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 위 ≡ >> TARS >> 시행착오 에서 제작과정에서의 시행착오등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왼쪽 위 ≡ >> TARS >> 시행착오 에서 제작과정에서의 시행착오등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중심 축을 어디에 둬야할지 등과 같은 기본적인 설계들과 여러 발생할 문제들과 관련된 이야기들을 나누었습니다.
선 꼬임 등의 이유로 실패
축이 위라면 축이 아래의 하중을 감당하기 힘들 것으로 판단하여 실패
본래 타스에서는 팔 정중앙에 축이 있었지만 실제 구동결과 그렇게 하게되면 물리적으로 걷는것이 불가능하므로 축의 위치를 살짝 위에 설치함
랙(래크):랙은 주로 직선 운동을 생성하거나 변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피니언: 피니언 기어는 랙과 상호 작용하여 회전 운동을 생성하거나 변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랙의 치아(톱니)에 맞물려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거나 반대로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합니다.
2차 설계를 3D프린팅 하였습니다. 규격이 안맞는등 일부 문제가 있어 해결될 때 까지 여러번 프린팅 하였습니다.
코딩을 시작하였습니다. 서보모터를 돌리고, 조명에 불이 들어오게하는 코드를 짰습니다.
왼쪽 위 ≡ >> TARS >> 파이코딩 에서 코드를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3D프린팅과 코드를 작성했으므로 일부분 조립을 시작했습니다.
퍼티를 TARS위에 바른 뒤 말리고 서페이서를 발랐습니다. 그런 후 TARS의 금속재질을 구현하기 위해서 은색 스프레이로 여러번 도색하여 마무리 했습니다.
다 완성한 후 프레젠테이션을 위한 홈페이지를 제작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