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n, Y., & Kim, S. (2025). Investigating the Impact of Interlocutor Type on English Oral Proficiency Interviews: A Comparative Analysis of Chatbot and Human Interlocutors.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Vol 25, May 2025, pp. 661-685.
Mun, J., Kim, S., & Chung, M. (2025). Speech-Based Automatic Chronic Kidney Disease Diagnosis via Transformer Fusion of Glottal and Spectrogram Features. In Proc. Interspeech 2025 (pp. 5303-5307).
Mun, J., Kim, S., & Chung, M. (2025). A Cascaded Multimodal Framework for Automatic Social Communication Severity Assessment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Proc. Interspeech 2025 (pp. 3055-3059).
Oh, S., Kim, S., & Chung, M. (2025). Multimodal and Multitask Learning for Predicting Multiple Scores in L2 English Speech. In Proc. Interspeech 2025 (pp. 2425-2429).
Oh, S., Kim, S., & Chung, M. (2025). Multilingual Speech Assessment Using Cross-Attention and Multitask Learning. In Proc. Interspeech 2025 (pp. 5073-5077).
Lee, S., Kim, S., & Chung, M. (2025, April). Exploring Acoustic Foundations in Speech Production Assessment Models for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In ICASSP 2025-2025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oustics, Speech and Signal Processing (ICASSP). IEEE.
Han, S., Lee, G. G., Kim, H. S., Kim, S., & Chung, M. (2025, April). A Domain-Specific Multilingual Speech Translation Corpus via Simultaneous Interpretation. In ICASSP 2025-2025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oustics, Speech and Signal Processing (ICASSP). IEEE.
Hong, E., Kim, S., and Chung, M. (2024). Unsupervised Discovery of Non-Categorical Error Patterns Using Wav2Vec2.0 Code Vectors. Proceedings of 2024 Asia Pacific Sig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Association Annual Summit and Conference (APSIPA ASC).
Lee, H., Kim, S., and Chung, M. (2024). Analysis of Various Self-Supervised Learning Models for Automatic Pronunciation Assessment. Proceedings of 2024 Asia Pacific Sig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Association Annual Summit and Conference (APSIPA ASC).
Kim, J., Kim, S., and Chung, M. (2024). GENERATING PHONETIC TRANSCRIPTIONS FOR KOREAN ENGLISH L2 LEARNERS USING MULTIPLE SELF-SUPERVISED-MODEL-BASED ASR SYSTEMS AND ROVER METHOD. Proceedings of 2024 Asia Pacific Sig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Association Annual Summit and Conference (APSIPA ASC).
Han, S., Kim, S., & Chung, M. (2024). Developing a Multilingual Spontaneous L2 Speech Corpus for Automated Proficiency Assessment. Proceedings of 2024 Asia Pacific Sig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Association Annual Summit and Conference (APSIPA ASC).
장성민, 김동섭, 남가영, 권은선, 이성준, 김선희, ... & 민병곤. (2024). 2023 국민의 글쓰기 능력 진단 체계 개발 및 시행 결과 분석-성인 대상의 논증적 글쓰기 능력 진단을 중심으로. 국어교육, 185, 1-32.
오예림, 장성민, 이성준, 남가영, 권은선, 김선희, ... & 민병곤. (2024). 글쓰기 채점 전문 인력 양성 프로그램 개발 연구. 작문연구, 61, 33-76.
Mun, J., Kim, S., Kim, and Chung, M. (2024), Developing an End-to-End Framework for Predicting the Social Communication Severity Score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Proceedings of INTERSPEECH 2024.
Lee, S.,, Kim, S., and Chung, M. (2024), Automatic Assessment of Speech Production Skills for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UsingWav2Vec2.0 Acoustic Embeddings Proceedings of INTERSPEECH 2024.
