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러–유리 실험은 1953년에 미국의 스탠리 밀러와 해럴드 유리가 수행한 고전적 실험입니다. 당시 연구자들은 원시 지구 대기를 모사한 기체 혼합물에 전기 방전(번개 역할)을 가했습니다.
며칠이 지나자, 단순한 기체에서 아미노산 같은 유기 분자가 실제로 생성되었습니다. 이 결과는 “생명체의 기본 재료가 무생물 조건에서도 만들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처음으로 보여준 획기적인 연구였습니다.
우리 실험실은 밀러–유리 실험을 현대적으로 다시 구현하여 연구하고 있습니다. (Parker et al. 2014를 따랐습니다.)
전기방전 장치를 이용해 다양한 기체 혼합물(CH₄, NH₃, N2)을 방전시킵니다
방전 후 생성된 유기물을 분석해 아미노산, 전구체 분자가 형성되는 것을 얻었습니다. 즉, “생명 전 단계 분자들이 어떤 조건에서 만들어지는가”를 실험적으로 탐구하고 있습니다.
밀러–유리 실험은 단순한 화학 실험이기도 하지만, 생명의 기원 연구와 우주생물학에 의미가 있습니다.
지구 기원 이해: 원시 지구에서 어떻게 첫 유기물이 형성되었는지를 설명하는 모델입니다.
현대적 의미: 현대 장비와 분석법을 활용해 70년 전 실험을 정밀하게 재현·확장함으로써, 생명 연구와 천문학을 잇는 다리 역할을 합니다.
논문 출판
송인옥, 모영훈, 유제인, 장호연, 황기욱, 천만석, 오진호, 한상준, 2025, 천문학논총, 20, 1, "밀러-유리형 전기방전 실험에서 C2 Swan Band 와 CN 방출선 발견" (Download PDF)
학생 포스터 학회 발표
모영훈, 유제인, 장호연, 송인옥, "환원성 대기상에서 Amino Acid 생성 여부 판별", 2019, 한국추계지구과학회 탐구포스터대회 우수상, 교원대학교 (R&E)
황기욱, 김승수, 이정원, 송인옥, "지구 초기대기 방전실험 재연", 2017, 한국추계지구과학회, 전남대학교 (졸업개인연구)
학생 탐구프로젝트 결과 보고서
2024 이은율 (22), 3학년 졸업개인연구, "밀러-유리 실험", (Download PDF)
2022 곽지민 (19), 3학년 졸업개인연구, "밀러-유리 실험에서 원시 대기에 가까운 기체 조성 설계 및 분석" (Download PDF)
2021 김영주 (18), 3학년 졸업개인연구, "밀러-유리 실험의 재현"
2019 모영훈, 유제인, 장호연, R&E 최종 결과보고서, "아미노산을 생성하는 밀러- 유리 실험에서 C2 방출선 발견" (Download PDF)
2017 황기욱 (15), 3학년 졸업개인연구, 지구 초기대기 방전실험 재연 (Download PDF)
2016 김승수 (14) , 3학년 졸업개인연구, Miller-Urey 실험 장치의 설계 (Download PDF)
2015 이정원 (13), 3학년 졸업개인연구, 초기 지구 대기와 타이탄 대기에서의 Miller-Urey 실험 (Download PDF)
밀러-유리 단계별 실험 방법
주입 기체압 계산 및 방법 (https://youtu.be/saEGFNpPIXU 13:20)
플라스크 외 세척 산과 베이스 만들기 (https://youtu.be/Q07xmbNnIMw 6:38)
밀러-유리 실험 시작 및 진행중 (https://youtu.be/e1JgbzD0Za8 01:20)
밀러-유리 실험 종료 및 정리 (https://youtu.be/VlewEdixM10 02:22)
암모니아 가스 캐비넷 사용법 (초안) (https://www.evernote.com/shard/s492/sh/efa396d3-caa7-19fd-477e-c18a4710097f/8a2409114a86bd8eec016ee9d20a7451)
Miller-Urey Experiments at Korea Science of Academy of KA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