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Field (연구분야)
Fire Experiment and Simulation (화재 실험 및 시뮬레이션)
Fire Protection Using Water Mist (미분무를 이용한 화재 방호)
Compartment Fire Phenomena (구획실 화재 현상)
Smoke Behavior and Control (연기 거동 및 제어)
Water-based and Non-water-based Fire Protection Systems (수계 및 비수계 소화설비)
Fire Protection and Safety in Nuclear Power Plants (원자력발전소 화재 방호 및 안전)
Performance-Based Design (PBD, 성능위주설계)
Phase Change Heat Transfer (상변화열전달)
Two-phase Flow (2상유동)
On-going Research Project (진행중인 연구 과제)
[한국연구재단] 위험물 저장·처리시설의 위험도기반 내화구조 및 방화구획 기준 개발: 리튬기반 배터리 제조(소) 및 저장·취급 시설 안전을 위한 기술개발 (한국연구재단/국토부&소방청, 2025.06.01.-2029.01.31.)
[국립소방연구원] 공장건축물 화재 확산 대응을 위한 최적 수막설비 노즐 개발 연구 (국립소방연구원, 2025.07.08.-2025.12.04.)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전 고에너지아크손상 후속화재 영향범위(ZOI) 분석 연구 (한국원자력연구원, 2025.07.16.-2025.10.13.)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전 수직 및 수평 케이블 트레이 화재 분석 (한국원자력연구원)
[국립부경대학교] 산불 발생 시 원자력발전소 안전성 향상을 위한 수막 설비 적용 방안 연구: 국립부경대학교 실전문제연구단 (https://x-corps.pknu.ac.kr:60448/index.php,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단, 2025.07.-2025.11.)
[국립부경대학교] 미세물분무를 이용한 리튬이온배터리 화재 제어에 관한 연구: 2025년 기업연계 여대생 팀프로젝트 지원사업 (이공계 여성인재 양성사업단, 2025.05.01.-2025.09.30.)
[국립부경대학교] 2025년도 글로벌 공동연구 지원사업 (국립부경대학교, 2025.07.01.-2026.06.30.)
[국립부경대학교] 수평으로 긴 공간 내 화재 현상에 관한 연구 (Study of Fire Phenomena in a Horizontally Long Space): 자율창의학술연구 (국립부경대학교, 2025.03.01.-2027.02.28.)
[한국연구재단] 초고층 해양도시 건축 및 소방재난안전기술 교육연구단 (Education and Research Institute of Architectural and Fire Safety Technology for Maritime High-Rise Buildings, https://cms.pknu.ac.kr/highrise/main.do): 미래인재 양성사업 (과학기술 분야) 교육연구단 사업 (4단계 두뇌한국21 사업, 한국연구재단, 2020.09.01.-2027.08.31.)
Completed Research Project (완료된 연구 과제)
원전 고에너지아크손상 취약도 기본 연구 (한국원자력연구원, 2025.03.05.-2025.07.02.)
Evaluation of Thermal Radiation Blocking Effect of Water Mist Curtain in Fire of Hazardous Material Storage Tank (위험물 저장탱크 화재 시 미분무 수막의 복사열 차단 효과 평가): 자율창의학술연구 (부경대학교, 2023.03.01.-2025.02.28.)
Publication (*: Corresponding author)
[Domestic Journal, 국내학술지논문: 1]
강준석, 이치영*, 위험물 저장탱크 화재 시 미분무 수막 설비의 복사열 감쇠 효과 평가,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 38, No. 2, pp. 36-45 (ISSN: 2765-088X (Online), 2765-060X (Print), 4월, C: 100%). https://doi.org/10.7731/KIFSE.3cc5aff6
인공지능 기반 실시간 화재 예측 모델 개발: 국립부경대학교 실전문제연구단 (https://x-corps.pknu.ac.kr:60448/index.php, 현장연계 미래선도인재양성 지원사업, 한국연구재단/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4.03.20.-2024.11.30.)
Publication (*: Corresponding author)
[International Conference (국제학술대회발표논문): 1]
Yun Young Kim, Chi Young Lee*, 2024, Experiments of Temperature and Buoyant Plume Rise Time in Stairwell During Fire in Atria, 13th Asia-Oceania Symposium on Fire Science and Technology 2024 (AOSFST 2024), Hotel Susung, Daegu, Republic of Korea, October 21-25 (Presentation: 23), Paper No: PJ-2 (Poster presentation, C: 50%, Best Poster Presentation Award).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3]
김윤영, 이치영*, 2024, 개구부 위치가 계단실 내 화재 현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가을학술대회, 소노캄 제주 (제주), 10월 30일-11월 1일 (발표: 1일), pp. 253-254 (구두 발표, C: 50%).
김윤영, 이치영*, 2024, 계단실 내 화재 현상에 대한 전산해석, 한국화재소방학회 추계학술대회, 호텔 수성 (대구), 10월 25일-26일 (발표: 25일), p. 7 (Paper No. A-05, 구두 발표, C: 50%).
조수호, 심윤채, 장서연, 김윤영, 이치영*, 2024, 인공지능 기반 실시간 화재 예측 모델 개발, 공학교육학술대회, 라마다프라자 제주호텔 (제주), 9월 26일-27일 (발표: 27일), p. 55 (Paper No. 13-32, 포스터 발표, C: 100%).
Investigation on Optimization of Water Mist Atomizer for Thermal Radiation Attenuation to Maximize Fire Protection Performance in Hazardous Material Facilities (위험물 시설의 화재 방호 성능 극대화를 위한 복사열 감쇠 미세물분무 미립화기의 최적화에 대한 연구): 기본연구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한국연구재단/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1.06.01.–2024.02.29.)