Lee, S., Mun, J., Kim, S., Park, H., Yang, S., Kim, H., ... & Chung, M. (2024, July). 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nd assessment systems incorporated into digital therapeutic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s Helping People with Special Needs (ICCHP 2024) (pp. 328-335). Cham: Springer Nature Switzerland. [Scopus]
Han, S., Kim, S., & Chung, M. (2024). Constructing Korean Learners’ L2 Speech Corpus of Seven Languages for Automatic Pronunciation Assessment. In Proceedings of the 2024 Join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al Linguistics,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 (LREC-COLING 2024) (pp. 3772-3781). [Outstanding Paper] [Scopus]
Lee, S., Mun, J., Kim, S., & Chung, M. (2024). Speech Corpus for Korea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Towards Automatic Assessment Systems. (LREC-COLING 2024).[Scopus]
Lee, J., Kim, S., & Chung, M. (2023). Analyzing vowel variation in Korean dialects using phone recognition.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15(4), 101-107.
김종인, 이주영, 정지오, 신대진, 최동현, 김기홍, ... & 정민화. (2023). 119 응급신고에서 수보요원과 신고자의 통화분석을 활용한 머신 러닝 기반의 심정지 탐지 모델. 말소리와 음성과학, 15(4), 109-118.
Park, H.-S. & Kim, S. (2023), Identifying Stable Sections for Formant Frequency Extraction of French Nasal Vowels Based on Difference Thresholds, Proceedings of INTERSPEECH 2023.
Yeo, E. J., Choi, K., Kim, S., & Chung, M. (2023). Speech Intelligibility Assessment of Dysarthric Speech by using Goodness of Pronunciation with Uncertainty Quantification, Proceedings of INTERSPEECH 2023.
Mun, J., Kim, S., Kim, M. J., Ryu, J., Kim, S., and Chung, M. (2023) An Analysis of Glottal Features of Chronic Kidney Disease Speech and Its Application to CKD Detection, Proceedings of INTERSPEECH 2023.
Ryu, H., Kim, S., & Chung, M. (2023). A Joint Model for Pronunciation Assessment and Mispronunciation Detection and Diagnosis with Multi-task Learning, Proceedings of INTERSPEECH 2023.
Yeo, E. J., Ryu, H., Lee, J., Kim, S., & Chung, M. (2023). Comparison of L2 Korean pronunciation error patterns from five L1 backgrounds by using automatic phonetic transcription. ICPhS 2023.
Yeo, E. J., Choi, K., Kim, S., & Chung, M. (2023). Automatic Severity Classification of Dysarthric Speech by Using Self-Supervised Model with Multi-Task Learning. In ICASSP 2023-2023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oustics, Speech and Signal Processing (ICASSP), IEEE. [Scopus]
Park, H.-S. & Kim, S. (2023, May) Acoustic Correlates of French Vowels /i, a, u/ under an Emphatic Accent, HisPhonCog 2023, Hanyang Institute for Phonetics and Cognitive Sciences of Language.
Won, Y., & Kim, S. (2023). The Impact of Topic Selection on Lexico-Grammatical Errors and Scores in English Oral Proficiency Interviews of Korean College Students. Education Sciences, 13(7), 695. [Scopus]
Lee, S., Yeo, E. J., Kim, S., & Chung, M. (2023). Knowledge-driven speech features for detection of Korean-speaki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15(2), 53-59.
박혜숙, & 김선희(2023). 프랑스어 비강모음에 대한 발음 교수 방안. 프랑스어문교육 80, 77~112.
김선희, 박혜숙, & 김도희. (2022). 프랑스어 구강모음에 대한 발음지도 방안. 프랑스어문교육, 77, 7-40.
Lee, S., Kim, S., and Chung, M. (2022). A Study on the Phonetic Inventory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for 5 Years after Implantation. Proceedings of INTERSPEECH 2022.
Yeo, E. J., Kim, S., and Chung, M. (2022). Multilingual Analysis Of Intelligibility Classification Using English, Korean, And Tamil Dysarthric Speech Datasets. Proceedings of O-COCOSDA 2022, 134-139
Mun, J., Kim, S., Kim, M. J., Ryu, J., Kim, S., and Chung, M. (2022). A Speech Corpus For Chronic Kidney Disease. Proceedings of O-COCOSDA 2022, 204-209.
