symptom classes of ICD-11 complex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a South Korean general population sample with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Child Abuse & Neglect, 114, 104982. 링크
Choi, H., Lee, W., Heo, S., & Kim, J. (2020). The efficacy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s for complex trauma: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9(2), 164-185. 링크
이우열 (2020). 실험데이터 분석을 위한 선형 혼합효과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2(2), 197-211. 링크, 보충자료
Lee, W., Kim, E. Y., & Song, H. (2020). Do infants expect others to be helpful?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38(3), 478-490. 링크
논문, 기타 소속
Lee, W., & Grimm, K. J. (2018). Generalized linear mixed-effects modeling programs in R for binary outcom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25(5), 824-828. 링크
Cho, S., Brown-Schmidt, S., & Lee, W. (2018). Autoregressive generalized linear mixed effect models with crossed random effects: An application to intensive binary time series eye-tracking data. Psychometrika, 83, 751-771. 링크
Lee, W., Cho, S., & Sterba, S. K. (2018). Ignoring a multilevel structure in mixture item response models: Impact on parameter recovery and model selec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42(2), 136-154. 링크
Sunday, M. A, Lee, W., & Gauthier, I. (2018). Age-related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in tests of face and car recognition ability. Journal of vision, 18(1), 2. 링크
Lee, W., Cho, S. (2017). Detecting differential item discrimination (DID) and the consequences of ignoring DID in multilevel item response models.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54(3), 364-393. 링크
Lee, W., & Cho, S. (2017). The consequences of ignoring item parameter drift in longitudinal item response models. Applied Measurement in Education, 30(2), 129-146. 링크
Cho, S., De Boeck, P., & Lee, W. (2017). Evaluating testing, profile likelihood confidence interval estimation, and model comparisons for item covariate effects in linear logistic test models.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41(5), 353-371. 링크
Cho, S., Suh, Y., & Lee, W. (2016). After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is detected: IRT item calibration and scoring in the presence of DIF.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40(8), 573-591. 링크
Cho, S, Suh, Y., & Lee, W. (2015). An NCME instructional module on latent DIF analysis using mixture item response models. Educational Measurement: Issues and Practice, 35(1), 48–61. 링크
Lee, W., Cho, S., McGugin, R. W., Van Gulick, A. B., & Gauthier, I. (2015).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analysis of the Vanderbilt Expertise Test for cars. Journal of vision, 15(13), 23. 링크
이우열, 김민주, 송현주 (2013). 한국 아동의 문장 구조 정보를 활용한 문장 이해 능력의 발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6(4), 125-139. 링크
이우열, 송현주 (2009). 형태론적 단서가 만 2 세 아동의 새로운 동사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2(4), 111-123. 링크
송현주, 이우열 (2009). 한국어 문장 처리에 있어서담화 정보의 영향. 언어사실과 관점, 24, 141-155.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