Publication (*: Corresponding author)
[International Journal (SCIE), 국제학술지논문: 2]
Jae Geun Jo, Chi Young Lee*, 2023, Thermal Radiation Attenuation Performance of Fine Water Spray Using Twin-fluid Nozzles with Multiple Holes,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37, No. 10, pp. 5431–5440 (ISSN: 1738-494X (Print), 1976-3824 (Electronic), October, C: 70%). http://doi.org/10.1007/s12206-023-0942-3
Jae Geun Jo, Chi Young Lee*, 2023, Experimental Evaluation of Individual Effects of Water Mist Spray Characteristics on Thermal Radiation Attenuation Using Twin-fluid Nozzles with Full-cone Spray Pattern, Process Safety Progress, Vol. 42, No. 1, pp. 141-154 (ISSN: 1547-5913 (Online), 1066-8527 (Print), March, C: 100%). https://doi.org/10.1002/prs.12421
[Domestic Journal, 국내학술지논문: 5]
고동혁, 강준석, 이치영*, 2025, 미분무의 열복사 감쇠에 액적 분사 속도 및 열원 조건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산해석,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 39, No. 2, pp. 28-34 (ISSN: 2765-088X (Online), 2765-060X (Print), 4월, C: 100%). https://doi.org/10.7731/KIFSE.a12d4398
박지호, 강준석, 이치영*, 2022, 열복사 감쇠 성능에 대한 미분무 노즐 설치 조건의 영향 검토,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 36, No. 5, pp. 1-10 (ISSN: 2765-088X (Online), 2765-060X (Print), 10월). https://doi.org/10.7731/KIFSE.69b47041
강준석, 이치영*, 2022, 축방향 위치에 따른 미분무 특성이 열복사 감쇠 성능에 미치는 영향 검토,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 36, No. 3, pp. 11-18 (ISSN: 2765-088X (Online), 2765-060X (Print), 6월). https://doi.org/10.7731/KIFSE.32592e18
조재근, 이치영*, 2021, 2유체미립화기의 미분무를 이용한 복사열 감쇠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 35, No. 4, pp. 24-32 (ISSN: 2765-088X (Online), 2765-060X (Print), 8월).
양지현, 박민영, 이치영*, 2021, 화재 조건의 액체풀 표면 위 액적 충돌 현상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 35, No. 4, pp. 33-41 (ISSN: 2765-088X (Online), 2765-060X (Print), 8월).
[International Conference, 국제학술대회발표논문: 1]
Jun Seok Kang, Chi Young Lee*, 2023, Parametric Study on Thermal Radiation Shielding of Fine Water Spray, Asia Pacific Symposium on Safety (APSS 2023), Bangkok International Trade & Exhibition Centre (BITEC), Bangkok, Thailand, October 17-20 (Presentation: 19), Paper ID: EF_044 (Oral presentation, C: 70%).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7]
강준석, 이치영*, 2024, 지도학습 모델을 이용한 미분무의 열복사 차단 성능 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 추계학술대회, 부산 BEXCO (부산), 10월 30일-11월 1일 (발표: 30일), p. 7 (Paper No. OA-05, 구두 발표, C: 100%).
강준석, 이치영*, 2024, 열원에 의한 미분무 특성 변화와 미분무 복사열 차단 효과 검토,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대회, 소노캄 제주 (제주), 4월 25일-27일 (발표: 25일), p. 3 (Paper No. A-01, 구두 발표, C: 70%).
강준석, 이치영*, 2023, 석유화학 플랜트 저장탱크에서의 화재 확산 억제를 위한 미분무 설비 검토, 한국안전학회 추계학술대회, 부산 BEXCO (부산), 11월 22일-24일 (발표: 22일), p. 15 (Paper No. OC-02, 구두 발표, C: 100%, 학술대회 우수논문상).
강준석, 이치영*, 2023, 와류분사노즐 미세물분무의 복사열 차단 성능에 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추계학술대회, 쏠비치 삼척 (삼척), 10월 25일-27일 (발표: 27일), p. 90 (Paper No. C-20, 구두 발표, C: 70%).
강준석, 이치영*, 2022, 위험물 시설 화재 방호를 위한 단일유체노즐 미세물분무의 열복사 감쇠 성능 측정, 제10회 한국위험물학회 학술대회, 부산 (벡스코), 8월 18일-19일 (발표: 18일), p. 24 (Paper No. A306, 구두 발표).
강준석, 이치영*, 2022, 미세물분무 축방향 위치 변화에 따른 복사열 감쇠 성능 검토, 한국안전학회 춘계학술대회, 제주 (메종글래드호텔 제주), 5월 11일-13일 (발표: 12일), p. 7 (Paper No. PA-05, 포스터 발표, 학술대회 우수논문상).
조재근, 이치영*, 2021, 2유체노즐의 미분무 액적 크기 예측을 위한 기존 상관식 검토, 한국안전학회 추계학술대회, 제주 (메종글래드호텔 제주), 12월 1일-3일 (발표: 2일), p. 95 (Paper No. OA-10).
Development of an Evacuation Model for Fire Safety Managers (소방안전관리자용 피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화재피난 대피력 향상기술 (국민소방협력 초기대응 현장지원 기술개발,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소방청&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1.04.01.-2023.12.31.)
Publication (*: Corresponding author)
[International Journal (SCIE), 국제학술지논문: 4]
Yu Mi Park, Chi Young Lee*, 2024,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Effects of Heat Release Rate and Horizontal Vent Area on Enclosure Fire Phenomena with Upper Horizontal and Lower Vertical Vents,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38, No. 10, pp. 5759-5768 (ISSN: 1738-494X (Print), 1976-3824 (Electronic), October, C: 70%). http://doi.org/10.1007/s12206-024-0946-7
Min Yeong Park, Chi Young Lee*, 2024,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Effect of Fire Source Location on Compartment Fire Phenomena with a Single Natural Ceiling Vent,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Vol. 19, No. 9, pp. 1340-1348 (ISSN: 1744-5302 (Print), 1754-212X (Online), September, C: 30%). https://doi.org/10.1080/17445302.2023.2244189
Yun Young Kim, Chi Young Lee*, 2024, Numerical Investigation on Upper Layer Thickness and Temperature Rise in a Fire in Two Rooms Connected through a Side Vent, Case Studies in Thermal Engineering, Vol. 58, 104370 (20 pages, ISSN: 2214-157X (Online), June, C: 70%). https://doi.org/10.1016/j.csite.2024.104370
Jae Geun Jo, Chi Young Lee*, 2023, Thermal Radiation Attenuation Performance of Fine Water Spray Using Twin-fluid Nozzles with Multiple Holes,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37, No. 10, pp. 5431–5440 (ISSN: 1738-494X (Print), 1976-3824 (Electronic), October, C: 30%). http://doi.org/10.1007/s12206-023-0942-3
[Domestic Journal, 국내학술지논문: 6]