Lee, S., Kim, S., and Chung, M. (2022). Building A Speech Corpus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Via An Enhanced Metadata Structure. Proceedings of O-COCOSDA 2022, 210-215.
Park, S., Chun, J., Kim, M. H., Lee, H., Lee, S. H., and Kim, S. (2022). Designing a Korean French-Learners’ Speech Corpus (KFLSC) for Spoken Language Assessment. Proceedings of O-COCOSDA 2022, 35-40.
Yeo, E. J., Kim, S., and Chung, M. (2022). Cross-Lingual Dysarthria Severity Classification for English, Korean, and Tamil. Proceedings of 2022 Asia Pacific Sig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Association Annual Summit and Conference (APSIPA ASC).
이주영, 황효성, 류형신, 이호영, 김선희, 정민화 (2022). 외국인의 한국어 발음 오류 패턴 태깅을 위한 강제정렬 모델 활용. 2022 한국음성학회 가을 학술대회 논문집, 92-93.
박혜숙, 김선희 (2022). 프랑스 비강모음의 포먼트 산출을 위한 안정 구간 연구. 2022 한국음성학회 가을 학술대회 논문집, 88.
이선우, 김선희, 정민화 (2022). 한국어 음성 전사를 위한 wav2vec2.0 훈련 단위 (2022). 2022 한국음성학회 가을 학술대회 논문집, 74.
김민정, 김선희 (2022). 한국인 학습자의 프랑스어 연음 실현 양상. 2022 한국음성학회 가을 학술대회 논문집, 86-87.
김선희, 류나영, 원용국. (2021). 웹 기반 프랑스어 음소 지각 훈련과 그 신뢰도 평가.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22(12), 2099-2109.
Kim, S., Kim, H., Lee, Y., Kim, B., Won, Y., & Kim, B. (2021). Designing a large recording script for open-domain English speech synthesi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13(3), 65-70.
문지현, 김선희, & 정민화. (2021). 뇌성마비 마비말장애 성인의 파찰음 실현 양상 분석. 말소리와 음성과학, 13(2), 45-55.
여은정, 김선희, & 정민화. (2021). 음질, 운율, 발음 특징을 이용한 마비말장애 중증도 자동 분류. 말소리와 음성과학, 13(2), 57-66.
임서현, & 김선희. (2021). 영어 화자의 be-동사 앞/뒤 끊어 읽기 패턴에 관한 인지적 직관 연구: 컴퓨터 지원 영어 읽기 교육을 위한 기초 실험 연구. 언어, 46(2), 501-527.
Thi Thuy Hien Tran, Nathalie Vallée, Christophe Savariaux, Nathalie Henrich Bernardoni, Silvain Gerber, Inyoung Kim, Sunhee Kim (2021). Why final stop phonemes became unreleased stops? The cases of Vietnamese and Korean. Presented at RFP2021 : 18èmes rencontres du Réseau Français de Phonologie / 18th Meeting of the French Phonology Network. (https://rfp2021.sciencesconf.org/)
Yeo, E.J., Kim, S.H., Chung, M.H. (2021). Automatic Severity Classification of Dysarthric Speech Using Phoneme-Level Pronunciation Features, Proceedings of INTERSPEECH 2021.
Thi-Thuy-Hien Tran, Nathalie Vallée, Christophe Savariaux, Nathalie Henrich Bernardoni, Silvain Gerber(University Grenoble Alpes), Inyoung Kim, Sunhee Kim (2021). 베트남어와 한국어 음절말 파열음에 대한 공기역학 및 성문파형 특징 연구, 제 38회 음성통신 및 신호처리 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음향학회. pp4~5.
윤상아, 김선희(2021). 나조미터를 사용한 프랑스어 비모음의 비성도 연구. 제 38회 음성통신 및 신호처리 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음향학회. pp6~7.
