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공부하고 연구하는 Full-Time 사람들입니다.
(2023년 9월~)최은정은 국립공주대학교 간호학과를 졸업하고 충남대학교에서 간호학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대학병원에서 임상 및 지역사회 경험을 쌓았습니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정책분석 및 의료경영을 심층적으로 공부하기 위해 보건학 박사과정에 입학했습니다. 건강보험청구자료 분석에 몰입중입니다.
Choi, E., Choi, S., & Jang, S. (2025). Unmet Health Care Use Among Socially Withdrawn Youth (Hikikomori) in South Korea: Cross-Sectional Survey Study. JMIR Public Health and Surveillance, 11, e79043.
Choi, E., Seo, H. J., Kim, K. H., & Jung, S. Y. (2025). Gender-specific secular trends and related factors of high perceived stress level among Korean older adults: a nation-wide serial cross-sectional study. BMC Public Health, 25, 450.
Choi, E., Seo, H. J., Choo, I. H., Kim, S. M., Park, J. M., Choi, Y. M., & Yang, E. Y. (2023). Caregiving burden and healthcare utilization in family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Long term impact of the public family caregiver intervention. Geriatric Nursing, 51, 408-414.
Choi, E. J., & Park, M. (2021). Preparing for the Trend of Aging in Place: Identifying Interprofessional Competencies for Integrated Care Professional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3(3), 273-284.
Choi, E. J., Lim, E., Kwak, M., Jeong, M., Lee, N., Kwon, I. B., ... & Park, M. (2019). Development of ICT-Based Comprehensive Health and Social-Needs Assessment System to Enhance Person-Centered Community Care. In MEDINFO 2019: Health and Wellbeing e-Networks for All (pp. 1694-1695). IOS Press.
Park, M., & Choi, E. J. (2019). Exploring the effects of training facilitators of dementia-family support programs. Educational Gerontology, 45(3), 167-175.
최은정, & 정혜선. (2018). 간호대학생의 생명의료윤리의식, 좋은죽음 인식, 자아존중감이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5), 275-284.
(2023년 3월~)최서영은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를 졸업하고 곧바로 일반대학원 석사과정에 입학하여 석박사통합과정으로 전환했습니다. 사회과학으로서의 의료경영 및 보건정책에 관심이 많습니다. 인문학을 좋아합니다. 연구자의 꿈을 키워나가고 있습니다.
Choi, S., Jang, S. Y., Choi, E., & Park, Y. S. (2024). Association between prevalence and severity of chronic kidney disease and employment status: a nationwide study in Korea. BMC public health, 24(1)
[Under review] Choi, S., Choi, E., Jang, S. Y. (2024) Unlimited Smartphone Data Plans and Improvement of Social Participation among Older Adults: A Difference-in-Differences Approach Considering Data Deprivation
[Under review] Choi, S., Choi, E., Jang, S. Y. (2025) The Association Between Young Adults’ Future Expectations and Fertility Intentions: Challenges in Urbanized Societies
(2023년 3월~)김단비는 성결대학교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하고 한국병원경영연구원에서 잠시 경험을 쌓은 후 대학원 보건학과 석사과정에 입학하여 석박사통합과정으로 전환했습니다. 보건의료와 사회복지의 연결 및 통합을 위한 정책과, 우리 사회의 중독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에 관심이 많습니다.
Kim, D. B., Lim, J. H., Ko, J. S., Joo, M. J., Park, E. C., & Jang, S. Y. (2024). Associations between changes in deprivation and alcohol use disorder: a nationwide longitudinal study. Alcohol and Alcoholism, 59(6), agae071.
Kim, D. B., Park, Y. S., Yun, I., Park, E. C., & Jang, S. I. (2023). Association between anti-smoking campaign types and smoking cessation attempts. SSM-Population Health, 24, 101505.
[Under review] Kim, D. B, Park, E. C., Jang, S. Y. (2023). Association Between Adolescent Smartphone Use and Junk Food Intake
(2024년 3월~)박수민은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통계학 부전공)를 졸업하고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석사과정에 입학하여 석박사통합과정으로 전환했습니다. 건강증진사업과 보건의료정책의 효과평가에 관심이 많습니다.
Park, S. M., Joo, M. J., Lim, J. H., Jang, S. Y., Park, E. C., & Ha, M. J. (2025). Association between hikikomori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in Korean young adult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380, 647-654.
Park, S. M., Kim, D. B., Joo, M. J., & Park, E. C. (2024). Association between living alone and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n Korean adult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362, 630-637.
[Under review] Park, S. M., Kim, D. B, Park, E. C., Jang, S. Y. (2023). Association between sleep duration and diabetes control status in Korean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2025년 3월~)전지연은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하고 영국에서 봉사활동 후 연세대 보건대학원 보건정보통계학과를 졸업(MPH)했습니다. 보건의료의 형평성 연구에 관심이 많습니다.
(2025년 9월~)이정훈은 을지대학교 의료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융합보건의료대학원 정책분석전공 석사과정으로 입학했습니다. 기초 연구방법을 익히면서 다방면의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이정훈, 우건, & 최윤수. (2025). 노인의 사회참여가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미래성장연구, 11(1), 3-24.
함께 했던 분들입니다.
(2021년 3월~2024년 8월)박유신은 중앙대학교 간호학과를 졸업하고 대학병원 중환자실에서 경험을 쌓았습니다. 졸업 후 잠시 국제 보건사업에 참여한 후 더 깊은 공부를 위해 일반대학원 보건학과를 졸업하여 보건학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임상경력 보충 후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김모임간호학연구소 연구교수로 활동 중입니다.
(2021년 9월 - 2023년 8월) 어요카는 몽골에서 태어나 중국의 대학에서 중의학을 전공했습니다. 졸업 후에 몽골로 귀국하여 몽골 전통의학 의사로 활동했습니다. 큰 뜻을 품고 남편과 함께 한국에 와서 보건학 석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관심이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