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혜라, 최수정, 안진아, 정지선. (2025). 집단 내 대화의 경험 및 효과에 대한 혼합연구: 상담심리를 전공하는 시스젠더 대학원생들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7(3), 849-880.
안진아, 정지선. (2025). 성인 직장인의 생성형 AI 사용수준 및 학습정서 잠재프로파일 분석: 유형별 진로지속가능성, 고용불안, 직무만족 비교. 교육논총, 45(1), 121-135.
정지선, 이항심. (2025). 집단 간 대화를 통한 다양성 수용도와 다문화 역량 증진: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 다문화교육연구, 18(1), 111–133.
정지선. (2024). 변증법적 행동치료 기반 청소년용 정서조절 기술훈련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연구. 청소년학연구, 31(9), 77-109.
김용희, 남혜라, 정지선, 유순화. (2024). 지방대학생이 인식하는 마스터 내러티브 및 대안 내러티브에 대한 탐색적 연구: CQR-M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31(7), 369-397.
정지선, 신윤정, 안진아, 이은설, 이지연. (2023). 집단 간 대화 촉진자 훈련 프로그램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5(4), 1655–1685.
정주리, 김민정, 이지연, 정지선, 양승민, 양은주. (2023). 상담심리학 연구 동향과 도전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게재논문(2015–2022)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5(4), 1687–1716.
정지선, 안진아. (2023). 다문화 교육 방법의 효과성 연구: PBL과 집단 간 대화(IGD)를 중심으로.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12(5), 229–250.
Kim, H., Kim, J., Jeong, J., & Ko, Y. G. (2023). Study Examines Difference between Communal Narcissism and Altruism in Korean College Students Using Close-Other Report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2(3), 82-93.
정지선, 신윤정, 김지선, 장애경, 고금정. (2022). 종교 간 대화 준비도 척도(K-REDIT)의 타당화. 문화와융합, 44(5), 953-976.
정지선. (2021).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요인: 학교폭력 피해 유형, 부모방임, 외로움을 중심으로. 인문사회21, 12(1), 2645–2659.
전예림, 정지선. (2021). 과거 다중폭력 피해 경험, 청소년기 학교폭력 가해, 성인기 사이버 폭력 가해/피해 경험의 관계: 심리사회적 변인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치료학회지, 13(1), 117-135.
유인선, 정지선. (2021). 한국판 따돌림 가해/피해 유형척도(The Forms of Bullying Scale) 타당화. 청소년문화포럼, 63-82. 10.17854/ffyc.2021.04.66.63
정지선. (2020) 다문화 및 사회정의 상담을 위한 상담자 교육과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2, 225-248.
정지선. (2019). 청소년의 자기자비와 우울 및 학업 스트레스에 대한 메타분석. 청소년문화포럼, 57, 124-143.
정지선. (2018). 학교 현장에서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 집단 간 대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글로벌교육연구, 10(4), 33-60.
정지선. (2018). 한국판 미묘한 인종차별 용인 척도 타당화. 인문사회 21, 9, 1113-1128.
정지선, 안현의. (2008). 청소년 학교폭력의 복합 외상(Complex Trauma)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 145-160.
Kim, J., Kwon, H.-J., Jeong, J., Miles, J. R., Han, M., Bae, I., Bae, J., Wallraven, C., & Shin, Y.-J. (2025). Impact of Intergroup Dialogue on LGBTQ+ and Non-LGBTQ+ Individuals in South Korea. The Counseling Psychologist, 53(3), 322-359. https://doi.org/10.1177/00110000251337687 (Original work published 2025)
Jeong, J., Shimono, M., Mallinckrodt, B., & Baldwin, D. R. (2024). Adult attachment, emotional intelligence, affect regulation, and self-reported distress in first-year college students at a predominantly White university.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55(2), 107–118. https://doi.org/10.1037/pro0000526
Bae, Y., & Jeong, J. (2024). The effectiveness of a brief video-based intervention in reducing gender bias in Korea. Frontiers in Psychology, 15, 1331460. https://doi.org/10.3389/fpsyg.2024.1331460
Suh, H., Liou, P. Y., Jeong, J., & Kim, S. Y. (2022). Perfectionism, prolonged stress reactivity, and depression: A two-wave cross-lagged analysis. Journal of Rational-Emotive & Cognitive-Behavior Therapy, 42(1), 54–68. https://doi.org/10.1007/s10942-022-00461-2
Suh, H., & Jeong, J. (2021). Association of self-compassion with suicidal thoughts and behaviors and non-suicidal self-injury: A meta-analysis. Frontiers in Psychology, 12, 633482. https://doi.org/10.3389/fpsyg.2021.633482
Mallinckrodt, B., & Jeong, J. (2015). Meta-analysis of client attachment to therapist: Associations with working alliance and client pretherapy attachment. Psychotherapy, 52(1), 134–146. https://doi.org/10.1037/a00368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