김도희, 김선희(2021). 한국인 학습자가 발화한 프랑스어 비강모음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연구. 제 38회 음성통신 및 신호처리 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음향학회. pp8~9.
Kim, S., Park, H. M., Ku, B. H., Kim, J. H., Jang, J., Kim, H., ... & Chung, M. (2020). 응급의료 영역 한국어 음성대화 데이터베이스 구축. 말소리와 음성과학, 12(4), 81-90.
Hernandez, A., Kim, S., Chung, M. (2020). Prosody-Based Measures for Automatic Severity Assessment of Dysarthric Speech. Applied Sciences, October 2020. [SCIE]
Hernandez, A., Yeo, E.J., Kim, S.H., Chung, M.H. (2020). Dysarthria Detection and Severity Assessment using Rhythm-Based Metrics. Proceedings of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International 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 (INTERSPEECH) 2020, Shanghai, China, 25–29 October 2020.
Tran, T. T. H., Vallee, N., Savariaux, C., Kim, I., & Kim, S. (2020). Caractérisation des plosives finales dans des langues d'Asie: une étude multilingue du non relâchement. In 6e conférence conjointe Journées d'Études sur la Parole (JEP, 31e édition), Traitement Automatique des Langues Naturelles (TALN, 27e édition), Rencontre des Étudiants Chercheurs en Informatique pour le Traitement Automatique des Langues (RÉCITAL, 22e édition) (pp. 597-605). ATALA.
김선희(2020). 최소대립쌍을 이용한 한국인 학습자의 프랑스어 모음 지각 양상 연구. 프랑스어문교육, 69, 7-29.
김선희(2018). 프랑스어 schwa 의 음향학적 특성. 언어학 연구 49 (2018): 83-101. [ Link ]
김선희(2018). 코퍼스 기반 프랑스어 텍스트 정규화 평가. 말소리와 음성과학, 10(4). [ Link ]
김선희(2018). 지식 기반 프랑스어 발음열 생성 시스템. 말소리와 음성과학, 10(1), 49-55. [ Link ]
김선희(2018). 프랑스어 자동 발음 평가를 위한 음운 자질 연구. 프랑스어문교육, 60, 147-168. [ Link ]
김선희, & 정현훈(2018). 외국어 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의 음성 인식 기술 활용 현황.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19(4), 621-630. [ Link ]
Sunhee Kim (2017). Corpus-based evaluation of Chinese text normalization. In 2017 20th Conference of the Oriental Chapter of the International Coordinating Committee on Speech Databases and Speech I/O Systems and Assessment (O-COCOSDA) (pp. 1-4). IEEE. (Best paper) [ Link ]
Sunhee Kim (2016). How to select a good voice for TTS. 9th ISCA Speech Synthesis Workshop. [ Link ]
Ryu, Hyuksu, et al. (2016). Automatic pronunciation assessment of Korean spoken by L2 learners using best feature set selection. Signal and Information Processing Association Annual Summit and Conference (APSIPA), 2016 Asia-Pacific. IEEE, 2016.
이민기, 김재민, 홍진표, 김선희(2016). 개인화 음성합성 개발을 위한 소용량 발성목록 추출. 한국음성학회 2016 봄 학술대회.
Minki Lee, Jaemin Kim, Sunhee Kim (2015). Classification of prosodic boundaries based on acoustic cues for Korean TTS. ICSS 2015.
이민기, 김선희, 김재민(2015). 음소특성을 이용한 한국어 자동음소전사. 음성 및 신호처리 학술대회 2015.
Hyejin Hong, Sunhee Kim, & Minhwa Chung (2014). A corpus-based analysis of English segments produced by Korean learners. Journal of Phonetics, 46, 52-67. [ Link ]
김선희(2014).영어 TTS DB 운율 연구: 낭독체와 대화체 비교. 한국음성학회 2014 가을 학술대회 논문집, pp93-94.
홍진표, 김선희(2014). 한국어 TTS 개발을 위한 통합 운율 경계 모델링. 한국음성학회 2014 가을 학술대회 논문집, pp187-188.
