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20217 / M.A. program, 5th semester
Email: lucylee0331@gmail.com
SoJin Lee is a Master’s student in the School of Psychology at Korea University. Her research focuses on consumer behavior in ubiquitous digital environments, with a particular interest in phubbing, short-form content consumption, and chatbot interactions. She examines how these digital experiences influence user engagement, consumer behavior, and digital well-being.
Journal Articles
Taeyeon Kim, Sojin Lee, & Soyeon Park. (2025). Social Support from Virtual vs. Human Influencers: Effects on Support Efficacy, Interactivity, and Social attractive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Youngju Jung, Taeyeon Kim, Sojin Lee, Seung Min & Yongjun Sung. (2025). Short Made Them Powerful: Exploring Motivations and Problematic Uses of TikTok.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Conference Proceedings & Presentations
이소진, 김태연*. (2025). 챗봇의 상호작용 방식이 소비자의 비윤리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인간성, 준사회적 상호작용, 도덕적 이탈의 순차적 매개 및 마키아벨리즘의 조절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26(3), pp. 267-295.
이소진, 방재연, 이예주, 박지연 & 김태연 (2024년 10월 25일). 디지털 시대의 사회적 배제: 퍼빙이 심리적 웰빙과 미디어 이용 행동에 미치는 영향. 2024 한국광고학회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홍천, 한국.
이소진, 방재연, 이예주 & 박지연 (2024년 7월 2일). 퍼빙이 인상 관리 및 사회적 상호작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2024 한국광고학회 학문후속세대 심포지엄, 속초, 한국.
정영주, 김태연, 이소진 & 성용준 (2024년 5월 24일). Scroll Quicker and Stay Longer: What attracts you to TikTok. 2024 한국광고홍보학회 봄철 정기학술대회, 경주, 한국.
김나연, 이소진, 박지연 & 김정원 (2023년 7월 5일). 정체성 메시지 프레이밍과 기부 의도: 자기개념 명확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2023 한국광고학회 학문후속세대 심포지엄, 강릉,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