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paper is out! -->
VR lab에서는 두 눈의 시각 정보의 처리 과정 연구를 통해 3차원 시지각의 신경기제에 대해 연구한다. 또한 몰입감 있는 가상현실, 증강현실 기술 개발을 위해 가상 환경에서의 3차원 시지각에 대해 연구한다.
Representative papers:
Joo, S. J., Czuba, T. B., Cormack, L. K., & Huk, A. C. (2016). Separate perceptual and neural processing of velocity-and disparity-based 3D motion signals. Journal of Neuroscience, 36, 10791-10802.
Joo, S. J., Katz, N. L., & Huk, A, C. (2016). Decision-related perturbations of decision-irrelevant eye movement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United States of America, 113, 1925-1930.
VR lab에서는 다중 감각 과제, 즉 의미없는 시각 자극인 글자에 음성언어를 연합시키고 의미를 부여하는 읽기(학습)의 신경기제는 무엇이며, 읽기 학습 장애인 난독증의 원인과 치료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Representative papers:
Joo, S. J., Tavabi, K., Caffarra, S., & Yeatmen, J. D. (2021). Automaticity in the reading circuitry. Brain and Language, 214, 104906. link
*Kubota, E. C., *Joo, S. J., Huber, E., & Yeatman, J. D. (2019). Word selectivity in high-level visual cortex and reading skill. Developmental Cognitive Neuroscience, link
Joo, S. J., White, A. L., Strodtman, D. J., & Yeatman, J, D. (2018). Optimizing text for an individual’s visual system: The contribution of visual crowding to reading difficulties. Cortex, 103, 291-301.
VR lab에서는 predictive coding의 틀 안에서 자극들의 시공간적인 패턴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신경기제에 대해 연구한다.
Representative papers:
Joo, S. J., & Murray, S. O. (2014). Contextual effects in human visual cortex depend on surface structure. Journal of Neurophysiology, 111, 1783-1791.
Joo, S. J., Boynton, G. M., & Murray, S. O. (2012). Long-range, pattern-dependent contextual effects in early human visual cortex. Current Biology, 22, 781-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