Sunhee Kim, Yumi Hwang, Daejin Shin, Chang-Yeal Yang, Seung-Yeun Lee, Jin Kim, Byunggoo Kong, Jio Chung, Namhyun Cho, Ji-Hwan Kim & Minhwa Chung (2013). VUI development for Korean people with dysarthria. Journal of Assistive Technology (JAT), 7(3), 188-200. [ Link ]
Hyejin Hong, Sunhee Kim & Minhwa Chung (2013). A corpus-based analysis of Korean segments produced by Japanese learners. Proceedings of SLaTE 2013, 189-192. [ Link ]
홍기형, 이희연, 조남현, 김지환, 김선희, 정민화 (2013). 장애인을 위한 음성 인터페이스의 UI/UX: 음성 명령어 인식기와 음성 합성기를 대상으로. Telecommunications Review, 23(2), 163-182.
류혁수, 김선희, 정민화 (2013). 일본인 영어학습자의 숙련도에 따른 자음교체 변이양상 차이. 한국음성학회 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51-152.
홍혜진, 김선희, 정민화 (2013). 마비말장애 발화의 모음 실현 양상에 대한 음성학적 분석. 한국음성학회 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32-233.
나민수, 김선희, 정민화 (2013). 마비말장애 발화 음성인식을 위한 음소 유사도 기준 어휘목록 구성. 제 30회 음성통신 및 신호처리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30(1), 73-75.
홍혜진, 김선희, 정민화 (2013). 마비말장애 발화에서의 마찰음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분석. 제 30회 음성통신 및 신호처리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30(1), 100-101.
류혁수, 김선희, 정민화 (2013). 한국인 영어 발화 평가의 영어 원어민 평가자와 한국인 평가자간의 평가 일치도 비교. 제 30회 음성통신 및 신호처리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30(1), 102-104.
김선희 (2013). 일본어 음성 합성을 위한 음성 셋 정의. 한국음향학회 2013 추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p17.
김종진, 김상진, 김선희, 김형준, 와타나베 리카, 홍진표 (2013). NAVER 다국어 음성합성 시스템 소개. 한국음향학회 2013 추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p18.
김상진, 김종진, 김선희, 김형준 (2013). 영자신문 낭독 TTS용 음성코퍼스의 발성목록 설계. 한국음향학회 2013 추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p17.
Hyejin Hong, Sunhee Kim & Minhwa Chung (2012). Korean Children's Spoken English Corpus and an Analysis of its Pronunciation Variability. Proceedings of LREC 2012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anguage Resources and Evaluation), 2362-2365. [ Link ]
Yumi Hwang, Daejin Shin, Chang-Yeal Yang, Seung-Yeun Lee, Jin Kim, Byunggoo Kong, Jio Chung, Sunhee Kim, Minhwa Chung (2012). Developing Voice User Interface with Improved Usability for People with Dysarthria. Proceedings of ICCHP 2012, 117-124. [ Link ]
Hyuksu Ryu, Sunhee Kim & Minhwa Chung (2012). Comparing Transcription Agreement on Non-native English Speech Corpus between Native and Non-native Annotators. Proceedings of Interspeech 2012. [ Link ]
류혁수, 김선희, 정민화 (2012).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전체 점수에 미치는 세부 항목 점수 영향성의 수준별 차이 연구. 한국음성학회 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3.
나민수, 김선희, 정민화 (2012). 비원어민 화자의 음성인식성능 향상을 위한 화자 군집화 기반 발음변이 모델링. 한국음성학회 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83-85.
홍혜진, 김선희, 정민화 (2012). 한국인 학습자의 영어 발화에 나타난 탄설음화 실현 양상 분석. 제 29회 음성통신 및 신호처리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9(1), 58-59.
류혁수, 김선희, 정민화 (2012). 일본인 영어 발화 평가의 영어 원어민 평가자와 비원어민 한국인 평가자간의 평가 일치도 비교. 제 29회 음성통신 및 신호처리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9(1), 64-66.
