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Apr 26] KAIST의 인공지능 인문학

 

[Feb 28] Daring Big Science, Mortgaging Certain Futures: North Korea’s
Global Pursuit of Industrial Technology in the 1960s

 

[Jan 30] 역사학과 정보학의 만남

 

[Jan 15] Sŏlsanggasang (雪上加霜): How Digital Historians Access Declassified Soviet Materials on North Korean Histor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23

 

[Dec 18, Discussed] 조선 마르크스주의자들의 역사를 복원하기

 

[Dec 15] Mapping the Party-Way Interaction

 

[Dec 1] 역사학의 새로운 표현을 생각하며

 

[Nov 11]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를 마주하는 서구 역사학계의 대응

 

[Nov 9] 소통의 도구로서 디지털 역사학과 인공지능, 그리고 그 비용

 

[Nov 3] Digital History as Innovative Attitude

 

[Oct 28] 디지털 시대의 역사학: 혁신과 반복의 교차로에서

 

[Oct 14, Discussed] 한반도 제1차 핵위기

 

[Sep 19] 냉전기 대한민국과 핵폐기물

 

[Sep, 15 discussed] Questioning the Nuclear Dream

 

[Jul 17, Hosted] Soviet, Ukraine, and the Journey of Life

 

[Jul 1, Chaired] Politics, Cold War and environment in East Asia

 

[Jun 1] 북한 핵개발 프로그램의 평화적 기원

[May 17] Balancing Expertise Development and State Expenditure in Postwar North Korea

This presentation argues that Pyongyang's desire to balance expertise development and expenditure reduction enables us to efficiently challenge the prevailing narratives of North Korean history studies that view 1956 as the most important moment for Kim Il-sung's nationalistic Juche politics. 

[May 2] 디지털 냉전사 연구의 가능성과 전망

본 발표는 연사가 현재 진행하고 있는 연구가 무엇인지 개괄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연사는 디지털 역사학이라는 융합적인 학술적 접근을 활용, 1945년부터 1991년까지의 지구사(global history)를 일컫는 ‘냉전’의 역사를 과학기술을 매개로 살피는 초학제적(transdisciplinary)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연구의 주된 목표는 크게 두 가지이다. 먼 저 비밀 해제된 유관 데이터를 수집·가공하고 이에 디지털 분석 기술을 접목시켜 냉전 과학기술사를 독창적으로 재해석할 수 있는 역사 서사를 창출하는 것이다. 나아가 여러 아울렛을 통해 이러한 서사를 적극 발간·공유하여 ‘기정학(技政學)’으로 대변되는 ‘신(新)냉전’ 시대인 오늘날의 세계질서를 창의적이면서도 유연하게 바라볼 수 있는 역사적 관점과 시각을 제공하는 것이다.

 

[Apr 13] Tours for More Bread: North Korean Agricultural Specialists in the Soviet Breadbasket, 1953-1955

2020-2022

피폭된 복지: <플루토피아>를 읽는 몇 가지 방법

소비에트 블루프린트와 사회주의 녹색혁명: 소련을 중심으로 한 사회주의권 농업사 연구 현황과 초기 북한 농업사 재고

탄소종속: 국내산 고열연료 부족과 북한의 발전 전략, 1945-1973

북한 과학기술 발전의 역사적 이면(裏面)

외부의 관찰을 거부하고 내부적으로도 극도의 언론 통제와 검열이 이뤄지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을 역사적으로 이해하는 작업은 가능할까? 그러한 작업의 의미는 무엇이고, 오늘날 북한을 이해하는 데 어떠한 유용함을 가지고 있을까? 본 발표는 1) 초기 북한의 과학기술사(史)를 새롭게 살펴보고, 2) 초기 북한사를 탐구하는 데 필요한 자료와 이용법을 개괄하는 방식으로 앞선 질문들에 대한 나름의 답변을 제공할 것이다.

불균등한 협력을 레버리지하기: 사회주의 원조와 북한의 부상, 1945~1965

Red Atom for Economy and its Cost: North Korea’s Reluctant Embracing Nuclear Power, 1945-1965

Inefficient Efficiency: Technological Practice in North Korea’s Pursuit of Practical Technology during Postwar Agricultural Collectivization, 1953-1958

Back in the 2010s ...

'북핵(北核)'의 몇 가지 기원

Fighting Back Against the Imperialist Bomb: North Korean Military Perception and Practice under Atomic Conditions in the mid-1950s

Beyond Old Narratives: New Sources from Russia and Inspiration from Soviet Studies

People's Anti-Atomic Defense: North Korean Military Perception and Practice Under Atomic Conditions in the mid-1950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