김윤영, 이치영*, 2025, 2개의 연결된 구획실 내 화재 시 개구부 높이가 연기층 온도 상승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산시뮬레이션,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 39, No. 2, pp. 7-17 (ISSN: 2765-088X (Online), 2765-060X (Print), 4월, C: 100%). https://doi.org/10.7731/KIFSE.5e177c6a
김윤영, 이치영*, 2024, 천장 개구부가 있는 구획실 화재 현상에 구획실 높이와 화원 및 개구부 위치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산시뮬레이션,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 38, No. 5, pp. 1-7 (ISSN: 2765-088X (Online), 2765-060X (Print), 10월, C: 50%). https://doi.org/10.7731/KIFSE.bcec8f26
심윤채, 김윤영, 박유미, 이치영*, 2023, 축소 모형 실험을 통한 복도 내 화재 시 고온 가스층 최대 온도 검토,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 37, No. 6, pp. 23-30 (ISSN: 2765-088X (Online), 2765-060X (Print), 12월, C: 100%). https://doi.org/10.7731/KIFSE.08bd58fc
김윤영, 이치영*, 2023, 화원이 존재하는 구획실의 높이가 수평 개구부 유동과 온도 분포에 미치는 영향,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 37, No. 6, pp. 31-39 (ISSN: 2765-088X (Online), 2765-060X (Print), 12월, C: 50%). https://doi.org/10.7731/KIFSE.04559ef3
김윤영, 이치영*, 2023, 수직 개구부로 연결된 2개의 구획실에서 화원 조건이 개구부 유동 속도 및 고온 가스층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 37, No. 4, pp. 1-10 (ISSN: 2765-088X (Online), 2765-060X (Print), 8월, C: 100%). https://doi.org/10.7731/KIFSE.a34b1647
박유미, 이치영*, 최준호, 2022, 측면 및 천장 개구부가 설치된 구획실 내 화재 현상에 천장 개구부 위치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토,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 36, No. 3, pp. 1-10 (ISSN: 2765-088X (Online), 2765-060X (Print), 6월, C: 50%). https://doi.org/10.7731/KIFSE.7d71242e
[Other Journal, 기타학술지논문: 5]
Yun Young Kim, Chi Young Lee*, 2024, Numerical Simulation on Fire Phenomena During Simultaneous Fires in Two Rooms Connected by Side Ope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8, No. 3, pp. 8-15 (eISSN: 2950-8991, September, C: 70%). https://doi.org/10.7731/KIFSE.14741e25
Min Yeong Park, Yun Young Kim, Chi Young Lee*, 2023, Comparative Study of Numerical Simulation and Experiment on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Central Vent Flow Velocity in Ceiling-vented Compartment Fire, International Journal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7, No. 3, pp. 10-19 (eISSN: 2950-8991, September, C: 50%). https://doi.org/10.7731/KIFSE.9a45db07
Yu Mi Park, Chi Young Lee*, 2023, Effect of Vent Area Ratio on Vent Flow Characteristics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in Fire of Compartment with Two Ceiling V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7, No. 1, pp. 9-21 (eISSN: 2950-8991, March, C: 50%). https://doi.org/10.7731/KIFSE.72cdba0d
Yu Mi Park, Chi Young Lee*, 2022, Effects of Duct Height and Fire Location on Fire Phenomena of Enclosure with Two Horizontal Vents Installed at Ceiling, International Journal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6, No. 4, pp. 56-69 (eISSN: 2950-8991, December, C: 50%). https://doi.org/10.7731/KIFSE.1b44ea08
Min Yeong Park, Yun Young Kim, Chi Young Lee*, 2022, Examination of the Scaling Law of Fire Phenomena in Compartment with Horizontal Natural Opening using Numerical Sim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6, No. 2, pp. 1-12 (eISSN: 2950-8991, June, C: 50%). https://doi.org/10.7731/KIFSE.203e195d
[International Conference, 국제학술대회발표논문: 3]
Yun Young Kim, Chi Young Lee*, 2024, Experiments of Temperature and Buoyant Plume Rise Time in Stairwell During Fire in Atria, 13th Asia-Oceania Symposium on Fire Science and Technology 2024 (AOSFST 2024), Hotel Susung, Daegu, Republic of Korea, October 21-25 (Presentation: 23), Paper No: PJ-2 (Poster presentation, C: 50%, Best Poster Presentation Award).
Jun Seok Kang, Chi Young Lee*, 2023, Parametric Study on Thermal Radiation Shielding of Fine Water Spray, Asia Pacific Symposium on Safety (APSS 2023), Bangkok International Trade & Exhibition Centre (BITEC), Bangkok, Thailand, October 17-20 (Presentation: 19), Paper ID: EF_044 (Oral presentation, C: 30%).
Yun Young Kim, Chi Young Lee*, 2023, Effect of Fire Position on Fire Phenomena in Two Rooms Connected through Vertical Opening, 14th Asia-Pacific Conference on Combustion (ASPACC 2023), Kaohsiung Exhibition Center, Kaohsiung, Taiwan, May 14-18 (Presentation: 17), Paper ID: 221 (Oral presentation, C: 100%).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18]
김윤영, 이치영*, 2024, 개구부 위치가 계단실 내 화재 현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가을학술대회, 소노캄 제주 (제주), 10월 30일-11월 1일 (발표: 1일), pp. 253-254 (구두 발표, C: 50%).
김윤영, 이치영*, 2024, 계단실 내 화재 현상에 대한 전산해석, 한국화재소방학회 추계학술대회, 호텔 수성 (대구), 10월 25일-26일 (발표: 25일), p. 7 (Paper No. A-05, 구두 발표, C: 50%).
김윤영, 이치영*, 2024, 구획실 높이와 개구부 및 화원의 위치가 구획실 내 화재 현상에 미치는 영향, BLUE Scholar Conference, 국립부경대학교 동원장보고관 (부산), 5월 7일-8일 (발표: 7일) (포스터 발표, C: 50%, 우수 연구 포스터상).
김윤영, 이치영*, 2024, 높이가 높은 공간 내 화재 현상에 대한 전산해석,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대회, 소노캄 제주 (제주), 4월 25일-27일 (발표: 26일), p. 43 (Paper No. B-19, 구두 발표, C: 50%).
강준석, 이치영*, 2024, 열원에 의한 미분무 특성 변화와 미분무 복사열 차단 효과 검토,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대회, 소노캄 제주 (제주), 4월 25일-27일 (발표: 25일), p. 3 (Paper No. A-01, 구두 발표, C: 30%).
심윤채, 김윤영, 박유미, 이치영*, 2023, 긴 공간 내 화재 시 연기층 특성에 대한 전산해석 연구, 한국안전학회 추계학술대회, 부산 BEXCO (부산), 11월 22일-24일 (발표: 23일), p. 105 (Paper No. PA-01, 포스터 발표, C: 100%).
김윤영, 이치영*, 2023, 수평 개구부가 설치된 구획실의 높이가 화재 현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화재소방학회 추계학술대회, 쏠비치 삼척 (삼척), 10월 25일-27일 (발표: 26일), p. 39 (Paper No. B-01, 구두 발표, C: 100%).
