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자가면역질환 연구실은 신규 치료 타겟 및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실제 치료에 적용하기 위해 염증성 근염 (피부근염/다발성근염) 근육조직과 혈청 샘플 에서 대사체 프로파일링 분석을 통한 바이오마커 개발, 신규타깃 디스커버리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또한, 단일 세포 유전체 분석과 후성유전체 연구를 융합하여 다양한 희귀면역질환 및 생물학적 제재 치료 시 면역세포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과 변화를 밝히고자 합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병인 기전에 관여하는 주된 세포 구성을 밝혀내고, 이를 선제적 치료에 적용하고자 합니다.
악성종양에서의 면역 반응과 자가면역질환에서의 면역반응은 서로 공유 혹은 상반되는 면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질환들에서 진행되는 반응들을 서로 비교, 연구함으로써 공통되거나 혹은 질환 특이적인 타깃을 찾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대표적으로 악성 종양을 동반하는 자가면역질환인 염증성 근육염 환자 근육조직의 대사산물을 분석하여 기능이 저하된 미토콘드리아를 목표로 하는 연구와 개발 플랫폼을 활용한 PCT 국제 특허 출원 (Patent Cooperation Treaty, PCT) 및1/2a임상시험을 완료하였고, 추가 임상계획 구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다기관 류마티스관절염/간질성 폐질환 환자 코호트에서 수집한 검체를 분석하여 혈액 및 영상 바이오 마커를 발굴하며, 관절염/폐질환 동물모델을 구축하여 질환 진행 및 치료에 따른 폐병변의 변화와 단일세포전사체 분석을 진행하여 다수의 저널에 출판하였습니다. 정밀 치료를 위한 질환 기전 규명 및 신규 타깃 디스커버리를 목표로 강직척추염 환자에서 약제 치료 전후 임상자료 코호트 확립 및 종적 시료 수집을 진행하고,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 등을 활용한 연구를 진행 중 입니다. 다양한 종양과 동반 될 수 있으며, 병인 기전이 규명되지 않은 희귀 자가면역 질환인 ‘IgG4 related disease' 환자에서 치료 약제 사용 후 다양한 면역 세포의 전사체 발현 양상의 변화를 추적하고 신규 치료 타깃을 발굴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NEWS
2025
September
김선욱 APLAR 포스터 발표
June
김민강 EULAR 구연 발표
이은영 교수 43rd International Symposium on Aging 구연 발표
May
이은영 교수 2025년 대한류마티스학술상 수상 및 기념 강연
김민강 2025년 대한류마티스학회 우수구연상 수상
김민강, 김선욱, 반서윤 KCR 구연 발표
February
권희성 석사 학위 수여
2024
August
강해림 석사 학위 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