나민수, 김선희, 정민화 (2012). 발음변이 특징 기반 화자 군집화를 이용한 한국어 발음열 자동 생성. 제 29회 음성통신 및 신호처리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9(1), 118-120.
류혁수, 김선희, 정민화 (2012). 한국인 영어 발화 코퍼스에서의 한국인과 원어민 전사자간 정확도 비교. 한국음성학회 가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76-179.
Hyuksu Ryu, Kyuwhan Lee, Sunhee Kim, Minhwa Chung (2011). Improving transcription agreement of non-native English speech corpus transcribed by non-natives. SLaTE 2011. [ Link ]
Sunhee Kim, Kyuwhan Lee, Minhwa Chung (2011). A Corpus-Based Study of English Pronunciation Variations. Interspeech 2011. [ Link ]
홍혜진, 김선희, 정민화 (2011). How Korean Learner's English Proficiency Level Affects English Speech Production Variations. 말소리와 음성과학, 제3권 제3호, pp115~121. [ Link ]
황유미, 김선희, 정민화 (2011). 마비 말 장애의 발화 명료도와 음성 인식률 비교. 한국HCI학회
홍혜진, 김선희, 이호영, 정민화(2011). 한국인 학습자 영어 발화에서의 강세와 분절음 실현 양상. 한국음성학회 가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35~36.
류혁수, 김선희, 정민화(2011). 러시아어 어두 폐쇄 자음군에서의 선행 폐쇄음에 나타나는 기식성 연구. 한국음성학회 가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47~48.
황유미, 김선희, 정민화(2011). 마비말장애 발화의 모음 길이 분석. 한국음성학회 가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51~54.
류혁수, 김선희, 정민화(2011). 한국인 발화 영어의 발음 오류 양상 분석. 한국음성학회 가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210~212.
김진아, 김선희, 정민화 (2011). 음성인식을 위한 한국인 아동 발화의 영어 발음 특성 분석. 제 28회 음성통신 및 신호처리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이종훈, 이진식, 서홍석, 강세천, 김선희, 정민화, 이근배(2011). 텍스트가 주어지지 않은 영어 발화에 대한 발음 피드백 시스템. 한국음성학회 가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김선희(2009), 한국어 자유 발화 음성의 억양 패턴, 말소리와 음성과학, 제1권 제4호, pp85~94. [ Link ]
유혜옥, 김선희(2008). 음성 코퍼스 분석을 통한 프랑스어 운율 단위 및 운율 패턴 연구: 액센트구를 중심으로. 한국프랑스학회논집, pp117~130. [ Link ]
김선희, 전재훈, 홍혜진, 정민화(2008). 음성정보와 문법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운율 경계의 자동 추정, 말소리, 제66호, PP117~130,
홍혜진, 김선희, 정민화(2008). 한국어 음성인식을 위한 음성학 기반의 유사음소단위 집합 설계. 말소리, 제 65호, pp105-124.
Hong, H., S. Kim, M. Chung (2008). Effects of Allophones on the Performance of Korean Speech Recognition. Proc. Interspeech 2008. [ Link ]
Hong, H., S. Kim, M. Chung (2008). The Effects of Consonant-Related Phonetic Constraints on Korean Phoneme Recognition . Proc. International Conference of Cognitive Science (ICCS).
Sunhee Kim, Jeob Gue Park, Je Hun Jeon, Minsoo Na, Minhwa Chung (2008). Modeling Pronunciation Variation of Compound Word. Proc. The 18th International Congress of Linguistics (CIL 18).
