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의사결정형 통합 영향평가 플랫폼 기반 구축 및 활용기술 개발
(과제 소개)
리빙랩 기반 지역 기후변화 적응경로 및 공간계획 지원도구 개발
(과제 소개)
다원적 의사결정을 위한 Scenario Neutral(SN) 기반 가뭄취약도 평가기술 개발
(과제 소개)
탄소중립 이행 리스크 전파경로 분석 및 물 발자국 정량화 연구
(과제 소개)
[UOS] 탄소중립 이행 리스크 전파경로 분석 및 물 발자국 정량화 연구. 2024
[NIER] 과학원에 구축된 환경DB를 활용한 평가도구 운영·개선방안. 2023-2024
[KEITI] 리빙랩 기반 지역 기후변화 적응경로 및 공간계획 지원도구 개발. 2023-2026
[KEI] 글로벌 기후 리스크에 따른 수자원 부문 직간접 영향 및 전파경로 분석. 2023-2025
[KEITI] 다원적 의사결정을 위한 Scenario Neutral(SN) 기반 가뭄취약도 평가기술 개발. 2022-2026
[KEITI]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의사결정형 통합 영향평가 플랫폼 기반 구축 및 정보생산 연구. 2022-2026
[UOS] 저영향개발이 도시유출 저감에 미치는 경제적 효용성 평가. 2022
[MOE] 기후위기 대비를 위한 낙동강유역 수자원 적응전략 개발. 2022
[UOS] 공간빅데이터 및 AIMHUB-Korea모델기반의 탄소중립과 기후적응 경로연구 : 에너지사용 및 생태계(식생, 물) 적응을 중심으로. 2021-2022
[MOE] 기후변화에 따른 부문별 사회경제적 피해비용 분석 연구. 2021-2022
[NRF] 다중변수 기반 고해상도 모형을 활용한 미래 극한 기후·수문 시나리오 생산 및 활용 가이드라인 개발. 2021-2024
[RDA] AR6 기후전망 기반의 농업생태계 기후·이상기상 분석 및 정보생산 연구. 2021-2024
[KEI] 국가 리스크 관리를 위한 기후변화 적응역량 구축·평가. 2020-2022
[UOS] 극한 수문 사상의 경제적 피해 정량화 연구. 2020
[K-water] 유역별 가뭄대응력 평가 및 그에 따른 댐·보 운영 개선방안 연구. 2020-2021
[MOE] 국가물관리기본계획 수립 연구. 2019
[KEI] 수자원의 합리적 배분 방안 마련 기초연구: 합리적 물 수급 분석 방안 연구. 2019
[KEI] 국가 리스크 관리를 위한 기후변화 적응역량 구축·평가: 데이터 기반 폭염 및 한파의 직·간접 영향 분석. 2019
[KEI] 북한의 산림복원과 기후변화가 물관리 취약성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방향 연구. 2019
[KEI] 통합물관리를 위한 유역계획의 통합 및 조정 방안 연구. 2019
[KAIA]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의사결정 및 사회구현 기술 개발. 2017-2019
[KEITI]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통합평가 모형요소 기술 개발. 2017-2018
[K-Water] 확률기반 수문전망 기술 고도화. 2017-2018
[NRF] 지역 수문 영향분석을 위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선정 기법의 개발. 2017-2019
[NSF-USA] WSC – Category 3: Collaborative Research: Water Sustainability under Near-term Climate Change: A Cross-Regional Analysis Incorporating Socio-Ecological Feedbacks and Adaptations. 2012-2016
[KAIA] 기후변화에 의한 수문 영향분석과 전망. 2010-2012
[KISTEP] 도시자연재해 안전기술개발. 2009-2010
[KOICA] 우즈베키스탄 물부족 문제 완화를 위한 물관리 체계 개선 역량강화(‘24~’26). 2024-2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