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11. - 2024. 2. 제주특화 실행 리빙랩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제주특별자치도 학생참여 소공원녹지 조성 사업(녹색 주차장 프로젝트) https://www.youtube.com/watch?v=g_e9WvQnedM
2022. 4. - 2023. 12. 제주 민간 기상정보 리빙랩을 활용한 제주형 관광기후지수와 연계 관광정보 안내서비스 개발. 중소벤처기업부 지역특화산업육성+(R&D)
2021. 5. – 2022. 5. 인체 바이오기상학적 관점을 고려한 제주도 도심지역의 녹지 형태에 따른 인체 열스트레스 저감 잠재성의 정량화 및 현장 적용 기법 개발(Development of the quantification and application of urban green potentials in human-biometeorology to mitigate human heat stress within urban quarters in Jeju). 한국연구재단 국제연구인력교류사업 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
2020. 6. – 2025. 5. 한국형 관광기후지수 개발(The development of Koreans' climatic index for tourism). 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기초연구 학문균형발전지원사업 지역대학우수과학자
2020. 10. – 2021. 3. 2040 제주특별자치도 공원녹지기본계획 기본구상 수립용역. 학술연구용역사업
2020. 6. – 2020. 11. 서귀포시 도시바람길숲 조성사업 기본계획 수립용역. 학술연구용역사업
2020. 2. – 2020. 7. 제주시 도시바람길숲 기본계획 수립용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청
2020. 3. – 2020. 10. 제주도 선흘곶자왈 열환경 비교분석.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2019. 3. – 2019. 10. 제주도 한경곶자왈 열환경 비교분석.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2018. 2. – 2018. 9. 열환경 분석을 통한 기후변화대응 가이드라인 기초자료 생산. (재)서울연구원
2017. 3. – 2017. 9. 도시 근린공원 2계절 미기후 측정 및 분석.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2016. 8. – 2016. 12. 도시 근린공원 3계절 미기후 측정 및 분석.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2012. 9. – 2014. 8. 도시·조경계획 및 디자인을 위한 옥외공간에서 한국인의 인간 열환경 지수 및 열쾌적성 모델 개발을 통한 한국형 생기후도 제작에 관하여(Korean bioclimatic map development with Korean's human thermal sensation and comfort models in outdoor urban areas for urban and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한국연구재단 교육과학기술부 기초연구 일반연구자[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NRF-2012R1A1A2043 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