Kim, Sunhee, Daniel Hirst, Hyungsil Cho, Ho-Young Lee & Minhwa Chung (2008). Korean MULTEXT: a Korean prosody corpus. in Proceedings of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peech Prosody. Campinas, Brazil (May 2008). [ Link ]
Daniel Hirst, Hyongsil Cho, Sunhee Kim & Hyunji Yu (2007). Evaluating two versions of the Momel pitch modelling algorithm on a corpus of read speech in Korean. Proc. Interspeech 2007. [ Link ]
Sunhee Kim, Je Hun Jeon, Minsoo Na, Minhwa Chung (2007). Modeling Pronunciation Variation for Korean Point-of-Interest Data Using Prosodic Units. Proc. 9th China-India-Japan-Korea Joint Workshop on Neurobiology and Neuroinfomatics. [ Link ]
김선희, 박전규, 나민수, 전재훈, 정민화(2007). 운율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위치 정보 데이터의 발음 모델링. 정보과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응용, 제34권 제2호, p104-111. [ Link ]
김선희, 홍혜진(2007). Momel을 이용한 성조 레이블링. 제 24회 음성통신 및 신호처리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209~210.
전재훈, 김선희, 정민화(2007). 문법 모델과 음성 모델을 이용한 운율 경계 자동 검출. 제 24회 음성통신 및 신호처리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210~211.
김선희(2007). 한국어 위치정보 데이터의 발음 분석. 2007대한음성학회 한국음성과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91-94.
김선희, 유현지(2007). Momel을 이용한 한국어의 억양 패턴 분석. 2007 대한음성학회 한국음성과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243-246.
김선희(2007). 한국어 위치정보 데이터의 발음 분석. 2007대한음성학회 한국음성과학회 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91-94.
이숙향, 김선희 (2006). 한국어 원거리 음성의 운율적 특성. 한국음향학회지, 제25권, pp26-31.
Sunhee Kim, Je Hun Jeon, Minsoo Na, Minhwa Chung(2006). Irregular Pronunciation Detection for Korean Point-of-Interest Data Using Prosodic Word. 말소리, 제57권, pp123-137.
Kim, S., J. H. Jeon, M. Na, M. Chung (2006). Grapheme-to-Phoneme Conversion for Korean Point-of-Interest Data Using Prosodic Words. Proc. CogSci 2006. [ Link ]
Kim, S., S. Lee (2006). Consonantal Duration in Korean Distant-Talking Speech. Proc. WESPAC IX 2006.
김선희, 전재훈, 나민수, 정민화(2006). 운율어를 이용한 한국어 위치 정보 데이터의 다중 발음 사전 생성. 제18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논문집, pp. 183-188.
김선희, 박전규, 나민수, 전재훈, 정민화(2006). 운율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위치 정보 데이터의 발음 모델링. 제18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논문집, pp. 51-56.
김선희(2006). 한국어 위치정보 데이터의 다중 발음 생성에서 운율어의 역할. 제23회 음성통신 및 신호처리 학술대회 논문집.
Kim, S. (2005). Dura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Lombard Speech. Proc. Interspeech 2005 - Eurospeech, pp2901-2904. [ Link ]
Kim, S., S. Park, Chang D. Yoo (2005). An Analysis of Acoustic Features Caused by Articulatory Changes for Korean Distant-Talking Speech. Journal of Acoustical Society of Korea, Vol. 24-2E, pp1-7.
이숙향, 김선희 (2005). 한국어 원거리 음성의 모음의 음향적 특징. 말소리, 제55호, pp61-76.
김선희(2005). 한국어 원거리 음성의 지속시간 연구. 말소리, 제 54호, pp1-14.
이숙향, 김선희, 김종진(2005). 한국어 원거리 음성의 운율적 특성. 대한음성학회 2005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87-90.
김선희(2005). 한국어 위치 정보 데이터의 형태론적 음운론적 특성. 한국음향학회 2005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55-156.
김선희, 이숙향(2005). 한국어 원거리 음성의 피치분석. 한국음향학회 2005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57-160.
이숙향, 김선희(2005). 한국어 원거리 음성에서 모음의 화자별 음향적 특성. 대한언어학회 봄학술대회 논문집.
김선희, 이숙향(2005). 한국어 원거리 음성에서 모음의 음향적 특성. 한국음향학회 춘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김선희(2005). 한국어 롬바드 음성의 지속시간.대한음성학회 봄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김선희, 안주은, 김순협(2004). 예외 단어 선별 작업을 이용한 자동 발음열 생성 시스템. 한국음향학회지 제23권 제4호, 216-219.