강준석, 이치영*, 2023, 와류분사노즐 미세물분무의 복사열 차단 성능에 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추계학술대회, 쏠비치 삼척 (삼척), 10월 25일-27일 (발표: 27일), p. 90 (Paper No. C-20, 구두 발표, C: 30%).
김윤영, 이치영*, 2023, 다중구획실 화재 현상에 대한 축소 모형 실험 및 전산해석 연구, 한국안전학회 춘계학술대회, 메종글래드호텔 제주 (제주), 5월 10일-12일 (발표: 10일), p. 5 (Paper No. OA-04, 구두발표, C: 100%).
김윤영, 이치영*, 2023, 다중구획실의 화재 현상 예측을 위한 상관식 검토,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대회, 용평리조트 타워콘도 (용평), 4월 20일-21일 (발표: 20일), p. 26 (Paper No. B-06, 구두발표, C: 100%, 우수논문 발표상).
박유미, 이치영*, 2022, 2개의 수평 개구부가 존재하는 구획실의 화재 시 개구부 유동에 대한 검토, 한국화재소방학회 추계학술대회, 제천 (세명대학교), 11월 17일-18일 (발표: 17일), p. 14 (Paper No. A-12, 구두 발표, C: 50%).
김윤영, 이치영*, 2022, 측면 개구부가 존재하는 다중구획실 화재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추계학술대회, 제천 (세명대학교), 11월 17일-18일 (발표: 17일), p. 9 (Paper No. A-07, 구두 발표, C: 100%).
박유미, 이치영*, 2022, 다양한 개구부 및 화원 조건에서의 구획실 화재 전산시뮬레이션, 한국안전학회 추계학술대회, 여수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 11월 9일-11일 (발표: 9일). p. 9 (Paper No. OA-M-03, 구두 발표, C: 50%).
김윤영, 이치영*, 2022, 수직 개구부를 통해 연결된 2개의 구획실 내 화재 현상에 대한 전산시뮬레이션, 한국안전학회 추계학술대회, 여수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 11월 9일-11일 (발표: 9일). p. 8 (Paper No. OA-M-02, 구두 발표, C: 100%).
김윤영, 박민영, 이치영*, 2022, 수평 자연 개구부가 존재하는 구획실 화재 현상에 대한 상사법칙 검토, 한국안전학회 춘계학술대회, 제주 (메종글래드호텔 제주), 5월 11일-13일 (발표: 13일), p. 242 (Paper No. OA-M-01, 구두 발표, C: 50%).
박유미, 이치영*, 2022, 천장 및 측면 개구부가 존재하는 공간의 화재 현상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대회, 제주 (메종글래드호텔 제주), 4월 27일-29일 (발표: 28일), p. 83 (Paper No. 라-14, 구두 발표, C: 100%).
박유미, 이치영*, 2022, 구획실 화재 현상에 대한 수평 개구부 위치의 영향 검토, 한국건축시공학회 봄학술발표대회, 나주 (중흥골드스파&리조트), 4월 20일-22일 (발표: 21일), 제22권, 1호, 통권 제42집, pp. 9-10 (구두 발표, C: 100%, 최우수 학술상).
박유미, 이치영*, 2021, 수평 및 수직 개구부가 설치된 구획실 내 환기 조건이 화재 현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안전학회 추계학술대회, 제주 (메종글래드호텔 제주), 12월 1일-3일 (발표: 2일), p. 93 (Paper No. OA-08, C: 100%).
Numerical Simulation on Effects of Horizontal Natural Opening Area and Heat Release Rate on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Vent Flow in Small Compartment (수평 자연 개구부 면적 및 열방출률이 소규모 구획실 내 온도 분포 및 개구부 유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산시뮬레이션): 자율창의학술연구 (부경대학교, 2021.03.01.-2023.02.28.)
Publication (*: Corresponding author)
[Domestic Journal, 국내학술지논문: 1]
박민영, 양지현, 이치영*, 2021, 수평 자연 개구부 면적 및 열방출률이 소규모 구획실 내 온도 분포 및 개구부 유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산시뮬레이션,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 35, No. 3, pp. 23-33 (ISSN: 2765-088X (Online), 2765-060X (Print), 6월).
An Investigation on Optimization of Smoke Ventilation for Securing Evacuation Time of Audience in Fire of Theater (공연장 내 화재 시 관객 대피 시간 확보를 위한 연기 배출구 최적화 연구): 기본연구 (이공분야기초연구사업, 한국연구재단/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19.06.01.–2022.02.28.)
Publication (*: Corresponding author)
[International Journal (SCIE), 국제학술지논문: 3]
Yu Mi Park, Chi Young Lee*, 2024,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Effects of Heat Release Rate and Horizontal Vent Area on Enclosure Fire Phenomena with Upper Horizontal and Lower Vertical Vents,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38, No. 10, pp. 5759-5768 (ISSN: 1738-494X (Print), 1976-3824 (Electronic), October, C: 30%). http://doi.org/10.1007/s12206-024-0946-7
Min Yeong Park, Chi Young Lee*, 2024,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Effect of Fire Source Location on Compartment Fire Phenomena with a Single Natural Ceiling Vent,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Vol. 19, No. 9, pp. 1340-1348 (ISSN: 1744-5302 (Print), 1754-212X (Online), September, C: 70%). https://doi.org/10.1080/17445302.2023.2244189
Yun Young Kim, Chi Young Lee*, 2024, Numerical Investigation on Upper Layer Thickness and Temperature Rise in a Fire in Two Rooms Connected through a Side Vent, Case Studies in Thermal Engineering, Vol. 58, 104370 (20 pages, ISSN: 2214-157X (Online), June, C: 30%). https://doi.org/10.1016/j.csite.2024.104370
[Domestic Journal, 국내학술지논문: 5]
김윤영, 이치영*, 2024, 천장 개구부가 있는 구획실 화재 현상에 구획실 높이와 화원 및 개구부 위치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산시뮬레이션,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 38, No. 5, pp. 1-7 (ISSN: 2765-088X (Online), 2765-060X (Print), 10월, C: 50%). https://doi.org/10.7731/KIFSE.bcec8f26
김윤영, 이치영*, 2023, 화원이 존재하는 구획실의 높이가 수평 개구부 유동과 온도 분포에 미치는 영향,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 37, No. 6, pp. 31-39 (ISSN: 2765-088X (Online), 2765-060X (Print), 12월, C: 50%). https://doi.org/10.7731/KIFSE.04559ef3
박유미, 이치영*, 최준호, 2022, 측면 및 천장 개구부가 설치된 구획실 내 화재 현상에 천장 개구부 위치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토,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 36, No. 3, pp. 1-10 (ISSN: 2765-088X (Online), 2765-060X (Print), 6월. C: 50%). https://doi.org/10.7731/KIFSE.7d71242e
박민영, 이치영*, 2022, 공연장 무대부 화재에 대한 전산해석 연구: 자연 배연구 면적과 화원 위치 영향, 한국안전학회지, Vol. 37, No. 1, pp. 1-11 (ISSN: 1738-3803 (Print), ISSN: 2383-9953 (Online), 2월). https://doi.org/10.14346/JKOSOS.2022.37.1.1
조재근, 이치영*, 2021, Fire Dynamics Simulator를 이용한 미분무의 분사 특성이 복사열 감쇠에 미치는 영향 검토,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 35, No. 1, pp. 1-10 (ISSN: 2765-088X (Online), 2765-060X (Print), 2월).
