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 corresponding author)
김태연, 고영지, 이정현. (2025). AI 활용 표기와 브랜드의 사회적 가치 지향 캠페인이 지각된 캠페인 가치, 브랜드 진실성, 소비자-브랜드 동일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이소진, 김태연*. (2025). 챗봇의 상호작용 방식이 소비자의 비윤리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인간성, 준사회적 상호작용, 도덕적 이탈의 순차적 매개 및 마키아벨리즘의 조절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26(3), pp. 267-295.
Taeyeon Kim, Sojin Lee, & Soyeon Park. (2025). Social Support from Virtual vs. Human Influencers: Effects on Support Efficacy, Interactivity, and Social attractive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Jaeyeon Bang, Seungjae Oh, Jiyeon Park, Yejoo Lee, Yeonsoo Cho, Soyeon Park & Taeyeon Kim* (2025). Impact of Spatial Presence on Charitable Behavior in the Metaverse: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Norm Message and Involvement with Charity.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Youngju Jung, Taeyeon Kim, Sojin Lee, Seung Min, & Yongjun Sung. (2025). Short Made Them Powerful: Exploring Motivations and Problematic Uses of TikTok.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Taeyeon Kim, Hyungrok Jin, Jaehee Hwang, Nayeon Kim, Jungjae Im, Yonghoon Jeon, & Yongjun Sung. (2024). Being excluded in the metaverse: Impact of social ostracism on users’ psychological responses and behaviors.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78, 102808.
Taeyeon Kim & Hye Jin Yoon . (2023). The effectiveness of influencer endorsements for smart technology products: the role of follower number, expertise domain and trust propensity.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https://doi.org/10.1108/JPBM-03-2023-4376
Hye Jin Yoon, Yan Huang & Taeyeon Kim. (2023). The role of relevancy in native advertising on social media.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42(6), 972-999. https://doi.org/10.1080/02650487.2022.2135345
Hyungrok Jin, Jaehee Hwang, Bingqin Luo, Taeyeon Kim* & Yongjun Sung . (2022). Licensing effect of pro-environmental behavior in metaverse.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25(11), 709-717. https://doi.org/10.1089/cyber.2021.0320
Jihoon (Jay) Kim, Taeyeon Kim*, Bartosz W. Wojdynski & Hyoyeun Jun. (2022). Getting a little too personal?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personalized advertising on online multitaskers. Telematics and Informatics, 71, 101831. https://doi.org/10.1016/j.tele.2022.101831
Taeyeon Kim & Glenna L. Read. (2022). Influencers' smiles work regardless of product and message. Marketing Intelligence & Planning, 40(4), 425-440. https://doi.org/10.1108/MIP-10-2021-0349
Taeyeon Kim & Yongjun Sung. (2021). CEOs’ self-disclosure on Instagram and consumer-brand relationships: the moderating effect of relationship norms.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40(6), 897-921. https://doi.org/10.1080/02650487.2020.1837485
Taeyeon Kim & Glenna L. Read. (2021). Free smiles are worth a lot for social media influencers: The mediating roles of warmth, competence, and admiration.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24(2), 135-140. https://doi.org/10.1089/cyber.2020.0323
Taeyeon Kim, Yongjun Sung & Jang Ho Moon. (2020). Effects of brand anthropomorphism on consumer-brand relationships on social networking site fan pages: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presence. Telematics and Informatics, 51, 101406. https://doi.org/10.1016/j.tele.2020.101406
Taeyeon Kim & Joe Phua. (2020). Effects of brand name versus empowerment advertising campaign hashtags in branded Instagram posts of luxury versus mass-market brands. Journal of Interactive Advertising, 20(2), 95-110. https://doi.org/10.1080/15252019.2020.1734120
Conference Proceedings & Presentations
오승재 & 성용준 (2025년 8월 23일). 정치적 일치성이 가짜뉴스 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샤덴프로이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제 79차 연차학술대회, 일산, 한국.
김세헌, 김현, 조연수, 정영주 & 성용준 (2025년 4월). 친환경 소비자군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심리적 메커니즘. 2025 한국광고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 판교, 한국.
오승재, 김현, 이기영 & 성용준 (2025년 4월). 소셜미디어 게시물의 제품 유형이 부러움에 미치는 영향. 2025 한국광고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 판교, 한국.
김은서 & 김태연 (2025년 4월). AI가 바라본 자아: AI 기반 맞춤형 추천과 자기 인식. 2025 한국광고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 판교, 한국.
방재연, 조연수, 이주연, 김세헌 & 성용준 (2025년 5월). 기후 변화에 대한 국내 주요 언론 보도 동향: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2025 한국광고홍보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 인천, 한국.
안정용 & 김은서 (2024년 10월 25일). 공정한 세상에 대한 믿음이 소비자 설득에 미치는 영향: 인간 vs. AI 추천 비교. 2024 한국광고학회 추계 정기학술대회, 강원, 한국.
이예주, 오승재 & 김태연 (2024년 10월 25일). 강요된 기부? AI생성 광고에서 단언적 메시지가 소비자반응에 미치는 영향. 2024 한국광고학회 추계 정기학술대회, 강원, 한국.
안정용 & 오승재 (2024년 10월 25일). "May AI help you?" 인공지능 주도성, 조절초점, 과제유형 간 삼원상호작용효과가 인공지능 설득효과에 미치는 영향. 2024 한국광고학회 추계 정기학술대회, 강원, 한국.
이소진, 방재연, 이예주, 박지연 & 김태연 (2024년 10월 25일). 디지털 시대의 사회적 배제: 퍼빙이 심리적 웰빙과 미디어 이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 2024 한국광고학회 추계 정기학술대회, 강원, 한국.
안정용 & 김은서 (2024년 7월 3일). 에이전트 유형과 공정 세계 신념 수준 간 상호작용 효과가 추천 서비스의 설득 효과에 미치는 영향. 2024 한국광고학회 학문후속세대 심포지엄, 강원, 한국
안정용 & 오승재 (2024년 7월 3일). 인공지능 주도성, 조절초점, 과제유형 간 삼원상호작용효과가 인공지능 설득효과에 미치는 영향. 2024 한국광고학회 학문후속세대 심포지엄, 강원, 한국.
이소진, 방재연, 이예주 & 박지연 (2024년 7월 2일). 퍼빙(Phubbing)이 인상평가와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2024 한국광고학회 학문후속세대 심포지엄, 강원, 한국.
정영주, 김태연, 이소진 & 성용준 (2024년 5월 24일). Scroll Quicker and Stay Longer: What attracts you to TikTok. 2024 한국광고홍보학회 학술대회.
김가람, 오승재 & 성용준 (2024년 4월 6일). 숏폼 사용이 일상과 소비의 충동성에 미치는 영향: 시간 왜곡 경험과 왜곡된 미래 지향을 바탕으로. 2024 한국광고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 서울, 한국.
김나연, 이소진, 박지연 & 김정원 (2023년 7월 5일). 정체성 메시지 프레이밍과 기부 의도: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2023 한국광고학회 학문후속세대 심포지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