Kim, S. (2004). Phonology of Exceptions for Korean Grapheme-to-Phoneme Conversion. Proc. Interspeech 2004-ICSLP, pp1285-1288. [ Link ]
Kim, S., J. Ahn, S.-H. Kim, Y.-H. Lee (2004). A Korean Grapheme-to-Phoneme Conversion System Using Selection Procedure for Exceptions. Proc. Interspeech 2004-ICSLP, pp1905-1908. [ Link ]
Kim, S. (2003). Korean phonology for letter-to-sound rules. Proc. Internoise 2003. [ Link ]
Han, M., H. Lee, S.-H. Kim, S. Kim (2003). Confidence Measure for Recognition Error. Proc. Internoise 2003. [ Link ]
김선희(2003). 한국어 자동 발음열 생성 시스템을 위한 예외 발음 연구. 말소리, 제 48호, pp57-67.
김선희(2003). 한국어 자동 발음열 생성을 위한 예외발음사전 구축. 음성과학, 제 10권 4호, pp167-177.
김선희(2003). 표기 음성 변환을 위한 음운현상 연구. 프랑스어문교육, 제16집, pp159-176.
김정호, 정희석, 강철호, 김선희(2003). 유무선 전화를 통한 화자인식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한국음향학회지, 제22권 제3호, pp182-187.
김선희(2003). 자동 발음열 생성을 위한 한국어 음운현상의 계량적 연구. 언어학, 제37호, pp71-88.
김선희(2003). 최소 형태소 정보를 이용한 자동 발음열 생성 시스템. 한국멀티미디어학회, pp216-219.
김선희(2003). 텍스트 분석 기반 자동 발음열 생성 시스템. 제20회 음성 통신 및 신호처리 학술대회, pp155-158.
김선희(2002). 한국어 자소열-음소열 변환을 위한 음운현상 연구. 한국음향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이호준, 김순협, 김선희(2002). 비핵심어 모델 형태에 의한 핵심어 검출 성능에 관한 연구. 제19회 음성 통신 및 신호처리 학술대회, pp53-56.
김선희(2002). 국어 초점의 운율적 실현. 한국음향학회, pp317-320.
Kim, S. (1995). Stray Erasure and the Coda Condition in Korean, Cahiers de linguistique asie-orientale, EHESS. [ Link ]
김선희(1993). 음운론에서 규칙과 과정: 국어 저해음간의 음운현상. 언어, 제18권 2호, 201-231.
김선희(1992). 국어 경음의 음운론적 실체. 어학연구, 제18권 1호, 87-98.
Kim, S. (1990). La syllabe du coréen, Mémoires du CERIL 6, Université de Paris VII.
Kim, S. (1990). The Behavior of /h/ in Korean. Harvard Studies in Korean Linguistics III. Hanshin Publishing Co.
정대홍, 조영환, 임철일, 손미현, 김민성, 이상일, 김선희, 류나영, 김기택, 이병민, 성민창, 성상환, 이옥선, 박재범, 이경화, 유연주, 조정효, 문공주, 박동열, 모경환, 강은희. (2022). 인공지능 시대, 교사가 만드는 미래학교. 교육과학사.
김선희, 오승신 (2002). 음성 말뭉치의 구축. 한국어 구어 연구(1), 한국문화사.
김선희(2001). 불어 음운현상의 체계적 조망. 프랑스 언어학과의 만남, 월인.
김선희(1994). André Martinet의 구조기능주의. 프랑스 언어학 방법론의 이론과 실제, 연세대학교출판사.
Sunhee Kim (1990). Phonologie des consonnes en coréen (Korean Consonantal Phonology), Thèse de doctorat, EHESS.
Kim, S. (1987). Recherche sur 'saï-sios' en coréen, Mémoires de D.E.A., EHESS.
Kim, S. (1986). Recherche sur l'assimilation dans différentes variétés en français parlé, Mémoires de maîtrise, Université de Paris VII.