[Other Journal, 기타학술지논문: 5]
Yun Young Kim, Chi Young Lee*, 2024, Numerical Simulation on Fire Phenomena During Simultaneous Fires in Two Rooms Connected by Side Ope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8, No. 3, pp. 8-15 (eISSN: 2950-8991, September, C: 30%). https://doi.org/10.7731/KIFSE.14741e25
Min Yeong Park, Yun Young Kim, Chi Young Lee*, 2023, Comparative Study of Numerical Simulation and Experiment on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Central Vent Flow Velocity in Ceiling-vented Compartment Fire, International Journal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7, No. 3, pp. 10-19 (eISSN: 2950-8991, September, C: 50%). https://doi.org/10.7731/KIFSE.9a45db07
Yu Mi Park, Chi Young Lee*, 2023, Effect of Vent Area Ratio on Vent Flow Characteristics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in Fire of Compartment with Two Ceiling V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7, No. 1, pp. 9-21 (eISSN: 2950-8991, March, C: 50%). https://doi.org/10.7731/KIFSE.72cdba0d
Yu Mi Park, Chi Young Lee*, 2022, Effects of Duct Height and Fire Location on Fire Phenomena of Enclosure with Two Horizontal Vents Installed at Ceiling, International Journal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6, No. 4, pp. 56-69 (eISSN: 2950-8991, December, C: 50%). https://doi.org/10.7731/KIFSE.1b44ea08
Min Yeong Park, Yun Young Kim, Chi Young Lee*, 2022, Examination of the Scaling Law of Fire Phenomena in Compartment with Horizontal Natural Opening using Numerical Sim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6, No. 2, pp. 1-12 (eISSN: 2950-8991, June). https://doi.org/10.7731/KIFSE.203e195d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15]
김윤영, 이치영*, 2024, 구획실 높이와 개구부 및 화원의 위치가 구획실 내 화재 현상에 미치는 영향, BLUE Scholar Conference, 국립부경대학교 동원장보고관 (부산), 5월 7일-8일 (발표: 7일) (포스터 발표, C: 50%, 우수 연구 포스터상).
김윤영, 이치영*, 2024, 높이가 높은 공간 내 화재 현상에 대한 전산해석,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대회, 소노캄 제주 (제주), 4월 25일-27일 (발표: 26일), p. 43 (Paper No. B-19, 구두 발표, C: 50%).
박유미, 이치영*, 2022, 2개의 수평 개구부가 존재하는 구획실의 화재 시 개구부 유동에 대한 검토, 한국화재소방학회 추계학술대회, 제천 (세명대학교), 11월 17일-18일 (발표: 17일), p. 14 (Paper No. A-12, 구두 발표).
박유미, 이치영*, 2022, 다양한 개구부 및 화원 조건에서의 구획실 화재 전산시뮬레이션, 한국안전학회 추계학술대회, 여수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 11월 9일-11일 (발표: 9일). p. 9 (Paper No. OA-M-03, 구두 발표).
김윤영, 박민영, 이치영*, 2022, 수평 자연 개구부가 존재하는 구획실 화재 현상에 대한 상사법칙 검토, 한국안전학회 춘계학술대회, 제주 (메종글래드호텔 제주), 5월 11일-13일 (발표: 13일), p. 242 (Paper No. OA-M-01, 구두 발표).
박민영, 이치영*, 2021, 자연 배연구가 설치된 공연장 무대부에 대한 실규모 화재시뮬레이션, 한국안전학회 추계학술대회, 제주 (메종글래드호텔 제주), 12월 1일-3일 (발표: 3일), p. 203 (Paper No. OA-13).
조재근, 이치영*, 2021, 2유체노즐의 분무 특성에 따른 복사열 감쇠 성능 측정, 한국안전학회 춘계학술대회, 여수 (여수 엑스포컨벤션센터), 7월 14일-16일 (발표: 15일), p. 117 (Paper No. OA-13).
박민영, 이치영*, 2021, 천장 개구부가 설치된 구획실 내 화재 현상 예측을 위한 기존 상관식에 대한 검토, 한국안전학회 춘계학술대회, 여수 (여수 엑스포컨벤션센터), 7월 14일-16일 (발표: 15일), p. 44 (Paper No. OA-06).
조재근, 이치영*, 2021, 2유체노즐을 이용한 수막의 복사열 감쇠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대회, 온라인, 4월 22일-28일, p. 12 (Paper No. A-10).
박민영, 이치영*, 2021, 화원 및 환기 조건이 구획실 화재 현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대회, 온라인, 4월 22일-28일, p. 43 (Paper No. C-05).
박민영, 이치영*, 2020, 개구부가 있는 구획실 내 화재 현상 예측을 위한 상관식 검토, 한국화재소방학회 추계학술대회, 온라인, 11월 26일-12월 3일, p. 16 (Paper No. A-14).
박민영, 이치영*, 2020, 소규모 구획실 화재에 대한 전산시뮬레이션과 실험의 비교 연구, 한국안전학회 춘계학술대회, 경주 (경주 코오롱호텔), 7월 22일-24일 (발표: 23일), p. 176 (구두 발표, Paper No. OA-10).
박민영, 이치영*, 2020, 개구부와 화원 조건이 구획실 내 온도 및 유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산시뮬레이션,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대회, 온라인, 7월 2일-9일, p. 36 (구두 발표, Paper No. B-16).
정찬석, 이치영*, 2019, 구획실 화재 시 개구부 조건에 따른 연기 거동에 대한 선행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추계학술대회, 서울 (과학기술회관), 11월 14일–15일 (발표: 14일), p. 131 (Paper No. P-21).
