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소설가 겸 극작가로 19세기 말 사실주의 작가를 대표하며 모파상, 오 헨리와 함께 세계 3대 단편소설작가로 명명된다.
25세에 소설집 〈황혼〉(1885)으로 뿌슈킨 상을 수상했는데, 20대 초창기 7년간에 쓴 작품의 수 만도 400편이 넘는다.
명작단편〈지루한 이야기〉, 희곡〈이바노프> , <숲귀신>등을 써서 많은 인기를 얻었지만 평론가들에겐 깊이가 없다는 비판을 듣기도 했다.
서른(1890)의 나이에 모스크바에서 사할린까지 여행하여 유형지의 실태, 죄수의 생활을 상세히 조사한 보고 기록문 〈사할린 섬〉(1893)을 발표했다.
이 여행은 그의 작품세계에 한층 깊이를 더해, 〈구우세프>, 〈결투>,〈아내〉,〈6호실〉,<검은 옷의 수도사>, 〈무명씨의 이야기> 등의 걸작 소설이 나왔다.
뻬쩨르부르그에 있는 유명 극장의 의뢰를 받아 쓴 희곡 〈챠이카(갈매기)〉(1896)의 상연 실패는 그를 잠시 극작에 대한 좌절과 회의를 주었으나, 2년 후, 모스크바 예술극단의 스따니슬랍스끼에 의해 재해석된 〈챠이카〉재공연은 대성공을 거두었다.
이후 그는 힘을 얻어 예전에 발표된 <숲귀신>(1890)을 극단을 위해 대대적으로 개작하여 높은 완성도를 보여 준 〈바냐 삼촌〉(1897), 그리고 대작 〈세자매〉(1901)를 썼고, 만년의 병환 속에서 리얼리즘 희곡의 정점을 찍었다고 하는〈벚꽃 동산〉(1903)을 써 이듬해 상연, 대성공을 거두었지만, 그 해 요양지인 독일의 바덴바일러에서 고질병인 폐결핵으로 작고했다.
톨스토이는 그의 죽음에 매우 슬퍼했다고 한다.
이 위트 넘치는 사실주의 작가는 적어도 연극계에서는 셰익스피어와 견주는 양대 산맥이며 배우들에겐 꼭 넘어야 할 산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