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you are interested in joining our lab, please email the PI (taesik.gong@unist.ac.kr) first with your transcript and CV.
연구실 지원(석/박/통합/인턴)에 관심이 있으시면, taesik.gong@unist.ac.kr 로 최신 성적표와 CV를 첨부하여 먼저 연락 주세요.
그 외에 고민거리가 있으시면 상담 언제든 환영합니다.
저희 연구실에 조인하기 위해 특정 skill-set이 필요하진 않습니다. 필요한 공부를 하게 될 것이고, 도움을 드릴 예정입니다. 그보다는 진학을 하기 전 마음가짐 준비 및 동기부여가 되어있었으면 합니다. 단순히 학위를 하는 것을 넘어 이 분야 최고의 전문가가 되어 과학기술로 세상을 바꿔보겠다는 포부를 가진 학생이길 바라고, 그렇게 되실 수 있도록 저 또한 최선을 다할 예정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진학하기 위해 어떤 것을 공부하면 좋을지 물어보신다면, 인공지능 및 딥러닝관련 과목 수강, 다양한 디바이스에서의 프로그래밍 경험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Rasberry Pi, Arduino, NVIDIA Jetson, 등등) 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가능하다면 직접 인턴십을 통해 연구실 문화를 경험해보시길 강력히 권해드립니다.
제 경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학생들이 대학원 생활과 잘 맞는 것 같습니다: (1) 안풀리는 문제를 밤낮으로 고민해보고, 끝내 해결 해 본 경험이 있는 학생, (2) 기록 하는 것을 즐기는 학생, (3) 특정 지식에 대해 전문가가 되고 싶은 학생, (4) 새로운 기술과 과학 등을 공부하며 희열을 느껴본 학생, (5)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노력하는 학생, (6) 주어진 것을 하는 것 보다 주도적으로 하는 것을 좋아하는 학생
물론 제가 생각하는 저와 학생 분들이 생각하는 저는 다를 겁니다 (그래서 인턴십을 통해 직접 경험해보시거나, 연구실 멤버분들과 얘기를 나눠보는 것도 추천 드립니다!). 따라서, 제 다짐과 철학을 말씀드리는 편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학생의 잠재력을 최대한 이끌어 내고, 스스로도 몰랐던 가능성을 현실로 만드는 일이 저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제 지도 방식은 학생의 성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학생이 연구라는 길을 통해 무엇을 이루고 싶은지를 함께 고민하고, 그 여정에 필요한 조언과 경험을 아낌없이 나누려 합니다. 저는 단순히 논문을 지도하거나 결과를 요구하는 매니저가 아니라, 삶에 대한 고민도 함께 나눌 수 있는 선배 연구자가 되고자 합니다. 그리고 졸업 이후에도 서로를 응원하고 협력하는 평생의 멘토이자 동료 연구자로 남길 바랍니다.
저희 연구실에서 (박사)학위를 마쳤다면 해당 분야의 rising star가 되길 바라고, 그렇게 되기 위해 저도 모든 지원을 하려고 합니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대를 할 수 있습니다.
최우수 학회 논문: 저희 연구실은 양보다 질을 추구합니다. 저희 연구실 학생이라면, 소위 말하는 "탑티어" 학술대회에 논문을 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최상위 학회에 논문을 내는 것은 쉽지 않고, 처음에는 지도교수의 도움을 많이 필요로 할 것 입니다. 하지만 졸업할 때 즈음엔 탑티어 논문 여러 편과, 독립된 연구자로서 스스로 탑티어 논문을 쓸 수 있는 역량을 갖출 수 있을 것입니다.
해외 기업 및 대학 연구경험: 해외 연구 경험을 하고 연구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시야를 넓히는 것은 꼭 필요한 경험입니다. 저도 박사과정 중 세 번의 기업 연구 인턴십 (Google Research, Microsoft Research, Bell Labs)을 다녀왔고 그 경험이 큰 자산이 되었습니다. 학생들에게 이런 활동을 권장하고, 기회를 적극 제공할 예정입니다.