백선아, 이치영*, 2019, 구획실 화재 시 수평 및 수직 개구부 영향 검토를 위한 선행 축소모형 실험, 한국화재소방학회 추계학술대회, 서울 (과학기술회관), 11월 14일–15일 (발표: 14일), p. 55 (Paper No. C-07) (우수논문발표상).
Experimental Study on Effect of Water-based Iron(III) Oxide Nanofluid on Minimum Film Boiling Point During Quenching of Highly Heated Test Specimen (고온 시편의 급랭 시 산화철 나노유체가 최소막비등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자율창의학술연구 (부경대학교, 2019. 3.–2021. 2.)
Publication (*: Corresponding author)
[Domestic Journal, 국내학술지논문] 정찬석, 황경섭, 이치영*, 2020, 고온 시편의 급랭 시 산화철 나노유체가 최소막비등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Vol. 35, No. 5, pp. 128-136 (ISSN: 1738-3803, 10월).
위탁연구 (한국원자력연구원, 2019. 9. 1.–2020. 9. 30.)
Publication (*: Corresponding author)
[International Journal (SCIE), 국제학술지논문] Gyeong Seop Hwang, Wang Kee In, Chi Young Lee*, 2022, Quenching Experiments of Vertical Inconel and Zircaloy Tubes in Internal Water Flow, Annals of Nuclear Energy, Vol. 167, 108798 (ISSN: 0306-4549 (Print), 1873-2100 (Online), March).
선박 화재 시 자연배연설비의 성능 개선에 대한 연구: 2020년 이공계 여대생 팀프로젝트 멘토링 지원사업 (이공계 여성인재 활용촉진사업단, 2020.05.01-2020.09.30.)
Publication (*: Corresponding author)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박민영, 박유미, 김윤영, 김혜진, 이치영*, 2020, 선박 화재 시 자연배연설비의 성능 개선에 대한 연구, 제10회 2020 ICT융합기술·서비스 학술대회, 온라인, 8월 20일 (발표: 20일). 제10권 제1호, pp. 95-97 (구두발표).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박민영, 김윤영, 김혜진, 박유미, 정이규, 이치영*, 2020, 화재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선박용 자연배연구 성능 검토,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대회, 온라인, 7월 2일-9일, p. 94 (포스터 발표, Paper No. P-22).
Development of Safety Curtain for Theatres and Its Technology (공연장 방화막 시스템 및 안전기술 개발): 문화기술 연구개발 (한국콘텐츠진흥원, 2017. 6.–2019. 12.)
Publication (*: Corresponding author)
[Domestic Journal, 국내학술지논문] 양지현, 백선아, 이치영*, 김동균, 2019, 공연장 화재 축소모형을 이용한 전산시뮬레이션 검토: 방화막 및 무대부 자연 배연구 영향,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제33권, 제5호, pp. 37-47 (ISSN: 1738-7167, 10월).
[Domestic Journal, 국내학술지논문] 백선아, 양지현, 정찬석, 이치영*, 김동균, 2019, 공연장 무대부 화재 시 자연배출구 및 방화막 영향 검토를 위한 축소모형 실험,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제33권, 제4호, pp. 41-49 (ISSN: 1738-7167, 8월).
[Domestic Journal, 국내학술지논문] 김재한, 이치영*, 정이규, 김동균, 2018, FDS를 이용한 실규모 공연장 무대 내 화재 시 연기 거동 분석: 방화막 및 자연배출구 면적의 영향,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제32권, 제6호, pp. 7–14 (ISSN: 1738-7167, 12월).
[Domestic Journal, 국내학술지논문] 김동환, 이치영*, 김동균, 2018, 공연장 화재 축소모형의 전산시뮬레이션을 통한 방화막 영향 예측,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제32권, 제3호, pp. 51–59 (ISSN: 1738-7167, 6월).
[Domestic Journal, 국내학술지논문] 김재한, 김동균, 이치영*, 2017, 공연장 무대 화재 시 방화막과 강제 배연구가 객석으로의 연기 확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제31권, 제5호, pp. 28–36 (ISSN: 1738-7167, 10월).
[International Conference, 국제학술대회발표논문] Seon A Baek, Chi Young Lee*, Duncan Kim, 2019, Behavior of Fire-induced Flow through Horizontal Natural Vent in Enclosure, Asia Pacific Symposium on Safety 2019 (APSS 2019), Dalian, China, September 19-21 (Presentation: 21), pp. 1243- 1246 (Paper No.: APSS070).
[International Conference, 국제학술대회발표논문] Jae Han Kim, Ji Hyun Yang, Chi Young Lee*, Dong Kyun Kim, 2018, Influence of Fire Curtain and Stage Roof Vent Installation Conditions on Smoke Behavior in Fire within Stage of Theater, The 11th AOSFST (Asia-Oceania Symposium on Fire Science and Technology), Taipei, Taiwan, October 21-25 (Presentation: 23) (Paper No. P26).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양지현, 이치영*, 김동균, 2019, 공연장 방화막 조건에 따른 연기 거동 예측을 위한 실규모 화재시뮬레이션, 한국화재소방학회 추계학술대회, 서울 (과학기술회관), 11월 14일–15일 (발표: 14일), p. 56 (Paper No. C-08).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백선아, 이치영*, 김동균, 2019, 방화막 및 배연구 영향 평가를 위한 공연장 화재 축소모형 선행 실험, 한국안전학회 춘계학술대회, 제주 (메종글래드호텔 제주 2층), 5월 8일–10일 (발표: 9일), p. 116.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양지현, 이치영*, 김동균, 2019, 공연장 축소모형과 FDS를 이용한 방화막 및 자연배연구 영향 검토, 한국안전학회 춘계학술대회, 제주 (메종글래드호텔 제주 2층), 5월 8일–10일 (발표: 9일), p. 68.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백선아, 이치영*, 김동균, 2019, 수평 자연배연구가 있는 구획실의 화재시뮬레이션,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대회, 대구 (대구EXCO), 4월 25일–26일 (발표: 25일), pp. 255–256 (Paper No. P-36).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백선아, 양지현, 이치영*, 2018, 공연장 화재 시 관객 안전 확보를 위한 소방설비 개선 방안 검토, Busan Young Innovator (부산R&D주간), 부산 (BEXCO 컨벤션홀2F 로비), 11월 19일–21일 (발표: 20일), p.36 (Paper No. E10) (우수포스터상, 최우수상).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백선아, 이치영*, 김동균, 2018, 구획실 화재 시 연기 거동 예측 관련 기존 연구 검토, 한국안전학회 추계학술대회, 경주 (현대호텔 경주 2층), 11월 7일–9일 (발표: 8일), p.86 (Paper No. SC-04).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김재한, 이치영*, 김동균, 2018, 공연장 무대 내 배연구 형상이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 유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화재소방학회 추계학술대회, 서울 (과학기술회관 지하1층), 11월 8일–9일 (발표: 8일), pp.289–290 (Paper No. P-45).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김재한, 이치영*, 김동균, 2018, 공연장 화재 시 객석으로의 연기 확산 억제를 위한 방화막 작동 조건 검토, 제10회 한국유체공학학술대회, 여수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 8월 22일–24일 (발표: 23일) (Paper No. Oral-033).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양지현, 이치영*, 김동균, 2018, 방화막 및 화원 조건이 연기 확산에 미치는 영향 평가를 위한 실규모 공연장 화재시뮬레이션, 제10회 한국유체공학학술대회, 여수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 8월 22일–24일 (발표: 23일) (Paper No. Oral-063).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김재한, 정찬석, 김동균, 이치영*, 2018, 공연장 화재 시뮬레이션: 자연배출구 크기 및 방화막 영향, 2018년도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대회, 대구 (EXCO), 4월 26일–27일 (발표: 26일), pp. 135-136.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김재한, 정찬석, 김동균, 이치영*, 2017, 공연장 화재 시 방화막과 배연구 영향에 대한 평가, 2017년도 한국화재소방학회 추계학술대회, 안양 (대림대학교), 11월 16일–17일 (발표: 16일), pp. 41-42 (우수논문발표상).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김재한, 정찬석, 김동균, 이치영*, 2017, 공연장 화재 시 방화막이 연기 확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 연구, 2017년도 한국안전학회 추계학술대회, 경주 (현대호텔), 11월 9일–10일 (발표: 9일), p. 18.
