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학영재학교 유성관측 네트워크 시스템 (내부용 접속)
한국 유성관측 네트워크란?
2020년에 한국천문연구원 주도로 9개 영재학교와 과학고에 장비를 설치
한국과학영재학교
경기과학고영재학교
대전과학고영재학교
대구과학고영재학교
광주과학고영재학교
충북과학고등학교
경북과학고등학교
경남과학고등학교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밤하늘의 유성을 모니터링 하는 목적
학교 학생 탐구활동, 협업, 과학문화 확산의 의미
유성관측은 왜 하나요?
유성관측으로 무엇을 알 수 있나요?
단독 싸이트 관측:
날짜와 시간
유성이 떨어지는 빈도수
하늘에서의 위치 (Radiants)
밝기
각속도
같은 유성에 대해 동시에 두개의 싸이트에서 관측:
시작 고도 (km)
마지막 고도 (km)
속도 (km/s)
낙하 예상 지점
유성체의 궤도 (지구 대기에 진입하기 전 궤도)
기원에 대한 실마리
형설관 옥상
형설관 옥상: 북측 카메라, 남측 카메라, 전천 하늘 카메라로 구성됨
밤시간 관측중
낮시간 대기중
KAIST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의 유성관측 프로젝트 현황
2017 이승준 (15) "야간 비디오 촬영으로 유성의 관측", (최종보고서)
2017 김창회 (15), 김성윤 (16), 이정원 (16) "고주파를 이용한 유성우 관측 및 지구 궤도 환경 분석"
2015 김경모 (14), 조민규 (14), 김태기 (14), 홍진영(14) "라디오 전파를 이용한 유성우 관측" (미래창조부장관상; ISEF 본선진출)
Kyoung-Mo Kim, Mingu Cho, Taegi Kim, Jinyoung Hong, Young-Woo Kang, Sang-Hyeon Ahn, Sang-Hyun Lee and In-Ok Song, Proceedindgs of the International Meteor Conference (Mistelbach, 2015), 124, "Meteor observations of forward-scattered FM-radio echo in Busa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