영어 발표 및 디스커션 능력: 국제적인 연구자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영어로 소통하는 능력이 필수입니다. 저희 연구실에서는 매주 영어로 논문 발표와 디스커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누구나 긴장하고 서툴 수 있지만, 현재 연구실에 계신 분들도 차근차근 실력을 쌓아 지금은 모두 능숙하게 발표와 토론을 하고 계십니다. 연구실에 계시다 보면 영어에 대한 두려움 없이 자신 있게 소통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좋은 연구 환경 유지: 학생들이 연구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도록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는 데 힘쓰고 있습니다. 비록 신생 연구실이지만, 이미 여러 건의 펀딩을 성공적으로 수주하여 안정적인 재정을 확보했고, AI연구를 위한 고사양의 GPU를 수십 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연구실 행정을 전담하는 선생님이 계셔서 연구 외적인 업무 부담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입생 선발을 포함해 연구 환경과 운영 방식 전반에 대해 학생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습니다.
멘토링: 대학원 생활을 하다 보면 연구 외에도 수많은 어려움과 고민거리가 생기게 됩니다. 비슷한 환경에서 대학원 생활을 한 선배로서, 그런 고민들에 귀를 기울이고 같이 방안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다양한 협업 네트워크: 협업을 통해 수준 높은 연구를 지향합니다. 저희 연구실에서 연구하게 되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협업을 하게 될 것입니다. 협업에 대해 늘 열려 있고, 권장하고 있습니다.
수평적인 관계: 저희 연구실은 수평적인 관계를 지향합니다. 수직적인 조직 문화를 선호하는 학생에게는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우선 UNIST 국비 장학생의 경우 등록금이 전액 면제되고, UNIST의 학연장려금(Stipend) 정책에 따라 석사과정은 월 최소 80만 원, 박사과정은 월 최소 110만 원 이상의 장학금을 받게 됩니다. 다만 이는 최소 지급 기준일 뿐이며, 실제 장학금은 연구실의 펀딩 수주 상황에 따라 추가적인 장학금이 있습니다. 현재는 주거비, 식비, 생활비 등 연구에 집중하는 데에 금전적으로 부족함이 없도록 여유있는 환경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자유로운 환경에서 아이디어가 나온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따로 정해진 출/퇴근 시간은 없습니다.
UNIST 대학원 입시는 (1) 전기 1차(7월 지원, 다음 해 3월 입학), (2) 전기 2차(10월 지원, 다음 해 3월 입학), (3) 후기 (4월 지원, 같은 해 9월 입학)로 진행됩니다. 대학원 지원 전에 인턴십을 경험할 수 있는 기간을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합니다. 입시 일정을 고려하여 미리 연락을 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물론 가능합니다! 연구에 대한 관심과 열정이 있다면 어디서 오시든 환영합니다. 인턴 기간 동안 기숙사 입사도 가능합니다.
저희 연구실의 문화와 연구 환경을 제대로 경험하시려면, 직접 방문하여 인턴십을 진행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현장 인턴십을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There is no specific skill set required to join our lab. You will learn what is necessary, and we will support you along the way. More importantly, we hope you are mentally prepared and self-motivated before joining. We are looking for students who are not just aiming to earn a degree but who aspire to become top experts in the field and change the world through science and technology. I will do my best to help you achieve that.
Nevertheless, if you are curious about what you can study to prepare, I would recommend taking AI/ML courses and gaining programming experience on various edge devices (smartphones, smartwatches, Raspberry Pi, Arduino, NVIDIA Jetson, etc.). Additionally, I recommend participating in our lab’s internship program.