[Domestic Patent, 국내특허] 이치영, 양지현, 백선아, 정찬석, 김재한, 모사장치를 이용한 공연장 화재 시 방화막 시스템 성능 평가 장치 및 성능 평가 방법, 등록번호: 제10-2289176호 (2021년 08월 06일).
An Investigation on Advanced Twin-fluid Nozzle with High Performance of Fire Suppression and Smoke Dissipation for Water-mist Fire Suppression System (화재 진압 및 연기 제거 성능이 우수한 미분무소화설비용 신개념 2유체노즐에 관한 연구):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한국연구재단, 2016. 11.–2019. 10.)
Publication (*: Corresponding author)
[International Journal (SCIE), 국제학술지논문] Ji Hyun Yang, Chi Young Lee*, 2022, Experimental Study on Phenomena of Single Water Droplet Impacts on Liquid Surfaces: Regime Maps and Correlations, Experimental Thermal and Fluid Science, Vol. 130, 110480 (ISSN: 0894-1777 (Print), 1879-2286 (Online), January).
[International Journal (SCIE), 국제학술지논문] Chan Seok Jeong, Chi Young Lee*, 2021,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Spray Characteristics of Twin-fluid Nozzle for Water Mist and Its Heptane Pool Fire Extinguishing Performance, Process Safet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Vol. 148, pp. 724-736 (ISSN: 0957-5820 (Print), 1744-3598 (Online), April).
[International Journal (SCIE), 국제학술지논문] Dong Hwan Kim, Chi Young Lee*, Chang Bo Oh, 2021, Effects of Discharge Area and Atomizing Gas Type in Full Cone Twin-Fluid Atomizer on Extinguishing Performance of Heptane Pool Fire under Two Heat Release Rate Conditions in an Enclosed Chamber, Applied Sciences, Vol. 11, 3247 (ISSN: 2076-3417, April).
[International Journal (SCI/SCIE), 국제학술지논문] Dong Gu Kang, Gang Min Nam, Wang Kee In, Chi Young Lee*, 2019, Evaporation of Sessile Water Droplet on Heated Surface with Needle-shaped Nanostructures by Pre-boiling Oxidation Process, Experimental Thermal and Fluid Science, Vol. 101, pp. 193–200 (ISSN: 0894-1777 (Print), 1879-2286 (Online), January).
[Domestic Journal, 국내학술지논문] 김동환, 이치영*, 2019, 중실원추형 및 중공원추형 2유체 미립화기의 화재 소화 성능 검토: 공급 기체와 미분무 영향,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제33권, 제5호, pp. 28-36 (ISSN: 1738-7167, 10월).
[Domestic Journal, 국내학술지논문] 정찬석, 이치영*, 2019, 물과 공기가 공급되는 2유체노즐을 활용한 에탄올 풀화재 소화 실험,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제33권, 제3호, pp. 37-43 (ISSN: 1738-7167, 6월).
[Domestic Journal, 국내학술지논문] 정찬석, 이치영*, 2018, 소규모 헥산 풀화재를 이용한 2유체노즐의 소화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제32권, 제3호, pp. 35–41 (ISSN: 1738-7167, 6월).
[Domestic Journal, 국내학술지논문] 정찬석, 이치영*, 2017, 2유체노즐의 액체풀 화재 소화 성능에 대한 검토,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제31권, 제4호, pp. 59–64 (ISSN: 1738-7167, 8월).
[International Conference, 국제학술대회발표논문] Dong Hwan Kim, Chi Young Lee*, 2019, Influence of Spray Conditions for Twin-fluid Atomizer on Fire Extinguishment, Asia Pacific Symposium on Safety 2019 (APSS 2019), Dalian, China, September 19-21 (Presentation: 21), pp. 1247- 1250 (Paper No.: APSS071).
[International Conference, 국제학술대회발표논문] Ji Hyun Yang, Chi Young Lee*, 2019,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Water Droplet Impact on Liquid Surface, Asia Pacific Symposium on Safety 2019 (APSS 2019), Dalian, China, September 19-21 (Presentation: 21), pp. 208- 212 (Paper No.: APSS079).
[International Conference, 국제학술대회발표논문] Chan Seok Jeong, Dong Hwan Kim, Chi Young Lee*, 2018, Effect of Liquid and Gas Flow Rate Conditions Supplied to Twin-fluid Nozzle on Heptane Pool Fire Extinguishment, The 11th AOSFST (Asia-Oceania Symposium on Fire Science and Technology), Taipei, Taiwan, October 21-25 (Presentation: 23) (Paper No. P33).
[International Conference, 국제학술대회발표논문] Dong Hwan Kim, Chan Seok Jeong, Chi Young Lee*, 2018, Effect of Water Mist on Visibility: Preliminary Investigation, The 1st ETME (Emerging Technologies in Mechanical Engineering), Jeju (Ramada Plaza Jeju Hotel), Republic of Korea, August 19-22 (Presentation: 20), p. 383 (Paper No. MoD.18).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정찬석, 이치영*, 전준호, 2020, 다공 2유체노즐의 액체 풀화재 소화 성능 검토,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대회, 온라인, 7월 2일-9일, p. 95 (포스터 발표, Paper No. P-23).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김동환, 이치영*, 2019, 2유체 미립화기의 분사 조건에 따른 화재 소화 성능 측정 실험, 한국화재소방학회 추계학술대회, 서울 (과학기술회관), 11월 14일–15일 (발표: 14일), p. 53 (Paper No. C-05).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황경섭, 이치영*, 2019, 수성막포 수용액을 이용한 2유체노즐의 소화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추계학술대회, 서울 (과학기술회관), 11월 14일–15일 (발표: 14일), p. 54 (Paper No. C-06).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정찬석, 이치영*, 2019, 에탄올 풀화재에 대한 2유체노즐의 소화 성능 검토, 한국안전학회 춘계학술대회, 제주 (메종글래드호텔 제주 2층), 5월 8일–10일 (발표: 10일), p. 207.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김동환, 이치영*, 2019, 중공원추형 2유체 미립화기를 이용한 미분무의 화재 소화 실험, 한국안전학회 춘계학술대회, 제주 (메종글래드호텔 제주 2층), 5월 8일–10일 (발표: 9일), p. 25 (우수논문발표상).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황경섭, 이치영*, 2019, 에너지저장장치 내 리튬이온배터리 화재 관련 연구 동향 검토, 한국안전학회 춘계학술대회, 제주 (메종글래드호텔 제주 2층), 5월 8일–10일 (발표: 10일), p. 210.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김동환, 이치영*, 2019, 중실원추형 2유체 미립화기의 화재 소화 효과에 대한 선행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대회, 대구 (대구EXCO), 4월 25일–26일 (발표: 26일), pp. 33–34 (Paper No. A-16).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양지현, 이치영*, 2019, 액체 표면에 충돌하는 액적 거동 관련 기존 상관식 검토,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대회, 대구 (대구EXCO), 4월 25일–26일 (발표: 26일), pp. 145–146 (Paper No. D-18).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정찬석, 이치영*, 2019, 화재 시 물 분무에 의한 복사열 차단 관련 기존 연구 동향 검토, 대한설비공학회 4개지회 연합학술대회, 부산 (부산대학교 상남국제회관), 4월 12일, pp. 85–87 (Paper No. 19-R-007).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김동환, 이치영*, 2018, 다양한 종류의 화재에 적용 가능한 진보된 미립화기에 관한 연구, Busan Young Innovator (부산R&D주간), 부산 (BEXCO 컨벤션홀2F 로비), 11월 19일–21일 (발표: 20일), p.35 (Paper No. E9).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정찬석, 이치영*, 2018, 화원 면적이 화재 특성 및 미분무 소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안전학회 추계학술대회, 경주 (현대호텔 경주 2층), 11월 7일–9일 (발표: 9일), p.218 (Paper No. OC-07).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김동환, 이치영*, 2018, 다양한 화재 조건에서 미분무를 이용한 화재 소화 및 연기 제거 실험, 한국화재소방학회 추계학술대회, 서울 (과학기술회관 지하1층), 11월 8일–9일 (발표: 8일), pp. 159–160 (Paper No. E-1).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정찬석, 이치영*, 2018, 액체풀 화재의 화원 크기에 따른 미분무수의 소화 성능 평가 실험, 제10회 한국유체공학학술대회, 여수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 8월 22일–24일 (발표: 24일) (Paper No. Oral-205).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김동환, 이치영*, 2018, 2유체노즐에 의한 미분무수의 연기 제거 효과 검토, 제10회 한국유체공학학술대회, 여수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 8월 22일–24일 (발표: 24일) (Paper No. Oral-180).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정찬석, 김재한, 이치영*, 2018, 미분무수를 이용한 헥산 고임 화재 소화 관련 선행 실험, 2018년도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대회, 대구 (EXCO), 4월 26일–27일 (발표: 26일), pp. 133-134.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정찬석, 김재한, 이치영*, 2017, 2유체노즐을 이용한 화재 소화 실험, 2017년도 한국화재소방학회 추계학술대회, 안양 (대림대학교), 11월 16일–17일 (발표: 16일), pp. 131-132 (우수논문발표상).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정찬석, 김재한, 이치영*, 2017, 물-공기를 이용한 2유체노즐의 화재 소화 성능에 대한 선행 실험, 2017년도 한국안전학회 추계학술대회, 경주 (현대호텔), 11월 9일–10일 (발표: 9일), p. 48.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김재한, 김동환, 백선아, 이치영*, 2017, 미분무수가 화재 소화와 연기 제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동향, 한국안전학회 춘계학술대회, 제주 (메종글래드호텔), 5월 11일–12일 (발표: 11일), p. 13.
Minimum Film Boiling Temperature and Minimum Heat Flux in Pool Boiling of High-temperature Cylinder Quenched by Aqueous Surfactant Solution (계면활성제 수용액에 의해 급속 냉각되는 고온 실린더 수조 비등에서의 최소막비등온도와 최소열유속): 자율창의학술연구 (부경대학교, 2017. 3.–2019. 2.)
Publication (*: Corresponding author)
[International Journal (SCI/SCIE), 국제학술지논문] Dong Gu Kang, Jae Han Kim, Chi Young Lee*, 2018, Minimum Film Boiling Temperature and Minimum Heat Flux in Pool Boiling of High-temperature Cylinder Quenched by Aqueous Surfactant Solution,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32, No. 12, pp. 5919–5926 (ISSN: 1738-494X, December).
액체 연료 종류에 따른 액적 충돌 현상에 관한 실험적 기초 연구: 2018년 여대생 팀프로젝트 멘토링 지원사업 (이공계 여성인재 진출촉진사업단, 2018. 7.–2018. 11.)
Publication (*: Corresponding author)
[Domestic Conference, 국내학술대회발표논문] 양지현, 박민영, 박정현, 우선희, 백선아, 이치영*, 2018, 액체 연료 종류에 따른 액적 충돌 현상에 관한 실험적 기초 연구, 한국안전학회 추계학술대회, 경주 (현대호텔 경주 2층), 11월 7일–9일 (발표: 8일), p. 50 (Paper No. OC-05) (우수논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