In my experience, the following types of students tend to thrive in graduate school: (1) Students who have spent day and night wrestling with unsolved problems and have successfully resolved them. (2) Students who enjoy documenting their work. (3) Students who want to become experts in a specific area of knowledge. (4) Students who have felt exhilarated by studying new technologies and sciences. (5) Students who strive to improve in areas where they may be lacking. (6) Students who prefer taking the initiative over just doing what is assigned.
How I see myself and how students perceive me may be different. This is why I recommend interning at our lab or at least having a chat with lab members. Rather than describing myself, I believe it is more meaningful to share my advising philosophy. I see my primary role as helping students realize their full potential and turn their hidden capabilities into reality. For that reason, my advising focuses on growth. I work together with each student to reflect on what they hope to achieve through research, and I am committed to sharing all the guidance and experience I can to support that journey. I do not consider myself a manager who simply reviews papers or asks for results. I hope to be a senior researcher whom students can talk to, even about personal challenges beyond research. Above all, I hope to remain a lifelong mentor and research colleague who continues to support and collaborate with students after graduation.
If you complete your (Ph.D.) degree in our lab, I hope you will become a rising star in the field, and I will provide all the support necessary to make that happen. Specifically, you can expect the following:
Top-tier conference papers: Our lab prioritizes quality over quantity. If you are a Ph.D. student in our lab, the goal will be to publish multiple papers in top-tier conferences. Publishing in such prestigious conferences is not easy and will require substantial guidance from the advisor at first. However, by the time you graduate, you will have the capability to independently write top-tier papers as a researcher.
Overseas industrial internship/university research experience: Gaining international research experience and interacting with researchers from around the world is essential. During my Ph.D., I did my research internships at world-class research groups (Google, Microsoft, and Bell Labs), and those experiences were invaluable. I encourage students to pursue similar opportunities and will actively provide such opportunities.
English Presentation and Discussion Skills: Effective communication in English is essential for growing as an international researcher. In our lab, we have weekly paper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in English. While it is natural to feel nervous or unconfident at first, our current lab members have gradually built their skills and are now able to present and engage in discussions in English. Over time, you will also become comfortable and confident in communicating in English.
Maintaining a good research environment: We strive to provide the best possible environment for students to fully focus on their research. Although our lab is relatively new, we have already secured stable funding via multiple research grants and possess dozens of high-performance GPUs dedicated to AI research. We also have an administrative staff member who handles lab operations 새 minimize non-research workloads for students. In addition, we actively incorporate students’ feedback, covering everything from new student recruitment to overall research environment and lab management.
Mentoring: Graduate school life includes many challenges and concerns beyond research. As someone who has experienced similar challenges, I am here to listen and work together to find solutions.
Diverse collaboration networks: We aim for high-quality research through collaboration. If you conduct research in our lab, you will have opportunities to collaborate with experts in various fields. We are always open to and encourage collaboration.
Horizontal relationships: Our lab values horizontal relationships. Our lab may not be the right place for students who prefer hierarchical relationships.
For UNIST government-funded students, full tuition is waived. In addition, under UNIST’s stipend policy, master’s students receive at least 800,000 KRW per month, and Ph.D. students receive at least 1,100,000 KRW per month. These are only minimum guaranteed amounts, and actual stipends may vary depending on the lab’s research funding. We provide a financially comfortable environment where students can focus on their research without worrying about housing, meals, or living expenses.
We don't have fixed working hours. We believe that ideas emerge best in a free environment.
The UNIST graduate admissions process is divided into three rounds: (1) Spring 1st round (application in July, admission in March of the following year), (2) Spring 2nd round (application in October, admission in March of the following year), and (3) Fall round (application in April, admission in September of the same year). It is highly desirable to have an internship before applying to graduate school. It would be best to reach out in advance, considering the admissions schedule.
Absolutely! If you are passionate about research, you are welcome to apply regardless of your current affiliation. A dormitory is available for interns during their stay.
To fully experience our lab’s culture and research environment, we recommend participating in an on-site internship. Unless there are special circumstances, we generally operate under an in-person internship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